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학(Ecology)이 미래를 연다

지금으로부터 꼭 4년 전 8월. ‘반야시론’에서 필자는 ‘인간을 위한 생태주의’라는 글을 쓴 적이 있다. 생태계의 파괴가 ‘자연은 인간 없이도 계속 존재할 수 있지만 인간은 자연 없이 존재할 수 없다’는 생각에 미치면 정녕 위기에 처한 것은 자연이 아니라 인간이라고 한 기억이 난다.

오랫동안 일반인들에게 익숙하지 않았던 생태학이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생물학 가운데 중요한 분야의 하나로 부각되었다. 인구팽창ㆍ식량문제ㆍ환경오염, 그리고 그들과 관련된 사회적ㆍ정치적 문제들이 대부분 생태학적 문제와 연관됨이 분명해졌다.

생태학이란 말은 생물과 그를 에워싼 환경을 다룬 것이다. 생물과 그들의 환경 사이의 상호관계 및 생물 상호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자연의 경제학 또는 생태계 생물학 등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오늘날 생태학은 어떤 특정 지역에서 상호작용하는 생물 및 환경으로 구성되는 기능적 단위인 생태계의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생태계는 영양소가 순환되고 에너지가 흐르는 비 생물요인과 생물요인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순환과 흐름을 수행하기 위하여 생태계는 토양ㆍ물ㆍ영양염류 사이에 밀접한 상호관계가 유지되어야 하며, 생산자ㆍ소비자ㆍ분해자를 구성원으로 가져야 한다. 또한 생태계는 먹이연쇄라고 하는 일련의 먹고 먹히는 관계, 이용과 전환의 관계를 통해 에너지의 흐름 및 물질의 순환을 유지함으로써 기능을 발휘한다.

얼마 전 캐나다를 여행했을 때 안내자로부터 들은 이야기 가 생각난다. 록키와 빙하를 보기 위해 원시림인 국립공원을 지났다. 이곳의 숲은 자연적으로 사태가 나서 쓰러지든, 바람이 불어서 부러지든, 수령이 오래되어 말라죽든 간에 일체 인위적으로 치우거나 손대지 않는다고 했다. 왜냐하면 자연 그대로 두고 생태계의 변화를 관찰하고 복원되는 것을 연구하기 위함이라 했다. 영양소가 순환하고 에너지가 흐르며, 먹이연쇄가 일어나고 천이가 이루어짐을 살피는 것이다.

이처럼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학자들이 모이면 그저 환경파괴를 고발하고 인류의 미래를 걱정하며 개발을 성토하는데 급급했던 생태학의 연구가 이즈음 급박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생태학과 환경과학이 21세기 학문의 중심에 들어서고 있다. 지금 세계적인 미래학 포럼은 앞으로 20~30년 간 세계시장을 주도할 산업으로 ‘환경산업’과 ‘에너지산업’을 꼽는데 거의 의견일치를 보고 있다. 앞으로 10~15년 내로 IT시장은 그 규모가 크게 줄어들 것이고 대부분의 제조업은 나노과학의 영역으로 재편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특히 지구온난화에 따른 세계기후변화가 적어도 21세기 전반부의 산업과 학문을 주도하리라고 보는 것이다.

지난 6월에 내한하여 수 차례 강연과 대담 등을 가진 세계적인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IT 다음은 생태학 … 복지ㆍ건강이 다가올 시대의 화두”라고 하면서 생태학을 비롯하여 복지와 건강에 관련된 분야는 사람답게 살기 위해서 필요할 뿐 아니라 우리를 먹여 살릴 차세대 주력산업으로서 더없이 중요하다고 했다.

지금 우리사회도 생태학(Eco)이 우리의 미래라는데 이견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IT와 BT가 생태학, 건강과학, 사회복지학 등과 융합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우리나라의 대학에도 ‘에코 과학부’가 신설되지 않았는가. 학문하는 사람 뿐 아니다. 기업도 사회도 빨리 변해야 한다. 이러한 생태학의 본격적 연구와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한 차세대산업이 어쩌면 너무나 독선적이고 인간중심적이며 물질주의에 사로잡힌 현실에 쐐기를 박고, 뭇 생명의 존귀함에 대한 바른 가르침을 주신 부처님의 자비를 크게 베풀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김형춘 香岩 (반야거사회 회장·창원전문대교수) 글. 월간반야 2007년 8월 제81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