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심과 사홍서원
-혜남스님-
옛날 사람이 말하기를 “봄비가 기름과 같이 값진 것이지만 길가는 나그네는 그 질퍽거리는 것을 싫어하고 가을달이 세상을 밝게 비추어 주지만 도적질하는 사람은 그 밝게 비추는 것을 싫어한다”고 말한 것처럼 농사짓는 사람에게는 지금이 곡식을 파종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이니 지금 내리는 비는 정말 값지고 고마운 비일 것이다.
그러나 길가는 나그네는 ‘왜 하필 오늘 비가 내리느냐’고 투덜댈 것이다.
그래서 “칠년 대한(大旱) 큰 가뭄에도 하루만 더 참아 달라”는 사람도 있는 법이다.
어떠한 상태도 모든 사람에게 다 만족을 주기도 힘들고 또 같은 상황도 그때의 기분에 따라서 다르게도 보인다.
그렇다면 대중을 위해서 도움이 되고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안에서는 일정을 바꿀 수도 있고 일의 내용을 바꿀 수도 있을 것이다.
불자가 지녀야할 마음가짐 심지어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에서는 “처음 발심한 사람은 오계와 십계 등을 받아서 잘 가지고 범하고 열고 막을 줄 알아야 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즉 오계와 십계는 불자로서 혹은 사미 사미니로서 반드시 받아 지녀야할 것이지만 부득이한 상황이 발생하여 계를 한번 파함으로 인하여 더 많은 생명을 구제할 수 있거나 환난을 막을 수 있다면 그것을 허락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적극적으로 그것을 권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불자로서 절대로 버리지 않고 꼭 지녀야할 마음가짐이란 무엇일까? 그것이 바로 보리심과 사홍서원이다.
보리심이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줄인 말로 위없이 올바른 법을 깨달으려는 마음을 말한다.
대승보살의 특징은 보리심을 일으키는 발심에 있다.
보리심은 마치 종자와 같아서 일체 모든 부처님의 법을 출생시키고 보리심은 마치 좋은 밭과 같아서 일체의 청정한 법을 키워내고 보리심은 대지(大地)와 같아서 일체의 세간을 호지하고 보리심은 대지(大池)와 같아서 일체 번뇌의 때를 깨끗하게 씻을 수 있고 보리심은 바람과 같아서 일체 세간에 장애를 없앨 수 있다고 하였으며 보살계를 받는 것도 이 보리심을 일으켜 끊어짐이 없이 이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이 보리심의 삼대요소는 중생을 연민히 여기는 대자비심과 불도를 이루겠다는 큰 원력과 그것을 이룩하기 위한 큰 지혜를 갖추어야한다.
그럼으로 보리심을 발한 사람은 마땅히 중생을 다 건지겠다.
번뇌를 다 끊겠다.
법문을 다 배우겠다.
불도를 다 이루겠다는 네 가지 서원을 반드시 세워야 하는 것이다.
보살계로 보리심 잇자 영명연수(904~975)선사는 (보살계를 받는 길(受菩薩戒法序))이라는 책에서 “보살은 위없는 깨달음을 이루려는 마음 즉 보리심을 일으키기 위한 까닭으로 계를 받았기 때문에 비록 잠깐 범하였더라도 만약 보리심과 사홍서원만 끊어지지 아니하면 범하였다고 말하지 않는다.
만약 영원히 보리심을 버리고 사홍서원을 어기면 곧 계를 범하였다고 말한다.
그러나 성문은 보리심을 발하지 못하고 계를 받았기 때문에 다만 생사의 윤회를 벗어나기만 구함으로 사계(事戒)를 범하면 계를 지니는 마음이 곧 끊어져버리니 생멸의 쪽에서 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리심에 바탕을 둔 보살계는 보리심만 간단없이 이어진다면 영원하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