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보법의경(佛說普法義經)

불설보법의경(佛說普法義經)

후한(後漢) 안식국(安息國) 삼장 안세고(安世高) 한역
김영률 번역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舍衛國)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셨다. 이 때 현자(賢者) 사리불(舍利弗)이 비구들에게 설법 듣기를 청하여 말했다.

“처음도 역시 좋고 중간도 역시 좋으며 끝도 역시 좋으니, 잘 알고 분별하여 깨끗함을 갖추십시오. 현자의 행을 들으면 법행(法行)이 구족했다고 이름하리니, 마땅히 듣고 마음으로 잘 생각하십시오.”

비구들은 현자의 말에 따라 현자 사리불의 설법을 들었다.

현자 사리불이 곧 말했다.

“열두 가지를 알아야 능히 현자의 도(道)에 이르게 됩니다.

무엇이 열두 가지인가? 첫째는 스스로 자신을 가르침이요, 둘째는 역시 남을 가르침이요, 셋째는 사람 가운데 태어남이요, 넷째는 현자 가운데 태어남이요, 다섯째는 근문(根門)이 구족함이요, 여섯째는 세간의 업(業)에 떨어지지 않음이요, 일곱째는 현자를 뵙고 기뻐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부처님이 세상에 계심이요, 아홉째는 역시 설법하는 것이요, 열째는 이미 설법한 것을 받아 지니는 것이요, 열한째는 외수(外受)를 들음이요, 열두째는 방편에 의지하여 베푸는 것입니다.

이것이 현자의 열두 가지 시취회(時聚會)1)가 되며 현자의 도를 얻게 되는 것이니, 이것을 따라 실천해야 합니다.

만약 경을 다른 사람에게 말해주고자 한다면 마땅히 스무 가지 품목[品]으로 말해야 합니다.

무엇이 스무 가지 품목인가? 첫째는 좋은 말을 말해야 하며, 둘째는 많은 말을 해주어야 하며, 셋째는 앞과 뒤를 말해야 하며, 넷째는 차례대로 말해야 하며, 다섯째는 즐거운 말로 말해야 하며, 여섯째는 옳은 말로 말해야 하며, 일곱째는 뜻을 알도록 말해야 하며, 여섯째는 부끄러움이 없는 말을 해야 하며, 아홉째는 잘못을 꾸짖는 말을 하지 말아야 하며, 열째는 조리에 맞는 말을 해야 하며, 열한째는 근기에 맞춰 말해야 하며, 열두째는 산란하지 않게 말해야 하며, 열셋째는 법답게 말해야 하며, 열넷째는 대중을 따라 말해야 하며, 열다섯째는 평등한 마음으로 말해야 하며, 열여섯째는 뜻을 돕고 보호하는 말을 해야 하며, 열일곱째는 명성을 바라고 말하지 말아야 하며, 열여섯째는 이익을 챙겨서 말하지 말아야 하며, 열아홉째는 스스로를 드러내는 말을 하지 말아야 하며, 스무째는 조리 있는 말 외에는 말하지 말아야 함입니다.

만약 현자여, 비구들이 남을 위해 말하고자 하면 마땅히 이 스무 가지의 품으로 말해야 합니다.”

사리불은 또 비구들에게 말했다.

“법을 듣고자 한다면 마땅히 열여섯 가지의 업(業)이 있어야 합니다.

무엇이 열여섯 가지인가? 첫째는 때에 맞추어 들을 수 있어야 함이요, 둘째는 많이 들어야 함이요, 셋째는 귀를 기울여 들어야 함이요, 넷째는 마땅히 섬겨야 함이요, 다섯째는 따지지 말아야 함이요, 여섯째는 허물을 꾸짖지 말아야 함이요, 일곱째는 장단점을 따지지 말아야 함이요, 여덟째는 마땅히 법을 공경해야 함이요, 아홉째는 마땅히 설법하는 사람을 공경해야 함이요, 열째는 마땅히 법을 가볍게 보지 말아야 함이요, 열한째는 또한 설법하는 사람을 경시하지 말아야 함이요, 열두째는 역시 자신을 경시하지 말아야 함이요, 열셋째는 한결같은 마음이어야 함이요, 열넷째는 다른 마음을 재지 말아야 함이요, 열다섯째는 바르게 마음을 가져야 함이요, 열여섯째는 일체의 생각을 깨달아야 함이니 그래야 법의 바름을 들을 수가 있습니다.

만약 현자가 법을 듣고자 한다면 마땅히 이 열여섯 가지의 행을 생각해야 법을 들을 수가 있습니다.

무엇이 열여섯 가지 행인가? 첫째는 자주 법을 들어야 하며, 둘째는 법을 많이 들어야 하며, 셋째는 귀를 기울여서 법을 들어야 하며, 넷째는 섬겨서 법을 들어야 하며, 다섯째는 꾸짖음이 없이 법을 들어야 하며, 여섯째는 단점을 찾지 말고 법을 들어야 하며, 일곱째는 법을 공경하며 들어야 하며, 여덟째는 경을 말하는 이를 공경하여 법을 들어야 하며, 아홉째는 법을 경시하지 말고 법을 들어야 하며, 열째는 법을 말하는 이를 경시하지 말고 법을 들어야 하며, 열한째는 자신을 경시하지 말고 법을 들어야 하며, 열두째는 한결같은 마음으로 법을 들어야 하며, 열셋째는 다른 마음이 없이 법을 들어야 하며, 열넷째는 마음을 바르게 가지고 법을 들어야 하며, 열다섯째는 오로지 한마음으로 법을 들어야 하며, 열여섯째는 마음이 안정되고 나서 법을 들어야 합니다.

만약 현자가 법을 듣고자 한다면 마땅히 열여섯 가지를 생각하고 법을 들어야 합니다.

이미 법 듣기를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한다면 곧 믿음이 생기는 마음이 되고, 이로부터 무위(無爲)에 이를 것입니다. 이미 이러한 법을 들었다면 곧 현자는 욕심 없는 것을 사랑하고, 이로부터 무위에 이를 것입니다. 만약 이러한 법을 들었다면 곧 기뻐하는 마음이 생기고 이로부터 무위에 이를 것입니다. 만약 이와 같은 법을 들었다면 곧 악이 나타나는 마음을 버려서 마음이 안정될 것이며, 이로부터 무위에 이를 것입니다. 이미 이와 같은 법을 들었다면 의심하는 견해를 버려서 최고의 밝음을 얻고, 장차 무위에 이를 것입니다. 이미 이러한 법을 들었다면 곧 5음(陰)은 소유할 것이 없음을 볼 것이요, 곧 5음은 비었음을 볼 것이며,-곧 가벼워짐을 볼 것입니다. 이렇게 봄으로써 곧 마음이 풀리고 마음이 청정해지고 마음이 머물러서 문득 마음은 해탈하게 됩니다. 이처럼 이를 좇아서 무위에 이를 것입니다. 이미 이러한 법을 들었다면 모든 세상의 지어감[行]이 공(空)함을 볼 것이며, 다시는 가서 머물지 않으며, 문득 애욕이 다하여 사라져서 곧 무위의 마음에 머물러 해탈 을 얻을 것이며, 이를 좇아서 무위에 이를 것입니다.

이미 이와 같은 법을 들었다면 마음으로 수행을 하고자 하며, 이 수행을 따라 홀로 앉아 망상을 끊고 제1원(第一願)을 얻을 것이며 이를 좇아 무위에 이를 것입니다.

이미 이와 같은 법을 들었다면 법의 눈이 깨끗하여 4제(諦)를 볼 것이고 이로부터 무위에 이를 것입니다.

이미 이와 같은 법을 들었다면 행이 원만하고 이로부터 무위에 이를 것입니다.

이미 이와 같은 법을 들었다면 현자인 불[道]제자는 설법하는 이를 괴롭히지 않으며 또한 설법을 따라 즐거움을 얻고, 또한 교법(敎法)을 범하지 않으며 편안함을 따르고, 스스로 구하는 것에 만족하고자 하면 곧 열 가지 법을 따라야 지혜의 행에 이르게 됩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첫째는 선지식을 따름이요, 둘째는 계를 잘 지킴이요, 셋째는 벗과 잘 지냄이요, 넷째는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요, 다섯째는 가르침을 받는 것이요, 여섯째는 질문하는 것이요, 일곱째는 경을 들음이요, 여섯째는 경을 말씀하실 때에 모이는 것이요, 아홉째는 놀라고 두려운 것을 인연해서 놀라고 두려운 것을 터득함이요, 열째는 이미 놀라고 두려워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그 근본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이 때 근본을 관찰하면 문득 모든 악한 법이 끊어집니다. 능히 근본을 관찰하여 끊어버리고, 능히 이 법을 물리친다면 곧 마음이 안정되고 자재함을 얻게 되니 이는 모두 근본을 따라 관찰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진실로 근본을 따라 이미 버렸다면 불제자는 곧 열 가지 생각을 행해야 합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첫째는 깨끗하지 않다는 생각을 해야 합니다. 둘째는 무상하다[非常]는 생각을 해야 합니다. 첫째는 무상하기 때문에 괴로움이 된다는 생각을 해야 합니다. 넷째는 괴로운 것은 내가 아니라는[非身] 생각을 해야 합니다. 다섯째는 음식을 더럽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여섯째는 모든 세상에는 즐거움을 구할 것이[欲樂] 없다는 생각을 해야 합니다. 일곱째는 죽음을 생각해야 합니다. 여덟째는 밝지 않다[不明]는 생각을 해야 합니다. 아홉째는 물리친다는 생각[却意]을 해야 합니다. 열째는 사라진다[滅]는 생각을 해야 합니다.

깨끗하지 않다는 생각을 하는 데에는 현자여, 열네 가지의 삿된 법[邪法]이 따릅니다.

무엇이 열 네 가지인가? 첫째는 본취(本聚)와 함께 살면서 마음을 잃어버림이요, 둘째는 본취를 탐하여 보는 것이요, 셋째는 빨리 하고자 함이요, 넷째는 깨끗하지 못한 생각으로 의로운 행을 알지 못함이며, 다섯째는 능히 부정관(不淨觀)을 얻지 못함이요, 여섯째는 악업(惡業)을 행하는 사람과 함께 일을 하는 것이요, 일곱째는 옳은 것을 알지 못함이요, 여덟째는 섬기지 않음[不事]이요, 아홉째는 묻지 않음이요, 열째는 6근(根)을 지키지 많음이요, 열한째는 음식에 만족을 알지 못함이요, 열두째는 초저녁과 새벽에 앉아 수행하지 않음이요, 열셋째는 홀로 앉아서 생각하지 않음이요, 열넷째는 진실하게 무상하다는 생각을 관찰하지 않는 것입니다.

현자여, 세상의 욕망은 무상하여 괴롭다는 생각을 하는 데는 여섯 가지의 악한 법이 따르게 됩니다.

무엇이 여섯 가지인가? 첫째는 만족하지 못하는 것이요, 둘째는 정진(精進)하지 않음이요, 셋째는 믿지 않음이요, 넷째는 욕심을 냄이요, 다섯째는 고요한 곳에 앉으려 하지 않음이요, 여섯째는 괴로움은 진실로 내가 아니라는 생각을 관찰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몸이 더러운 것을 보고 음식을 생각한다면 맛의 탐닉에 집착하지 않을 것이며 모든 세상에 안락함이 없다는 생각을 하면 세상 만물에 탐욕하는 행위를 하게 됩니다.

죽음을 생각한다면 명(命)을 따르는 행을 떠나게 될 것입니다.

밝음을 생각하는 데는 현자여, 열한 가지의 삿됨이 따르게 됩니다.

무엇이 열한 가지인가? 첫째는 의심하는 것이요, 둘째는 생각하지 않는 것이요, 셋째는 몸이 거칠다는 것이요, 넷째는 잠자는 것이요, 다섯째는 지나치게 정진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정진을 떠나는 것이요, 일곱째는 망령되이 기뻐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두려워하는 것이요, 아홉째는 한결같은 생각이 없음이요, 열째는 주장이 없음이요, 열한째는 익숙하게 색(色)을 관찰하 는 것을 물리치는 것입니다.

생각하는 것과 도에서 떠나는 것을 멸하는 것이라 생각한다면 마치 마음은 법(法)에 두고 있으면서도 도에서 멀어지는 것과 같습니다. 현자여, 도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을 아직 무너뜨리지 못해서 무너뜨리고자 한다면 세 가지의 법이 있습니다.

무엇이 세 가지인가? 첫째는 닦고자 함이요, 둘째는 끊어버리는 것이요, 셋째는 좌행(坐行)하는 것입니다.

깨끗하지 않다는 생각에는 현자여, 열네 가지의 법을 행해야 합니다.

무엇이 열네 가지인가? 첫째는 본취(本聚)와 함께 살지 않는 것이요, 둘째는 마음을 쉬는 것이요, 셋째는 본취를 보지 않는 것이요, 넷째는 스스로를 지키는 것이요, 다섯째는 빨리 하고자 아니함이요, 여섯째는 청정한 생각으로 모양을 따르지 않음이요, 일곱째는 깨끗하다는 생각으로 관찰하지 않음이요, 여덟째는 세속사람과 함께 하고자 하지 않음이요, 아홉째는 세상의 행을 받고자 하지 않음이요, 열째는 스스로 육근(六根)을 지킴이요, 열한째는 음식에 만족함을 아는 것이요, 열두째는 초저녁이나 새벽에 수행하여 잠자지 않아야 함이요, 열셋째는 욕심을 싫어하고 홀로 앉아있는 것이요, 열넷째는 진리대로 깨끗하지 않다는 생각을 관찰하여 행하고 많이 익히는 것입니다.

현자여, 이런 행위로부터 애욕이 끊어집니다.

무상하다는 생각을 긍하고 많이 익히면 이로부터 애욕이 끊어집니다.

무상하여 괴롭다는 생각을 이미 배우고 행하고 많이 익히면 이로부터 어리석음이 끊어집니다. 괴로움이 〈나〉가 아니라는 생각을 이미 배우고 행하고 많이 익히면 이로부터 〈나〉라는 소견이 끊어집니다.

음식이 더럽다는 생각을 이미 배우고 행하며 많이 익히면 이로부터 애착이 끊어집니다.

세상은 즐겁지 않다는 생각을 이미 배우고 행하며 많이 익히면 이로부터 세상이 단정(端正)하다 함을 끊어버릴 것입니다.

죽음의 생각을 이미 배우고 행하며 많이 익히면 마음에 집착하는 수명은 이로부터 끊어집니다.

밝다는 생각을 이미 배우고 행하며 많이 익히면 이로부터 지혜의 소견에 이를 것입니다.

물리치는 생각을 이미 배우고 행하며 많이 익히면 이로부터 애착이 끊어집니다.

사라진다는 생각을 이미 배우고 행하며 많이 익히면 삿됨으로부터 떠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진실해야 합니다.

현자여, 불제자는 스무 가지 법이 있어서 도를 따르지 못하게 됩니다.

무엇이 스무 가지인가? 첫째는 도를 행하지 않는 이와 함께 사는 것이요, 둘째는 묻지 않는 것이요, 셋째는 행위를 하되 응할 바를 알지 못함이요, 넷째는 어리석음이요, 다섯째는 악을 행함이요, 여섯째는 탐욕의 마음이요, 일곱째는 일이 많음이요, 여덟째는 정진을 적게 함이요, 아홉째는 상(相)을 무너뜨리고 스스로에게 돌아감이요, 열째는 형상을 따름이요, 열한째는 자랑되기를 구하는 것이요, 열두째는 전도(顚倒)됨이요, 열셋째는 마음을 잃어버림이요, 열넷째는 탐욕이요, 열다섯째는 불선(不善)한 무리와 함께 사는 것이요, 열여섯째는 근문(根門)을 지키지 못함이요, 열일곱째는 음식에 만족을 알지 못함이요, 열여덟째는 초저녁이나 새벽에 수행하지 않음이요, 열아홉째는 홀로 앉아 사유(思惟)하는 것을 기뻐하지 않음이요, 스무째는 진실하게 관찰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것이 스무 가지의 일입니다.

현자의 도와 멀어지게 하는 것을 끊지 못하여 이를 끊고자 한다면 열한 가지의 법이 있습니다.

무엇이 열한 가지인가? 첫째는 닦고자 함이요, 둘째는 얻음이요, 셋짼 편안함을 볼 것이요, 넷째는 우러럼이 있을 것이요, 다섯째는 낭비함이 없음이요, 여섯째는 뛰어남이요, 일곱째는 법상(法相)을 얻음이요, 여덟째는 따르는 것이요, 아홉째는 묻는 것이요, 열째는 스스로를 지키는 것이요, 열한째는 진실하게 관찰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바르게 합일되는 데에는 현자여, 불제자에게 스무 가지의 법이 있습니다.

무엇이 스무 가지인가? 첫째는 도를 행하는 이와 함께 하는 것이요, 둘째는 물음이요, 셋째는 행위를 하되 응할 것을 아는 것이요, 넷째는 어리석지 않음이요, 다섯째는 함게 행함이요, 여섯째는 탐욕이 없음이요, 일곱째는 일을 적게 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정진을 버리지 않음이요, 아홉재는 횡재(橫災)가 없음이요, 열째는 형상을 따르지 않음이요, 열한째는 자랑을 바라지 않음이요, 열두째는 전도되지 않음이요, 열셋째는 마음을 지키는 것이요, 열넷째는 탐욕을 내지 않음이요, 열다섯째는 선(善)한 무리와 함께 사는 것이요, 열여섯째는 근문(根門)을 지키는 것이요, 열일곱째는 음식에 만족할 줄 아는 것이요, 열여덟째는 초저녁이나 새벽에 수행하는 것이요, 열아홉째는 홀로 앉아 사유하기를 기뻐하는 것이요, 스무째는 이 스무 가지를 진실하게 관찰해야 하는 것입니다.

만약 그러하다면 현자여, 당연히 스물두 가지의 시처(時處)로 돌아가야 합니다. 이미 사문(沙門)이 되어 도를 행하는 사람은 빨리 이곳을 관찰해야 합니다.

무엇이 스물두 가지인가? 첫째는 이미 단정(端正)하지 않은 몸을 받았다 하는 것이요, 둘째는 이미 업을 달리했구나 함이요, 셋째는 나의 목숨을 타인에게 의했구나 함이요, 넷째는 목숨이 다할 때까지 마땅히 의복·음식·의약·침구를 구걸해야 한다 함이요, 다섯째는 목숨이 다할 때까지 욕망에 이미 덮여버렸구나 함이요, 여섯째는 목숨이 다할 때까지 인간의 몸은 즐거움을 누리고자 하나니 이미 사문이 되었으니 빨리 이를 관찰해야 한다 함이요, 일곱째는 나의 몸을 상하고 무너뜨리지 않아야 한다 함이요, 여덟째는 홀로 공(空) 가운데서 즐거움을 얻었는가 함이요, 아홉째는 음식을 수용함에 죄됨이 없었는가 함이요, 열째는 내 몸이 계(戒)를 잃어버리지 않았다 함이요, 열한째는 나는 수행을 같이하는 이를 힐난하고 논의하지 않았는가 함이요, 열두째는 나의 도가 네 가지 덕[四德]의 과위(果位)를 얻고 목숨이 다할 때에 수행을 같이 한 이가 질문을 해서 나로 하여금 말할 수 있게 해야 하고 나로 하여금 그때에 잠시라도 욕심을 내게 해서는 안 되니 수행하는 사람은 도를 행하고자 하는 자로서 마땅히 이를 관찰해야 한다 함이요, 열셋째는 나는 5음(陰)이 무상하다는 관찰을 얻었는가 함이요, 열넷째는 나는 5음은 소유할 것이 없다는 관찰을 얻었는가 함이요, 열다섯째는 나는 5음은 거듭하지 않는 것을 관찰하고 마음을 돌이켜 해탈에 머물러야 하니 도를 행하는 자는급히 이를 관찰해야 한다 함이요, 열여섯째는 나는 세상의 지어감[行]이 공(空)하여 애욕에 집착하지 않고 다 떠나고 사라지게 해서 마음이 환희에 머물러 해탈을 얻어야 하니 형상을 떠나 빨리 이곳을 관찰해야 한다 함이요, 열일곱째는 생자(生者)가 되어 생을 벗어나지 못했다 함이요, 열여덟째는 늙었어도 늙음을 벗어나지 못했다 함이요, 열아홉째는 병이 들어도 병을 벗어나지 못했다 함이요, 스무째는 법에는 마땅히 죽어야 하나 죽는 법도 해탈하지 못했으니 형상을 피해 빨리 이를 관찰해야 한다 함이요, 스물한째는 내가 사랑하고 함께 만난 온갖 것은 마땅히 헤어지거나 혹은 없어지거나 혹은 남이 가지고 가거나 혹은 죽거나 오래 머물지 못하니 형상을 피해 빨리 때와 곳을 분별하여 관찰해야 한다 함이요, 스물두째는 각자의 행을 따라 얻고 각자의 행을 따라 괴로움을 받으며 각자가 선악을 짓되 행한 것에 따라 받는 것이니 형상을 피해 빨리 때와 곳을 관찰해야 한다 함입니다.

이런 때문에 스물두 가지의 행을 이미 배우고 행하며 많이 익히면 원만한 사문이 되며 또한 행자(行者)로서 생각해야 하는 것들입니다.

이미 사문이 되고 행자로서 생각이 원만해지면 곧 일곱 가지의 생각이 원만해집니다.

무엇이 일곱 가지인가? 첫째는 항상 행하고 그치지 않아 득입(得入)하게 되며, 둘째는 물러서지 않는 것이며, 셋째는 다투지 않게 되며, 넷째는 곧은 생각을 하게 되며, 다섯째는 교만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게 되며, 여섯째는 세간에 있으나 옷과 음식만을 구하게 되며, 일곱째는 마음을 쉬고 자재함을 얻어 현자가 됩니다.

이 뜻과 마음과 의식[識]은 수없는 오랜 시간을 밤낮으로 물질과 소리와 냄새에 길이 들어 세간에서는 익숙하게 제어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미 능히 제지하면 문득 감로(甘露)의 종자에 들어가게 되니 마땅히 이렇게 해야 합니다.

현자여, 스무 가지의 행에 있어서 도를 얻지 못한 이는 마음으로 두려워해야 합니다.

무엇이 스무 가지인가? 첫째는 공(空)의 도리에 깨달아 들어가지 못했구나 함이요, 둘째는 불법을 배우지 못한 채 죽는구나 함이요, 셋째는 극단에떨어졌구나 함이요, 넷째는 두려운 법을 믿고 있구나 함이요, 다섯째는 두려움이 없는 법을 알지 못하는구나 함이요, 여섯째는 도를 알지 못했구나 함이요, 일곱째는 마음의 안정(定)을 얻지 못했구나 함이요, 여덟째는 후세에는 괴로움을 받겠구나 함이요, 아홉째는 현자를 만나기가 어렵겠구나 함이요, 열째는 개세간(開世間)과 문세간(門世間)의 사람은 다름이 없구나 함이요, 열한번째는 지옥을 피할 수 있는 교량을 만들지 못했구나 함이요, 열두째는 악처(惡處)를 알지 못했구나 함이요, 열셋째는 의심이 끝이 없구나 함이요, 열넷째는 세간의 요체(要諦)를 체득하지 못했구나 함이요, 열다섯째는 지혜롭지 못하고 어리석은 시절을 벗어나지 못하는구나 함이요, 열여섯째는 갑(甲)에게는 하지 못하고 을(乙)에게는 고의로 했구나 함이요, 열일곱째는 지음[作]이 없으면 역시 지음에 응하는 것이 없구나 함이요, 열여덟째는 지음이 없으면 역시 길흉(吉凶)도 없구나 함이요, 열아홉째는 이미 지은 것은 없어지지 않는구나 함이요, 스무째는 단지 스스로 행하여 얻게 되고 스스로 행하여 따르게 되며 스스로 행하여 바탕을 이루고 스스로 행함에 귀착하게 되는구나 함입니다.

만약 사람이 스스로 선과 악을 행함이 있게 되면 마땅히 그 행함을 받게 되는 것이니 기세간(器世間) 사람들은 마땅히 이를 따라 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이 스무 가지의 인연을 마음으로 싫어하고 다시 싫어하며 두려워하고 다시 두려워하여 물리치며, 떠나고 다시 떠나게 하는 데에는 스무 가지의 행을 마음으로 빨리 쉬어야 합니다.

무엇이 스무 가지인가? 첫째는 마음으로 생각하여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둘째는 마음을 알아서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셋째는 마음은 이미 한마음이니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넷째는 바른 생각을 알아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다섯째는 바른 머무름을 생각하고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여섯째는 바르게 일어나는 것을 생각하여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일곱째는 생각을 거두어서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여덟째는 생각을 잘 도와서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아홉째는 생각을 잘 지켜서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열째는 4의지(意止)를 행하여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열한째는 4단의(斷意)로서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열두째는 4족신(足神)으로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열셋째는 행하지 못할 것을 떠나서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열넷째는 마땅히 행할 것을 가까이하여 마음을 빨리 쉬여야 합니다. 열다섯째는 배움을 남에게 의지하여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열여섯째는 경문(經文)을 읽고 또한 이해하여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열일곱째는 슬퍼하고 아파하는 마음으로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열여덟째는 도(道)를 기뻐하여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열아홉째는 마땅히 일을 알고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스무째는 옳은 것을 행하여 마음을 빨리 쉬어야 합니다.

이와 같이 몸을 바르게 하는데는 현자들이여, 부처님의 제자로서는 열한 가지의 장애가 있으니 마땅히 이를 알아야 합니다.

무엇이 열한 가지인가? 첫째는 모임을 갖는 것이요, 둘째는 음식이 많음이요, 셋째는 일이 많음이요, 넷째는 이야기가 많음이요, 다섯째는 잠이 많음이요, 여섯째는 삿된 행을 즐김이요, 일곱째는 함께 있기를 좋아함이요, 여덟째는 몸을 즐겁게 도움이요, 아홉째는 경솔함이요, 열째는 탐욕스럽고 음란함이요, 열한째는 불선(不善)한 군현(郡縣)에 사는 것입니다. 이것이 현자여, 장애되는 바를 끊지 못하는 것이니 마땅히 끊어버리기 위해서 다시 열 가지를 배워야 합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 첫째는 마음이 선정(禪定)에 드는 것이요, 둘째는 선정에 머무름이요, 첫째는 선정에서 일어나는 것이요, 넷째는 그치는 것이요, 다섯째는 억제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수호함이요, 일곱째는 근본을 지킴이 요, 여덟째는 장애법을 수호함이요, 아홉째는 방편이요, 열째는 진리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진리에 들어가면 불제자는 열세 가지의 덕이 있게 됩니다.

무엇이 열세 가지인가? 첫째는 여래(如來)를 생각하면 문득 기쁜 믿음을 얻게 되어 즐거움이 생기며, 둘째는 법 또한 그러하며, 셋째는 배움 또한 그러하며, 넷째는 스스로 계(戒)를 지킴도 역시 그러하며, 다섯째는 남에게 계를 지키게 함도 그러하며, 여섯째는 자신이 얻는 것도 그러하며, 일곱째는 남이 얻는 것도 그러하며, 여덟째는 자신이 보시함도 그러하며, 아홉째는 남이 보시함도 그러하며, 열째는 도력(道力)이 많아 괴로움을 제거하게 되며, 열한째는 세간에서 경을 많이 설하여 사려(思慮)를 얻게 하며, 열두째는 수없이 행한 악을 물러가게 하며, 열셋째는 수없는 선법을 행함으로 인하여 기쁨이 생기는 곳에 들어가고 믿음에는 즐거워하는 종자가 심어집니다.

이와 같은 즐거움은 불제자로서는 마땅히 네 가지 법에 의지함으로써 다섯 가지 법이 원만하게 됩니다.

무엇을 네 가지 법에 의지한다고 하는가? 첫째는 법에 의지하는 것이요, 둘째는 욕(欲)에 의지하는 것이요, 셋째는 정진(精進)에 의지하는 것이요, 넷째는 혼자 앉아 있는 것에 의지하고 다른 욕망에 집착하지 않는 것입니다.

무엇을 다섯 가지 법이 원만하여 도의 쓰임이 되는가? 첫째는 기뻐하게 되고, 둘째는 사랑하게 되고, 셋째는 의지하게 되고, 넷째는 즐거워하게 되고, 다섯째는 안정이 되게 하는 것입니다.

이와같이 기쁘게 수행한다면 불제자는 능히 여덟 가지의 종기[瘡]가 사라지게 됩니다.

무엇이 여덟 가지라 하는가? 첫째는 욕망의 종기요, 둘째는 성냄의 종기요, 셋째는 고집하는 종기요, 넷째는 교만의 종기요, 다섯째는 애욕의 종기요, 여섯째는 어리석음의 종기요, 일곱째는 이익과 명성을 공경하는 종기요, 여덟째는 의혹으로 깨닫지 못하는 종기입니다.

수행자가 이미 이 여덟 가지의 종기를 능히 없애고 사라지게 한다면 곧 배움을 떠난 열 가지 법으로 세간을 건널 수 있습니다.

무엇이 열 가지인가?첫째는 배움을 떠난 바른 소견이요, 둘째는 바른 다스림이요, 셋째는 바른 소리요. 넷째는 바른 행이요, 다섯째는 바른 소유이며, 여섯째는 바른 방편이요, 일곱째는 바른 생각이요, 여덟째는 바른 선정(禪定)이요, 아홉째는 바른 해탈이요, 열째는 바른 지혜입니다.

이 열 가지 배움을 떠난 법을 가지고 이 인연을 따르면 바름을 얻어 서로 합하게 됩니다.

문득 다섯 가지의 바름을 버리고 여섯 가지를 따라서 하나를 지켜 네 가지에 의지한다면 진실함이 적지 않습니다.

이미 재액(災厄)을 버리고 구하는 것에 집착하지 않아 신행(身行)도 그치고 성행(聲行)도 그치며, 심행(心行)도 그쳐서 마음의 생각도 그치면 최고의 지혜에 이르고 남김이 없는 데에 이르게 되어 행이 구족했다는 이름이 높아질 것입니다.

현자여, 이러한 현자의 최후의 뜻과 마음과 의식은 멀리서 왔으나 짓지도 않고 보이지도 않고 또 만나지도 않아서 곧 괴로움이 끊어집니다.

처음에 말한 것은 현차가 설법하는 것을 들은 것입니다. 처음도 좋고, 중간도 역시 좋고, 마지막도 역시 좋아서 날카로운 근기가 있는 이는 진리에 들어가게 함이 있으니 가장 깨끗함을 갖추고 깨끗함을 아울러서 요체의 도를 말한 것이니 이로운 법이 구족됨은 이에서 인연한 것입니다.

처음에 말한 것은 이런 까닭에 말한 것입니다.”

현자 사리불이 이와 같이 말하자 비구들은 지극한 마음으로 이 말을 생각하고 받들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