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입제불경계지광명장엄경(大乘入諸佛境界智光明莊嚴經) 제3권

대승입제불경계지광명장엄경(大乘入諸佛境界智光明莊嚴經) 제3권

“다시 묘길상이여, 중생의 얼굴에 상ㆍ중ㆍ하가 있기 때문에 허공에 상ㆍ중ㆍ하가 있다고 한다. 여래ㆍ응공ㆍ정등정각도 이와 같아서 모든 곳에 평등하여 차별과 분별이 없고 생함도 없고 멸함이 없으며, 과거ㆍ미래ㆍ현재가 없으며, 색상(色相)이 없고 희론이 없으며, 표시가 없고 시설이 없으며, 각촉(覺觸)이 없고 집착이 없으며, 헤아림[稱量]이 없고 헤아림을 초월하며, 비유가 없고 비유를 초월하며, 머무름이 없고 취함이 없으며, 눈의 경계를 초월하고 마음과 뜻과 알음알이를 떠났으며, 상모(狀貌)가 없고 문자가 없으며, 음성이 없고 작의(作意)가 없으며, 나감이 없고 들어옴이 없으며, 높음이 없고 낮음이 없으며, 말의 경계를 초월하고 일체의 곳에 앎을 따르고 들어감을 따르나니, 다만 중생들이 상ㆍ중ㆍ하의 성품을 위하기 때문에 여래에게 상중하가 있음을 보느니라.

묘길상이여, 그러나 여래께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하지 않으신다.

‘지금 이 1류(類)는 하품(下品) 신해의 중생이니, 나는 마땅히 이들을 위해 하품의 신상을 나타내리라. 이 1류는 중품 신해의 중생이니, 나는 마땅히 이들을 위해 중품의 신상을 나타내리라. 이 1류는 상품 신해의 중생이니, 나는 마땅히 이들을 위해 상품의 신상을 나타내리라.’

여래의 설법도 이와 같아서 다만 한 음성으로 중생을 위해 설법하면 그 중생의 무리에 따라 각각 깨닫는 것이다.

여래께서는 또 다음과 같이 생각하지 않으신다.

‘이 무리 중생은 하품의 신해이니, 나는 마땅히 이들에게 성문승의 법을 설하리라. 이 무리 중생은 중품의 신해이니, 나는 마땅히 이들에게 연각승의 법을 설하리라. 이 무리 중생은 상품의 신해이니, 나는 마땅히 이들에게 보살승의 법을 설하리라.’

여래께서는 또 다음과 같이 생각하지 않으신다.

‘이 무리 중생의 신해는 보시이니, 나는 마땅히 이들에게 보시바라밀다의 법을 설하리라. 이 무리 중생의 신해는 지계(持戒)ㆍ인욕ㆍ정진ㆍ선정ㆍ지혜이니, 나는 마땅히 이들에게 모든 바라밀다의 법을 연설하리라.’

그리하여 여래께서는 모든 법에 대해 분별을 내지 않으신다. 왜냐하면 여래의 법신은 필경 무생(無生)이니 여래는 무생이기 때문이요, 무생이기 때문에 명색으로 연설하거나 알음알이를 따라 변하지 않는다. 여래께서는 찰나의 잠깐 사이에도 분별이 없으시다. 여래께서는 다함없는 상을 갖추셨으니, 진제(盡際)와 실제(實際)가 다 결정되었기 때문이니, 이것이 일체 법의 평등한 실제이다. 여래ㆍ응공ㆍ정등정각께서는 모든 곳에 평등하시어 상ㆍ중ㆍ하의 차별의 분별이 없으시며, 모든 법이 평등하여 상ㆍ중ㆍ하의 차별의 분별이 없는 것도 이와 같으시다. 왜냐하면 일체의 법은 얻을 바가 없기 때문이다.

묘길상이여, 만일 모든 법이 얻을 바가 없으면 곧 모든 법은 평등한 것이요, 만일 법이 평등하면 법은 항상 머무는 것이며, 법이 항상 머물면 움직임이 없고, 움직임이 없으면 의지함이 없으며, 만일 모든 법이 의지함이 없으면 마음이 머무는 바가 없고, 마음이 머무름이 없기 때문에 곧 생함[生]이 없으면서도 생하느니라.

만일 이렇게 관찰하면 곧 마음이 마음에 굴려도 전도되지 않고, 그 전도되지 않는 마음은 곧 말대로 얻을 것이며, 만일 말대로 얻으면 곧 희론이 없고, 만일 희론이 없으면 곧 소행이 없으며, 만일 소행이 없으면 곧 유산(流散)이 없고, 만일 유산이 없으면 곧 모임이 없고, 만일 법이 모임 없으면 곧 법성이 어김이 없으며, 만일 법성이 어김이 없으면 곧 모든 곳에 다 수순하고, 만일 모든 곳에 수순하면 곧 법의 자성이 움직임이 없으며, 만일 법의 자성이 움직임이 없으면 곧 법의 자성이 소득이 있고, 만일 법의 자성이 소득이 있으면 곧 조그만 법도 결택(決擇)할 것이 없나니, 왜냐하면 인연에서 생긴 성품임을 마땅히 알기 때문이다.

만일 인연에서 생겼다면 성품은 곧 필경 무생이요, 만일 필경 무생이면 곧 적정(寂靜)을 얻고, 만일 적정을 얻으면 곧 일체 법의 작의가 다 의지함이 없으며, 만일 일체 법의 작의가 다 의지함이 없으면 곧 전혀 의지함이 없고, 만일 의지함이 없으면 곧 얻음도 없고 얻지 않음도 없으며, 만일 얻음도 없고 얻지 않음도 없으면 곧 법이 항상 머물게 되며, 만일 법이 항상 머물게 되면 곧 깊고 견고한 법과 상응하고, 만일 깊고 견고한 법과 상응하면 곧 조그만 법도 머물 수 없고, 또한 불법(佛法)도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공성(空性)을 깨닫기 때문이다.

만일 공성을 깨달으면 그것은 곧 보리(菩提)이니, 이와 같이 공(空)과 상이 없음[無相]과 원이 없음[無願]과 지음이 없음과 집착 없음과 남이 없음과 취함이 없음과 의지함이 없음을 다 깨닫기 때문에 그것이 곧 보리이니, 보리는 깊고 견고한 법과 상응하기 때문에 상응이라는 이름이 건립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높고 낮음이 없는 법과 상응하고 지음이 없고 지음이 없지도 않은 법과 상응하며, 결박이 없고 해탈이 없는 법과도 상응하고, 한 성품이 없고 많은 성품이 없는 법과도 상응하며, 옴이 없고 감이 없음과도 상응하면 그것은 곧 깊고 견고한 법과 상응하는 것이다.

만일 깊고 견고한 법과 상응하면 그것은 곧 상응할 것이 없고, 또한 끊을 것도 없으며, 다시 증과(證果)할 것도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마음의 법은 본래 자성이 밝은데 다만 객진(客塵)의 번뇌에 더럽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은 자성을 더럽힐 수 없는 것이니, 만일 자성이 밝으면 곧 번뇌가 없고, 번뇌가 없으면 곧 대치(對治)할 것이 없을 것이니, 이른바 대치와 번뇌를 다 끊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이미 깨끗해진 것도 없고, 장차 깨끗해질 것도 없어서 청정을 떠나지 않음이 본래 그러하기 때문이다.

만일 청정하면 그것은 곧 무생(無生)이요, 만일 무생이면 곧 움직임이 없으며, 만일 움직임이 없으면 곧 모든 기쁨을 끊고, 일체 사랑함도 다 역시 단멸할 것이요, 만일 모든 사랑이 멸하면 그것은 곧 무생이요, 만일 법이 무생이면 이것은 곧 보리이며, 만일 보리이면 곧 평등이요, 만일 평등이면 곧 진여이며, 만일 진여이면 곧 유위ㆍ무위의 모든 법이 다 머무름이 없고, 만일 진여 가운데 저 유위와 무위의 법이 없으면 곧 두 시설이 없을 것이며, 만일 유위와 무위의 두 시설이 없으면 그것은 곧 진여요, 만일 그것이 진여이면 곧 다른 진여가 없고, 만일 다른 진여가 없으면 곧 종류의 진여가 없으며, 종류의 진여가 없으면 곧 오는 진여가 없고, 만일 오는 진여가 없으면 가는 진여가 없으며, 만일 가는 진여가 없으면 곧 말하는 바와 같은 진여일 것이다.

만일 말과 진여라면 그것은 곧 무생진여요, 만일 무생진여이면 곧 더럽고 깨끗함이 없을 것이며, 만일 더럽고 깨끗함이 없으면 곧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고, 만일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으면 곧 열반 평등이며, 만일 열반 평등이면 곧 생사가 없고 열반도 없으며, 만일 생사도 없고 열반도 없으면 곧 과거ㆍ미래ㆍ현재가 없으며, 만일 과거ㆍ미래ㆍ현재가 없으면 곧 상ㆍ중ㆍ하의 법이 없고, 만일 상ㆍ중ㆍ하의 법이 없으면 그것은 곧 진여로서 진여라는 이름이 이로써 건립된다.

이것은 진여라 하고, 또한 실성(實性)이라고도 하며, 이것을 실성(實性)이라 하고, 또한 여성(如性)이라고도 하며, 이것을 여성이라 하며, 또한 곧 진여라고 한다.

진여는 본래 나와 둘이 아니며, 또한 종류가 없는 것이다. 둘이 없다는 뜻은 곧 보리이니, 보리란 깨달음의 뜻이다. 이 말하는 뜻은 곧 세 가지 해탈문을 증득해 들어가는 지혜이며, 일체 법을 연설하는 지혜이며, 일체 법은 3세에 평등함을 깨닫는 것이요, 일체 법은 깨뜨려짐이 없다는 뜻이다. 이 말하는 뜻은 곧 뜻이 없고 음성이 없으며, 기록이 없고 나타냄과 나타냄에서 일어남이 없는 것이니, 이것을 지혜라 한다. 이른바 뜻이 앎을 따르는 지혜요, 의식이 앎을 따르는 지혜이다. 이 말하는 지혜의 뜻은 곧 여성(如性)의 지혜의 뜻이요, 의식이 앎을 따르는 지혜의 뜻이다.

이와 같이 승의(勝義)는 곧 법의 성품이니, 저 법성의 뜻은 곧 뜻이 앎을 따르는 지혜요, 의식이 앎을 따르는 지혜요, 승의가 앎을 따르는 지혜이다. 그 법성과 같음은 곧 그 뜻과 같음이요, 만일 법성이면 곧 법은 머무는 성품이며, 법은 고요한 성품이다. 그 법의 고요함은 곧 변함이 없나니, 만일 변함이 없다면 곧 글과 뜻이 다 평등하고, 만일 글과 뜻이 평등하면 곧 둘이 없는 뜻이 평등하며, 만일 그 뜻이 평등하면 뜻의 의식도 평등하나니, 이것이 곧 둘이 없는 문에 들어가는 평등의 지혜이며, 이로 말미암아 세속제와 승의제가 다 평등하며, 세속제의 뜻이 평등하기 때문에 곧 공의 뜻과 평등의 성품이 평등하고, 만일 공과 성품의 뜻이 평등하면 그 때문에 곧 보특가라(補特伽羅)의 평등한 성품이 평등하며, 만일 보특가라가 평등하다면 그 때문에 곧 법의 평등의 성품이 평등하다. 만일 법이 평등하면 그 때문에 곧 신해와 평등의 성품이 평등하고, 만일 신해가 평등하면 그것을 깨닫기 때문에 이것은 곧 보리이니라.

묘길상이여, 만일 색의 평등한 성품에 집착이 있고 걸림이 있으면 곧 눈에 걸림이 있나니, 색과 눈의 자성의 지혜에는 걸림이 없기 때문이요, 만일 모든 봄에 집착이 있고 걸림이 있으면 곧 몸에 걸림이 있나니, 모든 견취(見趣)와 몸 가운데의 자성의 공의 지혜에는 걸림이 없기 때문이며, 만일 깊고 견고하지 않은 작의에 집착이 있고 걸림이 있으면 곧 법의 광명에 걸림이 있나니, 깊고 견고한 작의와 모든 법의 자성이 공함을 관찰하는 지혜는 걸림이 없기 때문이요, 만일 의혹과 더러움에 집착이 있고 걸림이 있으면 곧 해탈에 걸림이 있나니, 신해와 해탈과 여실한 지혜에 걸림이 없기 때문이요, 만일 게으름과 더러움에 집착이 있고 걸림이 있으면 곧 현재 견고한 정진에 걸림이 있나니, 말한 바와 같은 법의 깨달은 성품은 걸림이 없기 때문이며, 만일 모든 장애에 집착이 있고 걸림이 있으면 곧 7각지(覺支)의 법에 걸림이 있나니, 장애가 없는 해탈한 지혜에는 걸림이 없기 때문이다.

알아야 한다. 일체 법은 다 자성이 청정하지마는 다만 인연의 화합으로 말미암아 변할 뿐이니, 그러므로 보살은 일체 법의 염인(染因)과 정인(淨因)을 잘 알아야 하나니, 염인이거나 정인이거나 다 청정하면 거기에 곧 집착이 없게 될 것이다. 이른바 나[我]의 일으킴과 견(見)의 일으킴은 다 염인이요, 무아(無我)의 법에 들어가 인욕하면 그것은 정인이며, 나와 나의 소견은 염인이요, 안으로 고요하고 밖으로 행이 없으면 그것은 정인이며, 탐욕과 분노와 해침과 구함[尋]은 염인이요, 자비희사(慈悲喜捨)로 사찰법(伺察法)에 들어가 인욕하면 그것은 정인이며, 4전도(顚倒)는 염인이요, 4념처(念處)는 정인이며, 5개(蓋)는 염인이요, 5근(根)은 정인이며, 6처(處)는 염인이요, 6념(念)은 정인이며, 7부정법(不正法)은 염인이요, 7각지법(覺支法)은 정인이며, 8사법(邪法)은 염인이요, 8정법(正法)은 정인이며, 9뇌처(惱處)는 염인이요, 9차제정(次第定)은 정인이며, 10불선업도(不善業道)는 염인이며, 10선업도는 정인이다. 통틀어 말하면 일체의 불선의 작의는 모두 염인이요, 일체의 선의 작의는 다 정인이다.

만일 염인이거나 정인이거나 그 일체의 법은 자성이 다 공이어서 중생도 없고 수명도 없으며, 길러줌도 없고, 보특가라도 없고 주재(主宰)도 없어서 섭수도 없고 지음도 없으며, 허깨비와 같아 상이 없고, 안의 마음이 고요하다. 만일 안이 고요하면 그것은 곧 두루 고요하고, 만일 두루 고요하면 곧 자성이며, 만일 법의 자성이면 곧 얻을 바가 없고, 만일 얻을 바가 없으면 곧 의지가 없으며, 만일 의지가 없으면 곧 허공과 같다. 염정의 저 일체 법은 다 허공과 같다. 그러나 저 허공은 또한 무너지지 않는 법의 성품이다. 왜냐하면 묘길상이여, 이 가운데에는 생이거나 멸이거나 조그만 법도 얻을 것이 없기 때문이니라.”

묘길상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그렇다면 여래께서 증득하신 보리는 무엇입니까?”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묘길상이여, 여래는 근본이 없고 머무름이 없기 때문에 보리를 얻었느니라.”

묘길상이 아뢰었다.

“무엇을 근본이라 하며, 무엇을 머무름이라 하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묘길상이여, 있는 몸을 근본이라 하고, 허망한 분별에 의지하는 것을 머무름이라 한다. 모든 부처님 여래께서는 보리가 평등하기 때문에 그 지혜가 모든 법에 평등하나니, 그러므로 근본이 없다 하고 머무름이 없다고 한다. 여래께서는 그러하기 때문에 현재에 정각을 이루신 것이다.

묘길상이여, 알아야 한다. 모든 법은 적정(寂靜)하고 근적(近寂)하다. 어떤 것을 적정이라 하며, 어떤 것을 근적이라 하는가? 안을 적정이라 하고, 밖을 근적이라 한다. 왜냐하면 눈이 공이기 때문에 나[我]와 내 것[我所]의 자성도 공이니 이것을 적정이라 하며, 눈의 공임을 알고는 색을 취하지 않나니 이것을 근적이라 한다. 귀가 공이기 때문에 나와 내 것의 자성도 공이니 이것을 적정이라 하며, 귀의 공임을 알고는 소리를 취하지 않나니 이것을 근적이라 한다.

코가 공이기 때문에 나와 내 것의 자성도 공이니 이것을 적정이라 하고, 코의 공임을 알고는 냄새를 취하지 않나니 이것을 근적이라 한다. 혀가 공이기 때문에 나와 내 것의 자성도 공이니 이것을 적정이라 하고, 혀의 공임을 알고는 맛을 취하지 않나니 이것을 근적이라 한다. 몸이 공이기 때문에 나와 내 것의 자성도 공이니 이것을 적정이라 하고, 몸의 공임을 알고는 접촉을 취하지 않나니 이것을 근적이라 한다. 뜻이 공이기 때문에 나와 내 것의 자성도 공이니 이것을 적정이라 하고, 뜻의 공임을 알고는 법을 취하지 않나니 이것을 근적이라 하느니라.

묘길상이여, 보리의 자성도 밝으며, 마음의 자성도 밝다. 무엇 때문에자성이 밝다 하는가? 이른바 자성은 오염이 없기 때문에 허공과 같으며, 허공의 자성은 다 두루하여 허공의 자성과 같나니, 필경 자성(自性)이 본래 밝기 때문이니라.

또 묘길상이여, 보리는 들임[入]도 없고 냄[出]도 없다. 무엇을 들임도 없고 냄도 없다 하는가? 이른바 섭취함이 없기 때문에 들임이 없다 하고, 버림이 없기 때문에 냄이 없다 한다. 여래는 들임도 없고 냄도 없음을 증득하고 그 증득함과 같이 곧 진여와 함께하여 피차가 없나니, 모든 법이 피차를 떠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래께서는 현재에 정각을 이루신 것이니라.

또 묘길상이여, 보리는 상이 없고 반연이 없다. 어떤 것을 상이 없다 하며, 반연이 없다 하는가? 이른바 안식(眼識)은 얻는 바가 없나니 이것을 상이 없다 하고, 색은 보임이 없나니 이것을 반연이 없다 한다. 이식(耳識)은 얻음이 없나니 이것을 상이 없다 하고, 소리는 들림이 없나니 이것을 반연이 없다 한다. 비식(卑識)은 얻음이 없나니 이것을 상이 없다 하고, 냄새는 맡아짐이 없나니 이것을 반연이 없다 한다. 설식(舌識)은 얻음이 없나니 이것을 상이 없다 하고, 맛은 맛보임이 없나니 이것을 반연이 없다 한다. 신식(身識)은 얻음이 없나니 이것을 상이 없다 하고, 접촉은 깨달아짐이 없나니 이것을 반연이 없다 한다. 의식(意識)은 얻음이 없나니 이것을 상이 없다 하고, 법은 분별됨이 없나니 이것을 반연이 없는 것이라 한다.

묘길상이여, 이 평등은 모두 이 모든 성인의 경계요, 모든 삼계는 성인의 경계가 아니니, 그러므로 성인의 경계를 행해야 하느니라.

또 묘길상이여, 보리는 과거ㆍ미래ㆍ현재가 아니니 3세가 평등하기 때문이요, 3륜(輪)이 끊어졌기 때문이다. 3륜이란, 이른바 과거의 마음은 구르지 않고, 미래의 알음알이[識]는 취함이 없으며, 현재의 뜻은 움직임이 없다는 것이다. 저 마음과 뜻과 알음알이는 비록 머무르는 곳에 있으나 분별이 없으면서 분별을 떠나지 않고, 헤아림[計度]이 없으면서 헤아림을 떠나지 않는다. 과거에 이미 지음이 없고, 미래의 받아들임이 없으며, 현재의 희론(戱論)이 없느니라.

또 묘길상이여, 보리는 몸으로 얻을 것이 아니니 함이 없기 때문이다. 몸으로 얻을 것이 아니란, 이른바 안식이 알지 못하고, 이식ㆍ비식ㆍ설식ㆍ신식ㆍ의식이 알지 못하나니, 마음과 뜻과 알음알이로 알 바가 아니기 때문이다. 곧 이것이 함이 없음이다. 함이 없음이란, 이른바 남이 없고 머무름이 없으며 멸함이 없고 3륜이 청정한 것이니, 그것이 함이 없음과 같다. 유위도 그렇게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일체 법은 자성이 없기 때문이며, 법이 자성이 없으므로 곧 법은 둘이 없느니라.

또 묘길상이여, 보리는 차별이 없는 구(句)이다. 어떤 것을 차별이 없다 하며, 어떤 것을 구(句)라 하는가? 이른바 생각 없음이 곧 차별 없음이요 진여가 곧 구이며, 머무름 없음이 곧 차별 없음이요 법계가 곧 구이며, 갖가지의 성품 없음이 곧 차별 없음이요 실제가 곧 구이며, 반연됨이 없음이 곧 차별 없음이요 움직임 없음이 곧 구이며, 공이 곧 차별 없음이요 상 없음이 곧 구이며, 심사(尋伺) 없음이 곧 차별 없음이요 생각 없음이 곧 구이며, 구원(求願) 없음이 곧 차별 없음이요 중생 없음이 곧 구이며, 중생이 자성 없음이 곧 차별 없음이요 허공이 곧 구이며, 소득 없음이 곧 차별 없음이요 무생(無生)이 곧 구이며, 멸함 없음이 곧 차별 없음이요 무위가 곧 구이며, 소행 없음이 곧 차별 없음이요 보리가 곧 구이며, 적지(寂止)가 곧 차별 없음이요 열반이 곧 구이며, 취함 없음이 곧 차별 없음이요 무생(無生)이 곧 구이니라.

또 묘길상이여, 보리는 몸이 증득할 것이 아니니, 왜냐하면 몸은 비록 생김이 있으나 생각이 없고 움직임이 없어 초목이나 기왓장과 같으며, 그 마음은 허깨비처럼 공허하여 실답지 않고 지음이 없기 때문이다. 묘길상이여, 만일 몸과 마음을 여실히 깨달으면 그것이 곧 보리이며, 세속의 행은 승의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승의제 가운데에는 몸도 마음도 없으며, 법도 없으며 법 아닌 것도 없으며, 실도 없고 실 아닌 것도 없으며, 진(眞)도 없고 망(妄)도 없으며, 말도 없고 말 아닌 것도 없기 때문이다. 일체의 법이 다 보리이다. 왜냐하면 보리가 처소가 없고, 말로 표현할 것이 아니니, 허공이 처소가 없기 때문에 또한 지음도 없고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어서 말로 표현할 것이 아닌 것과 같다.

여래는 보리가 처소가 없고 지음이 없으며,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어서 말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실답고 이치답게 자세히 관찰할 때에는 저 일체 법은 다 말이 없다는 것이다. 보리도 그와 같아서 여실히 관찰할 때에는 말이 없다. 왜냐하면 말은 실이 없고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기 때문이다.

또 묘길상이여, 보리는 취함이 없고 간직함이 없다. 어떤 것을 취함이 없다 하며, 어떤 것을 간직함이 없다 하는가. 눈을 잘 알기 때문에 취함이 없다하고, 빛깔에 얻음이 없음을 간직함이 없다 하며, 귀를 잘 알기 때문에 취함이 없다 하고, 소리에 얻음이 없음을 간직함이 없다 하며, 코를 잘 알기 때문에 취함이 없다 하고, 냄새에 얻음이 없음을 간직함이 없다 하며, 혀를 잘 알기 때문에 취함이 없다 하고, 맛에 얻음이 없음을 간직함이 없다 하며, 몸을 잘 알기 때문에 취함이 없다 하고, 감촉에 얻음이 없음을 간직함이 없다 하며, 뜻을 잘 알기 때문에 취함이 없다 하고, 법에 얻음이 없음을 간직함이 없다 한다.

여래는 이 취함이 없고 간직함이 없기 때문에 보리를 현재에 증득하고, 보리를 증득하고는 눈이 취함이 없고 색이 취함이 없으며 눈의 알음알이[眼識]에 머무름이 없다. 귀가 취함이 없고 소리에 얻음이 없으며 귀의 알음알이에 머무름이 없다. 코가 취함이 없고 냄새에 얻음이 없으며 코의 알음알이에 머무름이 없다. 혀가 취함이 없고 맛에 얻음이 없으며 혀의 알음알이에 머무름이 없다. 몸이 취함이 없고 접촉에 얻음이 없으며 몸의 알음알이에 머무름이 없다. 뜻이 취함이 없고 법에 얻음이 없으며 뜻의 알음알이에 머무름이 없고, 알음알이에 머무름이 없기 때문에 곧 여래ㆍ응공ㆍ정등정각이라 하는 것이다.

또 묘길상이여, 마땅히 알아야 한다. 중생들은 네 가지 법을 그 마음에 둔다. 어떤 것이 네 가지인가? 이른바 색(色)ㆍ수(受)ㆍ상(想)ㆍ행(行) 등을 일체 중생들은 그 마음에 둔다. 즉 중생들이 그 네 가지 법을 마음에 두기 때문에 여래께서는 불생불멸과 아는 바 없음을 말씀하시고, 보리를 건립하여 공이라 하셨으며, 보리가 공이기 때문에 일체 법이 공이요, 여래도 공이며, 이 공 때문에 정각을 이루신 것이다.

묘길상이여, 공이기 때문에 증득한 보리도 공이라는 것이 아니니, 마땅히 알아야 한다. 법에는 한 이지(理智)가 있으니, 이른바 공성(空性)이며, 보리가 공이 아니기 때문에 보리는 둘이 없다. 그러므로 보리와 공은 다 종류가 없으니, 왜냐하면 저 모든 법은 본래 둘이 없기 때문에 형상이 없고 종류가 없으며, 이름이 없고 모양이 없으며, 마음과 뜻과 알음알이를 떠났고,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으며, 행이 없으면서 행하지 않음이 없고, 쌓임이 없으며 문자가 없고 망실(忘失)됨이 없다. 그러므로 모든 법은 공이어서 취할 것이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말은 승의제가 아니니, 이른바 승의제 가운데에는 얻을 수 있는 법이 없는 것을 공이라 하는 것이다.

묘길상이여, 비유하면 허공과 같기 때문이니, 허공이라 하는 것은 말이 없기 때문에 허공이라 하는 것과 같다. 묘길상이여, 공도 또한 그와 같아서 공이라고 말하는 것은, 이른바 말이 없기 때문에 공이라 한다. 만일 이렇게 알면 일체 법은 이름이 없는 것이니, 이름이 없기 때문에 저 일체 법을 임시로 이름을 시설한 것이다.

묘길상이여, 이름은 방위에 있지 않으면서 방위를 떠나지 않으며, 이름이 방위에 있지 않으면서 방위를 떠나지 않기 때문에 법의 이름을 말하지마는, 그 말하는 법도 방위에 있지 않으면서 방위를 떠나지 않는 것처럼, 저 일체 법도 또한 그와 같다. 여래는 본래 그와 같이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으며, 일어남도 없고 상이 없으며, 마음과 뜻과 알음알이를 떠났고 문자도 없고 음성이 없음을 알며, 그 아는 대로 해탈도 그러하나니, 묘길상이여, 일체 법은 결박도 해탈도 없음을 마땅히 알아야 하느니라.”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