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빈바사라왕경(佛說頻婆娑羅王經)

불설빈바사라왕경(佛說頻婆娑羅王經)

서천(西天)역경삼장(譯經三藏)
조봉대부(朝奉大夫) 시광록경(試光祿卿) 명교대사(明敎大師)
신(臣) 법현(法賢)이 어명을 받들어 한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왕사성(王舍城)에서 큰 필추(苾芻:비구)들과 함께 계셨는데, 그들은 모두 이 법안의 장로[耆舊] 큰 아라한으로서 모든 번뇌가 이미 다하고 할일은 이미 마쳤으며, 모든 무거운 짐을 버리고 자기 이익을 얻었으며, 생사에 머물게 하는 번뇌[有結]를 모두 다하고 해탈을 증득하였으니, 이와 같은 대중들이 꼭 1천 명이었다.

그 때 세존께서는 생각하셨다.

‘나는 지금 장림산(杖林山)의 영탑(靈塔)이 있는 곳으로 가리라.’

이렇게 생각하시고 필추들과 함께 그곳으로 가시어 그 안에서 편안히 머무셨다.

그 때 마가다국(摩伽陀國)의 빈바사라(頻婆娑羅)왕은 부처님께서 여러 장로인 큰 아라한 1천 명과 함께 장림산 영탑이 있는 곳에 계신다는 말을 들었다. 왕은 그곳으로 가서 법을 들으리라 생각하고 곧 수레를 준비시키니 보통 때와 같지 않았다. 따르는 수레 1만 2천 대와 묘한 옷과 보배 그릇과 1만 8천 평상이 있었고, 8악(樂)과 4병(兵)은 앞에서 인도하고 뒤에서 따랐으며, 권속과 신하들이 에워싸고 갔다. 그 때 왕은 성을 나와 장림산으로 가서, 부처님께 나아가 친근하고 공양하였다. 다시 바라문과 장자들도 또한 왕을 따라 부처님께 나아갔다.

그 때 세존께서는 왕이 오는 것을 보시고 다섯 모양을 나타내셨으니, 이른바 정수리 모양ㆍ일산 모양ㆍ마니(摩尼) 모양ㆍ총채 모양ㆍ보검(寶劒) 모양으로 부처님 몸을 장엄하셨다. 그 때 왕은 부처님을 만나자, 왕으로서의 자재로운 모양을 버리고, 부처님 앞에 나아가 오른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 무릎을 땅에 대고 세워 합장하고 부처님을 향해 묘한 말로써 부처님 덕을 찬탄하면서 머리를 땅에 대어 부처님 발에 예배한 뒤에, 세 번 돌고 부처님 앞에 서서 자기 이름을 일컬어 세존께 아뢰었다.

“저는 마가다국의 빈바사라왕입니다.”

다시 아뢰었다.

“저는 마가다국 빈바사라왕입니다.”

이와 같이 세 번을 아뢰자, 부처님께서도 세 번을 대답하셨다.

“그렇습니다, 그렇습니다, 당신은 마가다국 빈바사라왕이십니다.”

또 부드러운 말로 왕을 위로하고 자리에 앉게 하셨다. 왕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 뛰면서 한쪽에 물러앉고, 왕의 권속과 신하들도 각각 부처님을 향해 무릎을 꿇고 합장하고, 묘한 말로 부처님 덕을 찬탄하면서 머리 조아려 예배한 뒤에 한쪽에 물러앉았다. 여러 바라문과 장자들도 어떤 이는 말로써 찬탄하고 예배하며, 어떤 이는 그저 합장하고 정수리로 예배하며, 또 어떤 이는 멀리서 부처님을 바라보며 침묵하였는데, 이렇게 그들은 각각 한쪽에 앉았다.

그 때 그 모임의 모든 바라문과 장자들은 늙은 우루빈라가섭(優樓頻螺迦葉)이 부처님을 모시고 곁에 서 있는 것을 보고 생각하였다.

‘아아, 늙은 존자 우루빈라가섭이 도리어 큰 사문이 계신 곳에서 범행(梵行)을 닦는구나.’

세존께서는 그 바라문과 장자들의 의심을 아시고, 곧 게송으로 가섭에게 물으셨다.

너 우루빈라가섭은
옛날에 끊임없이 불을 섬기었거니
어떤 이익을 보고 어떤 법을 얻었는가?
그 까닭을 나에게 빨리 말하라.


그 때 존자 가섭이 게송으로 대답하였다.


이 세상의 모든 음식의 맛과
사람들이 즐기는 탐욕의 즐거움
나는 그 이익 보고 구하였나니
그러므로 끊임없이 불을 섬겼네.



부처님께서 또 게송으로 물으셨다.



어떻게 탐욕의 즐거움에 빠지고
나아가 음식 맛을 탐하였기에
인간과 천상에서 사랑하고 즐겼는가?
그 뜻을 나에게 빨리 말하라.



존자 가섭이 게송으로 대답하였다.



저는 최상의 고요한 글귀를
깨닫지 못해 물러났고
이치답지 못한 5욕(欲)에 빠졌나니
그러므로 끊임없이 불을 섬겼네.



위다(圍陀:베다)에선 불을 섬기면 해탈한다고 하니
중생들 이로 인해 마음이 미혹하네
장님이요, 죽은 이와 다름이 없어
물러나 최상의 고요한 글귀 잃었었네.



나는 이제 참다운 무위법(無爲法)을 보았나니
큰 용(龍)이요, 제일이신 스승의 말씀이라
능인(能仁)께선 큰 이익을 주시기 위해
세존께서 출현하사 크게 정진하시네.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가섭아, 너는 잘 오고 잘 머물렀으며, 어떤 사특한 생각도 없고 능히 최상의 법을 잘 분별한다. 가섭아, 너는 이제 마땅히 대중들을 잘 교화하여야 한다.”

이에 존자 가섭은 부처님의 분부를 받고, 곧 삼마지(三摩地:삼매)에 들어 큰 신통을 나타내었다. 즉, 대중 앞에서 사라져 동방 허공에 나타나 다니고 머무르며 앉고 눕는 네 위의(威儀)를 나타내고, 나아가 불[火] 삼매를 나타내어 불 경계 가운데서 갖가지 광명을 내니, 이른바 파랑ㆍ노랑ㆍ빨강ㆍ하양과 피지가(皮迦)색 따위였다. 또 몸 위로 물을 뿜고 몸 밑으로는 불을 뿜기도 하고, 몸 밑으로 물을 뿜고 몸 위로 불을 뿜기도 하며, 나오고 사라지고 나타나기를 계속하여 끊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남ㆍ서ㆍ북방의 허공에서 다시 다니고 머무르며 앉고 눕는 네 위의의 모양을 나타내고, 나아가 불 삼매에 들어가 불 경계 가운데서 갖가지 광명을 내니 이른바 파랑ㆍ노랑ㆍ빨강ㆍ하양ㆍ피지가색 따위였다. 또 몸 위로 물을 뿜고 몸 밑으로 불을 뿜기도 하고, 몸 밑으로 물을 뿜고 몸 위로 불을 뿜기도 하며, 나오고 사라지며 나타나기를 계속하여 끊이지 않았다.

그 때 존자 가섭은 사방 허공에서 신변(神變)을 나타낸 뒤에 신력(神力)을 도로 거두고, 부처님 앞으로 나아가 합장하고 머리를 발에 대어 예배한 뒤에 부처님께 아뢰었다.

“저의 스승 세존이시여, 저는 큰 성문입니다.”

또 아뢰었다.

“저의 스승 세존이시여, 저는 큰 성문입니다.”

부처님께서 가섭에게 대답하셨다.

“나는 네 스승이요. 너는 큰 성문(聲聞)이다.”

또 대답하셨다.

“나는 네 스승이요, 너는 큰 성문이다. 너는 네 자리에 돌아가 앉아라.”

그 때 대중 가운데 있던 바라문과 장자들은 이렇게 생각하였다.

‘이러한 늙은 존자 우루빈라가섭까지도 오히려 부처인 큰 사문이 계신 곳에서 범행(梵行)을 닦는단 말인가?’

부처님께서는 그 마음을 아시고 빈바사라왕에게 말씀하셨다.

“대왕이여,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색(色)은 남[生]이 있고 멸함[滅]이 있습니다. 이 색은 남이 있고 멸함이 있으며 수(受)ㆍ상(想)ㆍ행(行)ㆍ식(識)도 또한 나고 멸한다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그 온법(蘊法)은 남이 있으면 곧 멸함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대왕이여, 만일 선남자(善男子)가 이 색온법(色蘊法)은 남이 있으면 곧 멸한다는 것을 진실로 분명히 안다면, 색온(色蘊)은 본래 빈 것입니다. 색온이 이미 비었으면 남[生]도 곧 남이 아니며, 나도 이미 나는 것이 없는데 멸함은 무엇이 멸하겠습니까? 색온이 이런 것처럼 모든 온도 다 그렇습니다. 만일 선남자가 이것을 분명히 안다면, 곧 모든 온은 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으며 머무르지도 않고 변화하지도 않아, 곧 나[我]가 없다는 것을 깨달을 것입니다. 이런 사람은 한량이 없는 아승기겁(阿僧祇劫) 가운데서 참으로 고요한 사람이라고 나는 말합니다.”

그 때 모임에 있던 여러 바라문과 장자들은 이렇게 생각하였다.

‘어떤 법으로 내가 없고, 수ㆍ상ㆍ행ㆍ식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을까?
(그렇다면) 왜 나[我]와 사람[人]과 중생[衆生]과 수자(壽者), 마나박가(摩那迦)ㆍ주재작자(主宰作者)ㆍ나는 자ㆍ일어나는 자ㆍ움직임이 없는 자ㆍ말하는 자ㆍ분별하는 자ㆍ아는 자가 있다고 하는가? 이러한 무리들 중에 어떤 자가 나지 않고 어떤 자가 멸하지 않는가? 또 저 무리들은 어떤 인연으로 지은 바 착하고 착하지 않은 업에 따라 그 과보(果報)를 받는가?’

그 때 세존께서는 그 바라문과 장자들의 생각을 아시고, 곧 필추들에게 말씀하셨다.

“필추들아, 만일 내가 없는데 나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곧 어리석고 무식한 범부와 이생(異生)들의 나라는 생각[我相]이다. 필추들아, 마땅히 알라. 나란 본래 내가 없고, 또 내가 없다란 것도 모든 괴로움의 법이다. 만일 난다는 생각을 내면 괴로움의 온(蘊)은 곧 생기고, 만일 멸한다는 생각을 내면 괴로움의 온은 곧 멸한다. 또 모든 행(行)에 있어서, 만일 난다는 생각을 내면 모든 행은 곧 생기고, 만일 멸한다는 생각을 내면 모든 행은 곧 멸하나니, 이 인연으로 모든 행의 법이 생기고, 이 행의 인연으로 곧 나고 멸함이 있게 된다. 나는 이러한 나고 멸하는 법을 참되게 분명히 알았기 때문에 일체 중생들에게 일러 주는 것이다.

필추들아, 나는 육안(肉眼)보다 뛰어난 청정한 천안(天眼)으로 모든 중생들의 나고 멸함과, 예쁘고 추함, 귀하고 천함, 위와 아래, 좋은 세계와 나쁜 세계를 보고, 중생들이 짓는 바 선ㆍ악의 업에 따라 얻는 과보를 다 참되게 아느니라.

또 중생이 착하지 않은 몸ㆍ입ㆍ뜻의 3업을 갖추어 현성을 비방하고 사특한 소견을 일으키며, 그 사특한 소견으로 말미암아 모든 사특한 업을 짓고 모든 사특한 법을 행하면, 이 인연으로 목숨을 마친 뒤에는 나쁜 곳에 덜어져 지옥의 고통을 받게 된다. 또 중생이 착한 몸ㆍ입ㆍ뜻의 3업을 갖추어 현성을 비방하지 않고 바른 소견을 일으키며, 이 바른 소견으로 말미암아 모든 착한 업을 짓고 모든 착한 법을 행하면, 이 인연으로 말미암아 목숨을 마친 뒤에는 하늘 세계에 나서 하늘 사람이 된다. 나는 그것을 참되게 알고 참되게 보느니라.

모든 필추들아, 나는 그 때에도 ‘나ㆍ사람ㆍ중생ㆍ수자와 또 그 아는 자 등이 있고, 어떤 것은 생기고 어떤 것은 멸하며, 선ㆍ악의 업을 지어 그 과보를 받는다’고 말하지는 않았다. 그러한 법에 나라는 생각[我想]이 없다. 모든 5온(蘊)은 법이 있다는 생각을 말미암나니, 그 법이라는 생각으로 말미암아 비로소 5온이 생기느니라.

또 저 무명(無明)은 행(行)의 법을 인연하나니, 모든 행의 법이 생기면 집(集)의 법이 곧 생기고, 모든 행의 법이 멸하면 집의 법도 멸하게 되느니라.

모든 필추들아, 이와 같이 행의 괴로움은 집(集)을 말미암아 있으므로, 집이 멸하면 행의 괴로움은 곧 멸한다. 괴로움의 법이 멸한 뒤에는 법 아닌 것은 다 멸하여 다시는 생기지 않나니, 이렇게 하여 괴로움의 법은 끝까지 다하게 되느니라. 필추들아, 멸은 또 무엇을 증득하는가? 그것은 곧 괴로움의 끝[究盡]이요 진실한 적멸(寂滅)이며, 그것은 청량(淸凉)을 얻은 것이요, 그것을 맨 끝이라 하느니라. 필추들아, 이것이 적정구(寂靜句)이니, 이른바 일체법과 탐애의 법을 버린 것이다. 만일 탐욕의 법이 다해 멸하게 되면 그것은 곧 적정열반(寂靜涅槃)이니라.”

그 때 세존께서는 다시 왕에게 말씀하셨다.

“대왕이여, 당신은 어떻게 생각합니까? 색(色)은 영원합니까, 영원하지 않습니까?”

왕이 말하였다.

“색은 멸하므로, 그것은 영원하지 않은 것입니다.” “그것은 괴로운 것입니까, 괴롭지 않은 것입니까?” “세존이시여, 괴로움도 멸하므로, 그것은 괴로운 것이 아닙니다. 괴로움이란 곧 뒤바뀐 법인데, 이 뒤바뀐 법을 저 성문(聲聞)들은 조금 알고 조금 들었으면서, ‘나는 큰 성문이다. 나는 매우 지혜롭다’라고 일컬으며, 나라는 생각을 일으킵니다. 나라는 생각[我想]은 잘못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또 말씀하셨다.

“수ㆍ상ㆍ행ㆍ식은 영원한 것입니까, 영원하지 않은 것입니까?” “멸하는 것이므로 영원하지 않은 것입니다.” “그것은 괴로운 것입니까, 괴롭지 않은 것입니까?” “세존이시여, 괴로움의 법은 뒤바뀜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것이니, 이 뒤바뀜의 법이 곧 괴로움입니다. 그런데 저 성문들은 조금 알고 조금 들었으면서 나라는 생각을 냅니다. 그래서 ‘나는 큰 성문이다. 나는 매우 지혜롭다’라고 일컫습니다. 그 나라는 생각은 잘못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대왕이여, 그렇습니다, 그렇습니다. 잘 생각했습니다. 과거ㆍ미래ㆍ현재나 안팎 중간에 있는 이 색온법(色蘊法)은 크거나 작거나, 높거나 낮거나, 혹은 가깝거나 멀거나, 그 일체 법은 본래 있지 않고, 모양이 없으며, 내가 없는 것입니다.

대왕이여, 그 바른 지혜로써 참되게 보아야 합니다.”

부처님께서는 다시 말씀하셨다.

“대왕이여, 더 나아가, 과거ㆍ미래ㆍ현재나 안팎 중간에 있는 수ㆍ상ㆍ행ㆍ식은 크거나 작거나, 높거나 낮거나, 혹은 가깝거나 멀거나, 그 일체 법은 본래 있지도 않고 모양도 없으며, 나도 없는 것입니다. 대왕이여, 이와 같이 그 바른 지혜로써 참되게 보아야 합니다.”

그 때 그 모임 가운데의 성문들은 이 법을 듣고, 색이 영원하지 않음을 깨닫고, 나아가 수ㆍ상ㆍ행ㆍ식의 영원하지 않음도 깨달았다. 그리고는 싫어해 떠날 마음을 내었고, 싫어해 떠나 해탈을 얻고, 해탈을 증득한 뒤에는 바른 지혜가 앞에 나타나 ‘나는 해탈을 얻었다. 내 생(生)은 이미 다하고, 범행은 이미 서고, 할일은 이미 마쳐, 뒷몸을 받지 않는다’라고 하게 되었다. 그 때 빈바사라왕은 이 설법을 듣고 티끌을 멀리하고 때[垢]를 여의어 법안(法眼)이 청정해졌다. 또 그 모임 가운데 있던 8만의 하늘 사람과 수없는 바라문과 장자들도 티끌을 멀리하고 때를 여의어 법안이 청정해졌다.

그 때 빈바사라왕은 법안이 청정해져 바른 지견을 얻고, 견고하게 법에 머물러, 모든 욕심과 모든 고뇌를 떠나, 불법 안에서 법에 두려움이 없게 되었다. 그 때 대왕은 곧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 어깨를 드러내고, 부처님을 향해 합장하고, 진실한 믿음으로 정수리로 예배한 뒤에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는 큰 이익을 얻었습니다, 저는 큰 이익을 얻었습니다. 저는 부처님과 법과 스님들에게 귀의하기를 맹세하오며, 근사계(近事戒)를 받아 지금부터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살생하지 않고, 나아가 술을 마시지 않겠습니다.”

또 아뢰었다.

“저는 이제 정성스런 마음으로 부처님을 청하고 왕사성으로 돌아가려 합니다. 원컨대 세존께서는 가엾이 여겨 저의 청을 받아 주소서. 이 생(生)이 다하도록 받들어 섬기고 공양하며, 나아가 의복ㆍ음식ㆍ침구ㆍ의약 등 필요한 물건을 모두 갖추겠사오며, 모든 필추들께도 또한 그렇게 하겠습니다.”

그 때 세존께서는 왕의 청을 받고 잠자코 계시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