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암스님─ 노력한 만큼 달라지는 인생

노력한 만큼 달라지는 인생

서암큰스님 우리 중생의 번뇌는 창공에 구름이 일듯이 무한히 일어 납니다.

중생의 팔만사천 번뇌라는 말은 팔만사천이란 숫자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끝없이 많고 많은 번뇌가 무한히 일어 난다는 말이지요.

중생들이 팔만사천가지 번뇌를 갖고 있으니, 그 번뇌를 모두 없애 버리기 위해서 많은 교설을 한 것이지, 부처님은 한 법도 설하신 것이 없습니다.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법을 ‘무유정법無有定法’ ‘아뇩다라삼먁삼보리법’이라 합니다.

부처님 법이란 꼭 ‘이것이다’라고 정해진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그러나 알고 보면 전부 하나로 통합니다.

그러니까 천경만론千經萬論이 모르고 보면 말이 다르지만 알고 보면 다 똑같다는 뜻입니다.

그렇게 온갖 번뇌를 소멸하는 부처님 가르침의 근본은 모든 것은 누가 던져준 것이 아니라 자기가 짓는다는 점입니다.

그러니 자기가 지은 번뇌를 없애려면 자기 스스로 노력해서 없애는 것이지 어느 부처나 어느 신이 없애주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지요.

그렇게 해야 평등하지 않겠습니까? 누군가가 배급을 주듯이, 주는 사람이 마음대로 없애주거나 보내준다면 얼마나 불평등하고 살기 어려운 세상이 되겠습니까? 내가 무엇을 한 주먹 쥐고 있다면, 누군가에게 받은 것이 있으니까 한 주먹이 생긴 것입니다.

또 여기에 내가 보태서 누군가에게 주면 저쪽에서도 또 다시 나에게 무엇인가 보태줍니다.

산다는 것이 다 이런 반응작용으로 서로 의지하는 것이지, 어느 신이 만들어 주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이 상의상존相依相存하는 인연법이고 또 윤회법輪廻法입니다.

어느 신이 ‘너는 미우니까 지옥 가거라.

‘ 해서 지옥 가고 ‘너는 예쁘니 천당으로 가거라.

‘해서 천당으로 보내주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저도 출가하기 전에는 머리도 기르고 구두도 신고 다녔습니다.

그런데 중이 되어 얼마 동안 수행을 하니까 꿈을 꾸어도 머리 깎은 중의 모습이지, 머리 기르고 구두 신은 모습은 꿈에도 보이지 않더군요.

그러니까 어느 창조주나 조물주가 나를 그렇게 변하게 한 것이 아니라, 몇 해 동안에 나 스스로 그렇게 변해 간 것입니다.

술을 좋아하여 술 마시는 것이 습관이 되면 어떤가요? 그런 사람은 돈이 없으면 논밭을 팔아서라도 술을 사 마시겠지만, 본시 술을 좋아하지 않으면 술이 한강으로 흘러 가도 그까짓 것은 본체만체합니다.

그 사람에게는 술의 세계가 없는 것이지요.

자기가 술의 세계를 지어서 술의 세계가 존재하는 것입니다.

전부 자업자득이고, 이것이 윤회법이고 인과법입니다.

콩을 심어야 콩이 나지 팥을 심었는데 콩나는 법은 없어요.

권력 있는 사람이 심으나, 다리 밑의 거지가 심으나, 남자가 심으나,여자가 심으나, 잘난 이나, 못난 이나, 누가 심든지 콩을 심으면 그 자리에 콩이 납니다.

이 이치는 아무리 속이려 해도 속일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중생들은 모두 서로 속이며 살아 갑니다.

내가 불행해지면 부모를 원망하고 국가를 원망하고 친구를 원망합니다.

자신이 책임지려 하지 않고 남을 원망합니다.

내가 불행한 것은 내 스스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반성하고 정진하고 노력해서 그 원인을 개선해야 하는데 남을 원망하게 되니까 점점 더 불행으로 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불교를 모르기 때문에 세상이 어두워집니다.

불교를 알면 길가에 수많은 재물이 흩어져 있어도 줍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내가 노력해서 얻어진 것이 아닐진대 그 재물이 어떻게 나에게 이익이 될 수 있겠습니까? 절대 보탬이 되지 않습니다.

내가 노력한 만큼 수용하는 것이 불법이요, 인과법입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