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환장(六鐶杖)의 비밀

옛날에는 사람이 먼 길을 갈 때 지팡이를 짚고 길을 가는 수가 많았다. 요즈음이야 교통수단이 좋아 먼 길을 걸어가는 경우가 별로 없으니 지팡이를 사용하는 것이 그만큼 줄어들었다 하겠지만, 그래도 등산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개량된 스틱이 있고 나이 많은 분들이 출행할 때 곧잘 지니고 다니는 나무 지팡이가 아직도 많이 쓰인다. 행인의 말없는 벗이 되어 주는 이 지팡이가 상징하는 의미는 더 크다. 민중의 지팡이란 말도 있고 사람이 의지할 힘이 되어 주는 것을 지팡이기 되어 준다고 말하기도 한다. 지팡이는 사람에게 필요한 매우 고마운 것이다. 지팡이 없는 인생을 생각한다면 더없이 쓸쓸한 느낌만 더욱 배가 될 것이다.

지팡이의 한자말은 석장(錫杖)이다. 특히 이 말은 불가에서 많이 써 온 말이다. 스님들이 만행을 할 때 석장을 짚고 다닌 것은 오래된 풍습이었다. 이 석장이 좀 특별하게 만들어진 것에 육환장(六鐶杖)이라는 것이 있었다. 지팡이 머리에 여섯 개의 고리가 달려 있다 해서 육환장이라 부른다. 보통 기다란 막대기에 위의 머리 부분은 주석으로 만들고 그 위에 여섯 개의 고리를 달며 밑의 땅에 닿는 부분인 아래는 동물의 어금니나 뼈를 붙이거나 금속을 박아 뾰족하고 단단하게 만든다. 납자들이 운수행각을 할 때도 이 육환장을 들고 천하의 산과 강을 돌아다니기도 하였지만, 본래 이 육환장은 보살의 육도만행을 상징하는 물건이었다. 육환장을 짚고 길을 가면 고리가 흔들려 짤랑짤랑 소리가 난다. 이 소리를 듣고 벌레나 작은 짐승들이 사람의 행차를 알고 미리 피하여 밟히거나 다치지 않도록 하는, 살생을 방지하고 자비를 베푸는 의미가 있다. 산길을 갈 때는 육환장에 의지하여 걸음을 수월하게 하며 때로는 나이 많은 노인을 만났을 때는 이 육환장을 주어 잡게 해서 부축해 주기도 한다.

부처님이 사용했던 석장에 대한 기록도 문헌에 전해진다. 현장의『대당서역기』에는 여래가 사용했던 석장은 전단향 나무로 대를 만들고 백철로 고리를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의정삼장이 지은『남해기귀내법전』에도 인도의 스님들이 석장을 사용하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머리 부분에 2~3치 가량의 철권(鐵捲)이 있고, 아래는 촉이 있으며 나무로 된 장대로 사람의 어깨 높이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졌다고 말했다. 또『삼국유사』에는 양지(良志)라는 스님이 조각을 잘 했는데 석장을 만들어 거기에 자루를 매달아 허공에 던져 이 석장이 신도의 집 문 앞에 날아가 짤랑거리는 소리를 내면 신도가 시주물을 자루에 넣어 주면 석장이 다시 날아 양지가 있는 곳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이는 양지가 육환장을 이용하여 신통을 부렸다는 이야기이다.

육환장의 여섯 개 고리가 무엇을 상징하는가 하면 중생이 윤회하고 있는 육도를 의미한다. 인간세상과 천상, 아수라, 지옥, 아귀, 축생의 여섯 세계를 상징하기 위하여 여섯 개의 고리를 만든 것이다. 그러니까 고리가 흔들려 소리를 내는 것은 일체 중생들에게 어서 윤회를 벗어나자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윤회를 벗어나는 것은 생사의 고통을 벗어나는 것이다. “살다가 죽는 존재들이여, 살다가 죽는 이 운명을 우리 다 같이 벗어나 버리자.” 육환장의 방울이 울리는 소리가 이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것이다. 어떤 면에서 보면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원초적인 비극을 가지고 있다. 매우 역설적이고 억지스러운 말로 들릴지 모르지만 이 세상에 근원적으로 잘못된 것은 나쁜 업을 짓는 중생이 이 세상에 자꾸 태어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마치 신종 인플렌자와 같이 이 세상에 새로운 병균이 생기는 것과 같은 것이고 또 신체 장애자가 태어날 때부터 신체 불구의 몸으로 태어나 평생을 정상적인 신체 활동을 못하는 슬픔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효 스님은 외쳤다. “태어나지를 마시오. 죽는 것이 괴로움입니다. 죽지를 마시오. 태어나는 것이 괴로움입니다.”(莫生兮也 其死也苦 莫死兮也 其生也苦)

불교의 근본을 생사해탈이라고 말한다. 이것은 바로 불교의 목적이기도 한 것이다. 부다가의 보리수 아래서 정각을 이룬 부처님이 이렇게 독백을 하는 장면이 아함경에 나온다. “나는 다시는 이 세상에 태어나지 않을 자신이 있다.” 이 말을 ‘나는 해탈자’ 라는 말은 달리 표현한 것이다.

육환장의 고리는 육도의 고리다. 고리를 물고 사는 사슬이 먹이사슬처럼 생사의 주기 속에 매여져 있는 것이다. 때로는 우리는 사슬 속에서 묶여 산다는 자신에 대한 자각도 해 보아야 한다. 이 자각을 일깨우는 진언이 하나 있다.『천수경』에 나오는 ‘육자대명왕진언’ 이라는 것이 있다. 관세음보살의 본심미묘진언이라 하기도 하는 이 진언은 육도를 벗어나기 위한 염원을 하는 진언이다. ‘옴마니반메훔’이라는 여섯 글자로 되어 있는 이 진언은 한 글자가 육도의 한 도를 뜻한다. ‘옴’은 천상, 마는 아수라, ‘니’는 인간, ‘반’은 축생, ‘메’는 아귀, ‘훔’은 지옥과 관련이 있다. 물론 어원의 뜻을 풀이하면 그 의미는 또 다르게 나온다.

‘옴’은 감탄사로 ‘아!’의 뜻이고 ‘마니’는 여의주와 같은 보배 구슬이다. ‘반메’는 연꽃인데 연화수보살을 가리킨다. ‘훔’은 조음소로 그냥 들어간 말이다. 전체의 뜻을 연결시켜 보면 “아! 연꽃 같은 보배구슬이여,” 혹은 “아! 연꽃 같은 성자의 품에 안기고 싶나이다.”이다. 여섯 글자가 각각 색깔을 나타내기도 한다. 천상을 뜻하는 ‘옴’자는 백색을, 아수라의 ‘마’자는 청색을, 인간의 ‘니’자는 황생을, 축생의 ‘반’자는 녹색을, 아귀의 ‘메’자는 홍색을, 지옥의 ‘훔’자는 흑색을 나타낸다고 한다. 따라서 이 진언은 육환장의 육도를 상징하는 여섯 고리를 진 ‘옴마니반메훔’의 육자진언으로 대입하여 생각할 수 있다. 아! 연꽃 같은 보배 구슬이여, 나의 윤회는 언제 끝나는 것입니까? 유유히 흐르는 윤회의 강물을 바라보면서 이렇게 자문해 보고 싶은 사색의 계절 가을이 깊어간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09년 10월 107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