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비스님─ 참나 찾을 수 있다

참나 찾을 수 있다

무비스님

“악을 악으로 되갚는 전쟁 연기의 도리 모르기 때문” 지금 온 세계의 시선이 아프가니스탄에 쏠려 있습니다.

이번 전쟁을 불교적 관점에서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달라이 라마가 부시 대통령에게 ‘원한을 원한으로 갚으면 끝이 나지 않는다.오직 참음으로써만이 원한이 끝난다’는 (법구경)의 말을 인용해 편지를 보냈다고 합니다.

참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참는 것만으로는 갈등이 풀리지 않습니다.

보다 더 근본적으로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바른 이치를 이해함으로써만이 갈등이 풀릴 수 있습니다.

이치를 이해한다는 것은 연기의 도리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미국이 연기의 도리를 이해했다면 테러를 당했다고 해서 전쟁으로 되갚음을 하겠다고 나서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들이 목숨을 버려가며 왜 테러를 해야만 했는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자신들의 모습을 제대로 보아야 합니다.

부처님께서는 코살라국의 유리왕이 자신의 나라인 가비라국과 석가족을 멸망시키기 위해 쳐들어왔을 때 타들어가는 마른나무 아래서 제자들과 함께 유리왕을 기다렸습니다.

유리왕은 그런 부처님을 보고 “왜 타들어가는 나무 아래에 서 있느냐”고 묻자 부처님께서는 “당신이 나의 조국에 쳐들어오는 것을 보니 내 마음이 이 나무와 같다”고 답했고, 유리왕은 부처님의 말씀에 감동해 되돌아갔습니다.

유리왕은 그 후 또다시 군사들을 이끌고 출정했다가 처음과 똑같이 나무 아래 있는 부처님을 보고는 또다시 되돌아갔습니다.

하지만 유리왕이 세 번 째 출정을 하자 부처님은 유리왕의 마음을 바꿀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자리를 피했습니다.

부처님의 이런 태도는 자존심을 내세워 무모하게 대응하는 미국의 행동이 얼마나 큰 화를 부를 수 있는지를 가르쳐 줍니다.

부처님께서는 치욕과 민족을 잃는 아픔을 겪으면서도 자신을 내세우지 않고 타들어가는 나무 아래서 유리왕을 기다렸습니다.

부처님께서 남과 나를 구분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나와 남을 구분하는 것은 적대감과 원한을 확대시킬 뿐입니다.

이런 부처님의 가르침에는 또다른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

요즘 불교를 가르치거나 배우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가르치고 배우기 위해서는 진정한 자기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합니다.그리고 인간의 삶에 유익하고 값진 최상의 가르침이 무엇인가를 화두로 삼아야 합니다.

불교의 가르침에서 연기나 인과법도 중요하지만 핵심은 자기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인식입니다.

아무 조건이나 규제, 차별, 지위도 없고 끈도 없는 것이 진정한 ‘나’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온갖 차별과 지위와 끈에 얽매여 자기 자신을 올바로 인식할 겨를조차 없습니다.

불교의 위대성은 그런 모든 조건과 규제, 차별과 지위와 제약이 없는 참나를 인식시키는 가르침에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의 진정한 생명이고 부처님의 생명인 것입니다.

견성이라는 것이 무엇입니까.

‘참나’를 찾는 것입니다.

나를 한순간도 떠나 있지 않는 ‘나’를 찾는다는 것은 불교를 많이 안다고 해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확신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우선은 ‘참 나’에 대한 이론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 바탕위에 확신이 자리 잡아야 합니다.

확신이 들면 ‘나’를 눈으로 볼 수 있고 손으로 만질 수 있습니다.

이것이 불교의 본체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