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위한 생태주의

시화호의 전철을 밟을 것인가. 새만금간척사업과 경인운하는 어떻게 결론지어질 것인가. 북한산과 천성산의 운명은 또 어떻게 될 것인가. 통도사 앞의 초산 유원지 개발을 비롯하여 멀고 가까운 곳에서 개발과 보존과 관리의 문제로 사람과 대지가 온통 몸살을 앓고 있다.

과학기술의 비약적 진보와 인류 사상 유례 없는 물질적 풍요를 낳은 20세기. 그러나 이 세기는 전쟁과 혁명, 대량 살상과 인간 소외는 물론 환경 파괴로 얼룩지면서 21세기로 그 역할을 넘겼지만, 성장과 개발중심의 산업사회가 남긴 폐해의 중심에서 가장 두드러진 사상은 역시 생태주의(Ecology)라고 할 것이다. 환경오염ㆍ기상이변ㆍ굶주림ㆍ자원고갈ㆍ빈부격차ㆍ인종차별ㆍ노사갈등ㆍ전체주의ㆍ전쟁ㆍ여성차별ㆍ문화적 지배와 종속 등.

1979년 독일 출신의 유태계 철학자 한스 요나스는 『책임의 원칙』이라는 저서를 통해 환경윤리학 혹은 생태철학이라 불리는 새로운 사상의 장을 열었다. 이제껏 어떠한 대안도 허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던 생태계의 파괴, 생태학적 위기의 문제점을 ‘신은 우리를 도울 수 없다. 우리가 신을 도와야 한다. 그것이 우리 자신을 궁극적으로 돕는 길이다’라고 간단히 서술하였다.

지금까지의 독선적인 인간중심주의에 경종을 울리면서 이 시대 중심 화두로 생태주의가 떠오른 것이다. 인간의 이익이 자연에 우선하니 경제적 가치와 공리적 가치를 따져 무관한 부분만 보존하자는 보존파와, 자연자원이 고갈되지 않도록 관리만 하자는 관리파가 주류를 이룬 시대 상황에서 인간중심주의를 비판하고 생태중심주의를 주창한 것이다. 인간이 자연의 일부라면 자연은 결코 단순한 수단일 수 없고, 그 자체로서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 기술문명과 자본주의는 우리에게 실제로 인간다운 삶을 실현할 수 있는 힘과 수단을 제공하였지만, 지나친 성공은 역설적이게도 우리를 파국의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 자연은 인간 없이도 계속 존재할 것이라는 사실을 생각하면 정녕 위기에 처해 있는 것은 인간 자신이지 자연이 아니라는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하여 자연을 지배하려 하였지만 자연에 대한 지나친 지배는 결국 자유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 마저 파괴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의 전통적 윤리가 오직 인간과 인간의 관계가 어떠해야 한다고 강조할 뿐,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그러기에 다른 사람의 의지와 자유를 훼손하지 않는 한 자연을 소유하고 지배하는 것은 자유라는 것이다. 이제 우리는 인간의 자유가 기술을 통해 실현가능하고 기술과 개발에 의한 환경 파괴는 불가피하다는 근대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결국 자연은 인간에게 보복을 한다는 것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 자연에 속해 있는 인간이 자신의 자유를 실현하려면 먼저 자연과 유기적 관계를 맺지 않으면 안된다.

19세기말 오토 슈펭글러는 서구의 몰락을 예견하면서 ‘지구의 황혼’을 느꼈기에 환경파괴에 따른 생태위기가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 상황이라고 했다. 인도의 성자 간디 또한 일찌기 서구식 산업주의가 인류 모두에게 최악의 저주가 될 것이라고 경고 하였는데, 벌써 그 경고는 현실이 되어 다가왔다.

이제 우리 인간의 선택은 자명해졌다. 인간중심주의가 현 위기의 근원이 되어 종(種)으로서의 인간이 생태계를 파괴하였다면, 생물중심주의인 ‘근본생태주의’로 돌아가든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 원인이 권력이나 자본 등이었다면 인간내부에 존재하는 환경파괴의 주범을 없애는 ‘사회생태주의’로 나아가든지 선택을 통해 성장제일주의적 산업문명을 넘어서는 탈 근대적 문명전환운동’을 지향해야만 할 것이다.

김형춘 글 / 월간반야 2003년 8월 (제33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