선하자 스님의 기도
선하자 스님은 이조 중엽 벽송(碧松)스님의 제자다.
저 유명한 서산(西山)대사에게는 사숙님이 되는 분이시다.
경상도 울산사람으로 선조(宣祖)때 일찍이 부모를 잃고16세 때 출가 하였다.
여러 곳을 돌아다니면서 수행하다가 한번 마음을 밝혀 보리라는 생각을 크게 먹고 24세가 되던 해 평안도 묘향산 문수암으로 올라갔다.
묘향산 문수암은 에로부터 많은 성현들의 영적이 나타나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하루는 비로암(毘盧菴)에서 10리쯤 떨어진 곳에 이르러 산책을 하고 있다가 건너편 선령대(仙靈臺)에서 하얀 옷을 입은 노인이 거닐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는 아무리 보아도 인간세상의 사람이 아닌 것 같아 쫓아다. 그러나 그 노인은 인홀불견(人忽不見)간 곳이 없었다. 참으로 이상한 일이었다. 눈을 두 번 세 번 씻고 거듭거듭 살펴보아도 전혀 그 족적을 찾아올 수 없었다. 이는 틀림없이 성현의 화신이 아니고서야 이럴 수 없다 생각하고 그는 그 자리에서 기도하여 기필코 그를 직접 만나보기로 결심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백일동안 기도 드리며 먹고 지낼 식량을 구하기 위하여 안주땅에 내려가서 탁발을 하였다. 선하자 스님은 탁발하면서도 그러하였지만 탁발한 식량을 등에 지고 묘향산 비로암으로 올라오면서도 한 발짝 떼고 절 한 번 하는 일보일례(一步一禮)를 하였다. 비지땀을 흘리며 산 중턱쯤 올라가니 조그마한 아이들이 열대여섯명이 놀고 있다가.
「저희들이 올려다 드리겠습니다. 」
하고 스님의 짐을 받아 절에까지 들어다 주었다. 나중에 안 일이지만.그 아이들은 일반 세속 사람들이 아니라 선하자의 정성에 감동하여 나타난 문수암의 나한님들이었다.
선하자스님은 절에 이르러 성심성의로 직접 마지를 지어 올리며 백일기도를 시작하였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수를 헤아릴 수없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밤낮의 구분 없이 관세음을 염창(念唱)하였다.
쉬는 시간이라고는 겨우 마지를 지어 올리는 시간인데 이 시간에도 짊어지고 법당에까지 올라가거나 밥을 먹고 잠을 자고 화장실에 가거나 계속해서 관세음을 염창하였다.
그리하여 그 스님은 기도를 시작한 지 어언 1백일이 다 되어 회향날 마지불기를 들고 법당으로 올라가며 큰 소리로 관세음을 염창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커다란 망태기를 짊어진 사냥꾼이 나타나서 애원하였다.
「스님, 나는 여러 날 동안 굶어 배가 고파죽겠으니 그 밥을 나에게 주십시오. 」
선하자스님은 딱한 사정은 능히 그 밥을 주고도 남음이 있으나 매일 그 시간이면 어김없이 부처님께 공양을 올렸기 때문에 도리어 사정하였다.
「포수 영감님, 사정으로 보아서는 먼저 공양을 올려야 하오나 내가 지금 백일기도를 회향하는 날이니 잠깐만 기다리면 기도를 마치고 공양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나 포수장이는 강경하였다.
「스님께서 마지를 올리는 순간이던 나는 이미 배가 고파 죽고 맙니다. 자비로써 이 불쌍한 중생을 위한 것 아닙니까? 」
「하기야 그렇습니다. 그러나 내가 마음에 약속한 바가 있어 그러니 죄송합니다. 」
하고 선하자스님이 백배 사정하였다. 그러나 포수장이는 길을 막고 당당히 화를 냈다.
「정히 그러시다면 내가 이 총으로 스님을 죽이고 이 밥을 빼앗아 먹겠습니다. 」
「여지껏도 굶었는데 잠깐 사이를 참지 못한다면 어찌 사람이라 하겠습니까? 」
하고 선하자스님은 그를 떨치고 길을 올라갔다.
그때 포수장이는 갑자기 실탄을 장진하여 스님의 가슴에 총을 대고 방아쇠를 당겨 버렸다.
「꽝-」
하고 터진 총소리는 온 세계에 메아리쳤다.
순간 선하자스님은 그 총소리를 듣고 확철대오(廓徹大悟), 마음이 툭 터져버렸다 너무도 기뻐 한참 가가대소(呵呵大笑)를 하다가 정신을 차려보니 포수장이는 간곳이 없었다.
아니 그것은 포수장이가 아니라 선하자스님의 정성에 감동된 문수보살이 나타나 그의 정성을 실험하였던 것이다.
문수의 대기(大機)에는 보현의 대행(大行)이 따르지 아니하면 구조가 어렵고, 관세음의 자비는 대세지보살의 대희(大喜)가 아니면 성취하기 어려운 것이다.
생사일념(生死一念), 죽고 사는 것에 관계없이 뜻한바 마음에 계약을 맺고 기도하는 사람이 어찌 사사로운 정에 팔려 인심을 팔고 사는 일을 할 수 있겠는가?
탁발정성감나한(托鉢精誠感羅漢)
공양집물상반래(供養什物上般來)
기도일념화문수(祈禱一念化文殊)
일발총성통대도(一發銃聲通大道)
탁발정성이 나한님을 감동시켜
공양집물을 절로 올라오게 하더니
한 생각 빈 마음에 문수보살 나타나
한발의 총성으로 대도를 성취케 하였도다.
<韓國侍刹史料集, 安德菴著 佛敎信仰의 바른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