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약사여래본원경 (佛說藥師如來本願經)

ⓢ Bhai?ajyagurup?rvapra?idh?navi?e?avistara(stra) .

1권 .

K-176, T-449 .

수(隋)나라 때 달마급다(達磨?多, Dharmagupta)가 616년에 동경(東京)의 상림원(上林園)에서 번역하였다 .

줄여서 『약사본원경』이라 하며, 별칭으로 『약사여래본원공덕경』이라고도 한다 .

약사여래의 본원과 그 공덕을 설한 경으로, 약사여래를 지극한 마음으로 믿고 그 명호를 외우면 12대원에 따라서 모든 고통에서 벗어나 복을 받게 된다고 설한다 .

약사여래는 대의왕불(大醫王佛) 또는 의왕(醫王) 선서(善逝)라고도 하는데, 모든 중생의 질병을 치료하시고 무명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시기 때문에 마치 의사와도 같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동쪽의 정유리국(淨瑠璃國) 불토에 계시는 약사여래께서는 12가지 큰 서원[大願]을 세우시고 보살행을 실천하셨는데, 그 12가지는 이러하다 .

첫 번째는 정각을 이루었을 때 32대장부상을 갖추어 모든 중생들을 비추어서 자신의 몸과 다름이 없게 하겠다는 광명조요(光明照曜) 대원이다 .

두 번째는 깨달음을 얻었을 때 자신의 몸을 유리와 같이 청정하게 하겠다는 신여유리(身如瑠璃) 대원이다 .

세 번째는 무한한 지혜와 방편으로 중생계를 수용함에 다함이 없이 하겠다는 수용무진(受用無盡) 대원이다 .

네 번째는 다른 도를 따르는 중생들을 대승으로 이끌어 안락하게 하겠다는 대승안립(大乘安立) 대원이다 .

다섯 번째는 모든 중생들이 삼취계를 구족하게 하겠다는 삼취구정(三聚具定) 대원이다 .

여섯 번째는 불구인 중생들이 모두 완전한 신체를 갖추도록 하겠다는 제근구족(諸根具足) 대원이다 .

일곱 번째는 일체 중생의 온갖 병을 다 없애어 몸과 마음이 안락하고 위없는 깨달음을 얻도록 하겠다는 중환실제(衆患悉除) 대원이다 .

여덟 번째는 모든 여인들이 장부의 상을 갖추고 위없는 깨달음에 들게 하겠다는 전녀성남(轉女成男) 대원이다 .

아홉 번째는 모든 중생들이 천마(天魔)나 외도의 잘못된 견해로부터 벗어나 바른 견해를 갖게 하겠다는 안립정견(安立正見) 대원이다 .

열 번째는 모든 중생들이 폭군의 악정(惡政)과 도적의 겁탈로부터 벗어나게 하겠다는 계박해탈(繫縛解脫) 대원이다 .

열한 번째는 굶주림에 허덕이는 중생들을 모두 다 배부르게 하겠다는 기근안락(饑饉安樂) 대원이다 .

열두 번째는 가난하여 헐벗는 중생들에게 좋은 옷을 입게 하겠다는 의복엄구(衣服嚴具) 대원이다 .

이 경은 현세의 이익을 설하고 약사세계에의 왕생을 권하는 동시에 천상세계에로의 왕생도 설하고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

범문(梵文) 원전이 현존하고 있으며, 한역본에 다음과 같은 5종이 있었다고 한다 .

첫째는 동진(東晋) 때 백시이밀다라(帛尸梨密多羅)가 번역한 『관정발제과죄생사득도경』 1권이고, 둘째는 송나라 때 혜간(慧簡)이 번역한 『약사유리광경』 1권이며, 셋째는 당나라 때 현장(玄?)이 번역한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1권이고, 넷째는 당나라 때 의정(義淨)이 번역한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 2권이다 .

이 중 앞의 세 번역본은 약사여래 부분만을 번역한 것이며, 의정의 번역본은 앞부분에 6불(佛)을 언급하고 후권에 약사불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

그래서 『약사경(藥師經)』이라고 말할 때는 앞의 세 가지, 그 중에서도 특히 현장의 번역본을 가리키며, 의정의 번역본은 『칠불약사경』이라고도 한다 .

이 가운데 혜간의 번역본은 백시이밀다라의 번역본과 동일하기 때문에 경록(經錄)에서는 제외되어 4종이 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

오늘날 널리 읽혀지고 있는 것은 현장의 번역본이며, 이는 다른 번역본에 비해 밀교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

『약사경』에 관한 주석서가 적지 않지만 그 가운데서도 특히 경흥(憬興) · 규기(窺基) · 둔륜(遁倫) 등이 저술한 『약사본원경소(藥師本願經疏)』가 유명하다 .

이역본으로 『관정칠만이천신왕호비구주경』의 제12권 『관정발제과죄생사득도경(灌頂拔除過罪生死得度經)』 ·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 ·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藥師琉璃光七佛本願功德經)』이 있다 .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