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기의 인식

많은 사람들은 한국사회가 혼란스럽다고 한다. 세대간의 대립이 있고, 계층간의 차이가 심화되고, 빈부의 격차도 심해지고, 요즈음은 남녀간에도 상대적으로 남성들의 기가 죽어가고 있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언론은 극과 극으로 나뉘어 관점의 대조를 이루고 있어 국론의 분열이 심히 우려되기도 한다.

지난해 말 대학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四字成語)에는 ‘우왕좌왕(右往左往)’이 뽑혔다고 한다. 우리의 정치를 비롯한 사회 전반의 상황을 가장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 아닌가 싶다. 그런가 하면 한 경제단체의 회장은 올해의 경영 화두를 ‘오리무중(五里霧中)’이라고 답했다니, 가히 이 시대상황이 어떤가는 알만하다. 국가원수가 탄핵 소추되고, 탄핵의 역풍이 부는 가운데 총선이 치루어졌다. 그 결과 한국사회도 패러다임의 전환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정치의 중심축이 40대로 젊어지고 많은 여성들이 그룹을 이루어 정치의 선봉에 서 있다. 지역정당을 탈피했다고 하기엔 다소 미흡하긴 하지만 전국정당이 나타나고, 민주노동당이 국회의 제3당이 되었다. 총칼의 구테타나 국회의 다수의석보다는 촛불이나 감성의 여론이 정치방향을 결정한다. 네티즌들의 극렬한 언어가 정치판에서는 설득력을 얻는다. 이런 전환기의 모습은 이제 스쳐 지나가는 일과성의 바람으로 보기는 어렵다. 대학교수의 입에서 구테타라는 말이 나오는걸 보면 이전의 상황으로 되돌린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열린우리당 당선자 중 재야 및 학생운동권 출신과 개혁당 출신을 합치면 대략 40∼50명 선이 되고, 민주노동당 당선자 10명을 합치면 원내의 진보적인 성향의 의원은 50∼60명 정도가 된다고 한다. 이들 숫자의 위력이 어떻게 나타날지는 몰라도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일이다. 전체적인 분위기가 그런데다 막강한 대통령의 힘, 의회에서의 과반이 넘는 거대 여당의 힘, 젊은 세대, 시민 단체의 힘, 거기에다 매스컴까지 힘을 실어주지 않는가.

모든 새로운 것에는 갈등이 따른다. 흥분과 두려움 속에서, 세상의 기대와 자신의 기대 사이에서, 이익과 마땅함 사이에서, 꿈과 현실 사이에서, 욕망과 절제 사이에서 우리는 지금 고민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새로이 전개되는 사회를 무작정 긍정하거나 무작정 부정할 수만도 없다. 혼란스러움, 합리주의, 유일체계, 논리 중심, 자기 획일성의 모더니즘에 의하면 오늘의 이 혼란은 필연적인 귀결인지 모른다. 이제 우리 사회의 대상적 차이로서의 의견 불일치는 체계 다원성으로부터 바라보는 대상해석이 이루어진다면 해법은 열릴 것도 같다.

이토록 우리 사회가 척박하고 천박해진 것도 따지고 보면 타살아생(他殺我生)의 경쟁만 있었지, 상생(相生)의 마음으로 복기(復碁)하는 마음가짐이 없었고, 경쟁의 치열함과 승패의 황망함만 존재하였지, 반성과 대화의 기운을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리라. 아직은 우리 사회가 다양성을 인정할 만큼 성숙했다고 보긴 어렵지만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우리 사회는 이미 전환기에 접어들고 말았다.

이제는 지난 시간의 반성 위에 진정한 상생과 대화를 논할 때가 되었다.

김형춘 글. 월간반야 2004년 5월 제42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