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경스님─간절하면 통합니다

간절하면 통합니다

-수경스님-

불자들에게 불보살은 태양과 같은 존재입니다.

그렇다면 스스로 한 번 물어볼 일입니다.

불보살의 존재를 조금의 의심도 없이 믿고 있는지를.

두두물물이 부처이고,

만물이 부처의 현현이라는 가르침을 이성이나 관념의 여과 작용 없이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과연 그렇다면 당신이 간절히부처님을 염할 때나

관세음보살님을 부를 때,

당신은 부처님과 관세음보살님과 한몸입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당신이 믿는 불보살은

형상에 불과하거나 관념의 소산일 뿐입니다.

그래서 기도가 필요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기도’란 무엇일까요?

선(禪)이라 하면 이미 선이 아니고, ‘도’라고 말할 수 있는 도는

영원한 도가 아니라고 했듯,

섣불리 입 열일은 아닙니다.

젊은 시절 내가 만난 장엄한 기도 성취의 풍광을 전하는 것으로

기도의 진정한 의미를 새겨 보겠습니다.

할머니가 관세음보살을 만난 사연

혈기 방장하던 시절,

문경의 묘적암에서 살 때의일입니다.

나옹 스님께서 공부하셨던 터로,

납자라면 누구나 귀하게 여기는 곳입니다.

어느 날, 할머니 한 분이 머리에 뭔가를 이고 엉엉 울면서 찾아왔습니다.

자초지종을 묻기도 전에 할머니는 한 됫박 될까 말까 한

쌀을 내려놓고는 다짜고짜 49재를 해 달라는 것이었습니다.

사연인즉, 아들이 군대 가서 죽은 지 49일 째 되는 날인데

도무지 아들이 눈에 밟혀서 견딜 수가 없더랍니다.

마침 이웃 사람들의 권유도 있고 해서 집 가까이에 있는 절을 찾았답니다.

사정을 얘기했더니,

부처님 앞에 절하고 가면 된다고 하더래요.

어미 된 입장에서 이건 아니다 싶어서 다시 쌀을 머리에 이고

비구니 스님들이 사는 한 암자를 찾았답니다.

그랬더니 이번에는 ‘이곳은 선방이기 때문에 마음으로 49재를 지내는 곳’

이라고 하더랍니다.

뭔 소린지 알 길이 없는 할머니는다시 쌀을 머리에 이고

헤매고 또 헤매다가 내가 사는 곳까지 오신 겁니다.

얘기를 다 듣고는 이렇게 말씀을 드렸습니다.

“할머니, 여기가 바로 49재 전문 절인데

왜 엉뚱한 데 가셔서 고생을 하셨어요.”

일단 마음부터 풀어드린답시고 말을 이렇게 했지만, 사실 난감했습니다.

일단 ‘석유곤로’에 물을 끓여서 분유를 한 잔 타 드린 다음,

마을로 내려가서 장을 봐 올 때까지 먼저 49재를 지내고 계시라고 했습니다.

“할머니, 49재라는 건 할머니와 죽은 아들과 저, 이렇게 세 사람이 모여서

부처님께 매달리는 겁니다.”

할머니께 염주를 드리고 ‘관세음보살’님만 염(念)하라고 일러 드렸습니다.

만약 관세음보살님이 나타나시면 붙잡고 매달리라고 했습니다.

그동안 내가 장을 봐 와서 49재를 올리면

아드님이 극락 가는 것은 떼 놓은 당상입니다 하고

거듭 안심을 시켜 드렸습니다.

그랬더니 할머니께서는 초례를 올릴 때 하듯이 큰절을 하시더군요.

생전 처음 절에온 할머니가 절에서 절하는 법을 알 턱이 있었겠습니까.

문경의 산북이라는 동네까지 4시간을 걸어서

사과몇 알을 사오니까 밤 11시가 넘었습니다.

살짝 법당 문을 열어 보니까

처음 그 자세 그대로 관세음보살님을 부르고 있었습니다.

잠깐 눈을 붙이고 새벽에 일어나서 보니까 또 그대로에요.

혼자서 밥을 먹고 나서 ‘마지’를 해 놓은 다음 10시쯤 되어 들어가니까,

그때서야 살포시 일어나서는 ‘스님, 고맙습니다.’하시면서 절을 하는 겁니다.

49재를 잘 지내 줘서 고맙다는 거예요.

그러고는 아침 공양도 마다하고 홀연히 사라지더군요.

그 할머니에게는 지난밤이 한 순간이었습니다.

나이 드신 분들은 잠깐만 앉았어도 무릎이 저린 법인데,

잠깐 앉았다 일어나듯이 하룻밤을 보낸 거지요.

삼매에 든 것입니다.

관세음보살님과 온전히 하나가 된 것입니다.

이후 할머니가 사는 마을 인근에까지 이상한 소문이 들리더군요.

미쳤다는 것입니다.

‘젊은 노파심’이 발동하더군요.

찾아갔습니다.

보자마자 손을 잡으며 너무 반가워했습니다.

그렇게 얼굴이 편안해 보일 수가 없었습니다.

걱정할 일이 아니었습니다.

할머니는 늘 관세음보살님을 염(念)한 것이었습니다.

길을 걸으면서도 일을 하면서도 하루 종일 관세음보살님을 부른 것이지요.

그것을 보고 사람들이 미쳤다고 수근거린 것입니다.

기도란 이런 것입니다.

간절하면 통하는 법입니다.

마음을 한 곳으로 모아서 이미 내 안에 갖춰져 있는 원(願)의 성취

조건을 발현시키는 것이 바로 기도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삼매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일심불란(一心不亂)이어야 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