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속에 비결이 있다
-보성스님-
애써 공부하고자 하라.
그런데 어떤 불자들은 말합니다.
“삼업을 잘 다스리며 순리대로 살고 싶은데, 뜻하지 않는 고난이 너무나 자주 닥쳐옵니다.
어떻게 해야 합니까?” 이러한 질문을 받을 때마다 나는 항상 이야기 해 줍니다.
“불교에는 크게 네 가지 수행법이 있다.
경전공부,참선공부, 염불, 주력(呪力)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한 가지를 택하여 부지런히 해보아라.
마음이 평화로워지고 지혜가 샘솟아, 고난이 저절로 물러가고 순리대로 잘 살수 있게 된다.”
이 네가지 수행법은 ‘내가 가장 사랑하는 나’를 찾는 공부 방법입니다.
이 공부를 꾸준히 하면 업장이 저절로 녹아내려 고난과 장애가 저절로 사라집니다.
네 가지가 하나 같이 ‘나’ 의 그릇을 맑고 크고 튼튼하게 만드는 공부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불교를 믿는 우리 불자들은 이 네 가지 중에서 하나 를 택하여 꾸준히 닦아가야 합니다.
하루 한 시간씩만 꾸준히 하게 되면 그 힘이 매우 커져, 이 공부를 하지 않고 선행만 열심히 짓는 공덕과는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 공부들이 우리가 가장 사랑하는 ‘나’를 저절로 바르게 만들어 주기 때문입니다.
단, 이 공부에 있어 한가지 주문할 것이 있습니다.
참선이든 경전공부든 염불이든 주력이든, 결코 형식 적으로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몇년 전 나의 맏상좌인 지현스님이 부산 관음사에 아미타부처님 을 봉안하고 백일정진을 하였습니다.
그때 출가한지 얼마 되지 않은 나의 손자상좌가 동참하여 부지런히 [아미타경]을 외웠습 니다.
그런데 열흘이 지났을 때 손자상좌가 경을 펴지도 않고 가만히 있었습니다.
“얘야,너는 왜 경을 보지 않고 게으름을 부리느냐?” “다 외웠습니다.” 다 외웠고 내용도 어느 정도 알고 있으니 나름대로 한다는 것 이었습니다.
“그렇게 하면 안된다.
다 외웠으면 더욱 부지런히 외워야 한다.
아미타부처님이 함께 하도록 열심히 외워라.
‘부처님 따로 있고 나 따로 있다’는 자세로 하면 백년을 외워도 안된다.” 염불을 할 때면 마땅히 부처님과 함께 한다는 자세로 염불을 해 야 하고, 신묘장구대다라니를 하게 되면 관세음보살님과 함께 한다는 자세로 외워야 합니다.
참선을 할 때는 또렷이 화두를 잡고자 노력해야 하고, 독경을 할 때면 그 경에서 가르치는 바를 ‘나’의 것으로 만들고자 애써야 합니다.
이렇게 하나가 되고자 하고 애를 쓰고 노력을 하는 것이 공부 이며, 이렇게 하루에 한시간이라도 공부를 하게 되면 업장이 저절로 녹아 내립니다.
간곡히 불교를 믿는 이들에게 당부드리 건데, 어리석게 불교를 믿는 불자가 되지 마십시오.
자기 공부 를 하지 않고 어리석게 불교를 믿게 되면 아무리 오래 믿어도 자기를 살릴 수도 올바로 사랑 할 수도 없습니다.
얼마 전 20여명의 불자들이 한 스님의 인솔하에 송광사 새벽 예불에 참석하고자 왔습니다.
그때 법문을 하게 되었는데 50대 의 여자가 법문 끝에 손을 들었습니다.
“스님, 질문을 해도 됩니까?” “하십시오.” “우리 집에 이러이러한 일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 되겠습니까?” 법문 내용과 전혀 관계가 없을뿐더러 법을 알고자 하는 질문이 아니었습니다.
함께 온 사람들도 관심을 갖지 않을 아주 사소한 개인적인 일이었습니다.
그래서 퉁명스럽게 말했습니다.
“나도 모르겠소.” 평소에 공부를 한 사람이면 점치는 집에 가서나 할 질문을 절에 와서는 하지 않습니다.
왜입니까? 경전공부,참선공부,염불,주력 을 잘 닦은 사람은 답을 스스로 알고 잇습니다.
묵은 업장, 곧 숙업(宿業)을 능히 녹이면서 일상 생활의 터전을 잘 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상의 터전을 잘 다지는 사람이 어찌 갈팡질팡 하겠습니까? 부디 불자답게 한 가지 공부를 택하여 그 공부와 함께 일상생활을 익혀 가십시오.
생활 속의 그릇됨을 녹이는 힘이 그 공부 속에 있습니다.
꾸준히 하십시오.
비결은 꾸준히 하는데 있습니다.
금강경이나 관음경 한 편이라도 매일 꾸준히 독경하면 숙업이 녹아 내리면서 삶의 터전이 잡힙니다.
삶의 터전이 잡히지 않으면 갈팡질팡하게 되고, 갈팡질팡 하는데 어떻게 ‘나’를 살리고 ‘나’를 올바로 사랑할 수 있겠습니까? 잘 유념하시어 공부를 잘 지어 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