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복(熱福)과 청복(淸福)

사람이 살면서 복을 누리고 싶어 하는 것은 모두의 공통된 소망일 것이다. 남에게 복 받으라고 덕담을 해 주는 것도 복이 인간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소위 행복이라는 것이 복을 만나 다행하게 사는 것이다. 불우하지 않고 고통에 시달리지 않고 즐겁게 사는 것이 행복이라는 말이다. 이 행복론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세속적인 가치 기준은 이미 예로부터 서 있었다. 동양에서는 오복(五福)을 들어 행복의 표준으로 삼았다. 첫째 장수를 누려야 복이 누려진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수복(壽福)을 맨 처음 두었다.

두 번째는 부자로 사는 것이 복이다. 가난이 고통을 가져오므로 의· 식· 주를 잘 갖추어 배고프지 않게 먹고 춥지 않게 입고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강녕(康寧)으로 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한 것을 뜻한다. 몸이 병에 걸리지 않고 정신적으로도 건강하고 평화로운 것이 강녕이다. 넷째는 유호덕(攸好德)이라 하여 남으로부터 좋은 말을 듣고 어진 덕이 있어 사람 사이에 신뢰와 존경을 받는 것이다. 다섯째는 고종명(考終命)으로 임종을 편안하게 맞이하는 것이다.

이상의 다섯 가지를 오복이라 하여 이 오복을 다 누리고 사는 것이 가장 복 받고 산 잘 산 인생이라는 것이다. 이 오복설은 다분히 일신의 영달을 추구하는 입장에서 내세운 것 같다. 아무튼 복을 타고 나기를 바라고 복을 누리기를 바라는 사람의 마음이 복에 의존하여 있음을 간과할 수가 없는 것이다. 사람이 불우한 자기 환경을 비관 팔자타령을 하는 것은 곧 박복함을 한탄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오복이 꼭 인생을 올바르게 살게 하는 것인지는 의문이다. 복 많이 누리고 산 사람을 꼭 잘산 사람이라고 한쪽으로만 치우쳐 평가할 수 없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인류 역사상 유명한 위인들 가운데 전혀 복을 누리지 못하고 산 사람들이 많다. 위대한 발명가가 인류에 이바지 할 큰 발명을 하고도 요절한 사람이 있으며, 불후의 명작을 남기고도 불우한 생애를 산 예술가들도 많다. 또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순국열사들의 생애를 보면 고난 속에 살았을 뿐 전혀 복을 누리지 못한 이들도 많다.

이런 점에서 보면 세속적 복이란 내가 남보다 잘 되는 이기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일신의 영달이란 남과 고통을 함께 나누는 인륜적인 큰 덕이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벼슬이 높아도 청백리 정신으로 산 고관들이 옛날에도 있었는데 이들은 치부를 누리려 하지 않았다. 말하자면 스스로 안빈낙도를 즐긴 사람들이었다. 이들이 누리는 복을 청복(淸福)이라 하였다. 맑고 깨끗한 복이라는 말이다. 사실 청복은 치부 등의 복이 없는 경우인데 이 청복이 더 귀한 복이라고 주장한 사람이 있다.

다산 정약용의 어록에 청복과 열복(熱福)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사람이 삶을 연장하여 오래 살기를 원하는 것은 어째서인가? 세상에 온갖 복락이 있어도 장수하지 않고는 누릴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상에서 말하는 복이란 것에는 대저 두 가지가 있다. 깊은 산속에 살며 거친 옷에 짚신을 신고 맑은 못가에서 발을 씻으며 노송에 기대 휘파람을 분다. 집안에는 거문고와 고경(古磬)을 놓아두고 바둑판 하나와 책 한 다락을 갖추어 둔다. 마당에는 백학 한 쌍을 기르고, 기이한 꽃과 나무 및 수명을 늘이고 기운을 북돋우는 약초를 심는다. 이따금 산승이나 우객(羽客)과 서로 왕래하며 소요하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아 세월이 오고 가는 것도 알지 못한다. 조야(朝野)가 잘 다스려지는지 어지러운지에 대해서도 듣지 않는다. 이런 것을 청복이라 한다. 외직에 나가서는 대장군의 깃발을 세우고 관인(官印)을 허리에 두르며 노랫소리와 음악소리를 벌여놓고 어여쁜 아가씨를 끼고 논다. 내직으로 들어와서는 높은 수레를 타고 비단 옷을 입고 대궐 문으로 들어가 묘당에 앉아 사방을 다스릴 계책을 듣는다. 이런 것을 열복이라 한다. 사람이 열복과 청복 가운데서 택하는 것은 다만 그 성품에 따른다. 하지만 하늘이 몹시 아껴 잘 주려 하지 않는 것은 바로 청복이다. 그래서 열복을 얻은 사람은 아주 많지만 청복을 얻은 사람은 몇 되지 않는다.”

다산의 열복과 청복은 매우 대조적이다. 화끈하게 뜨겁게 산다 해서 열복이라 했는지 모르지만 불교에서는 세속의 오욕락 곧 재물, 여색, 음식, 명예, 수면을 탁복(濁福)이라한다. 복을 누리면서 정신이 탁해지기 쉽다는 뜻이다. 가치로 말하면 탁한 것보다 맑은 것이 나은 것이다. 탁복에 도취되어 자신의 인생을 흐리게만 해서는 잘살았다 할 수 없을 것이다. 문제는 열복은 남과의 경쟁을 하면서 때로는 남에게 피해를 주는 수가 있지만 청복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열복은 나쁜 업이 만들어져 그 과보가 내게 괴로움을 느끼게 해 주지만 청복은 열복처럼 나쁜 과보가 오지 않는다. 때문에 알고 보면 사람이 청복에 대한 향수도 누구나 가지고 사는 것이다. 다만 세속의 인습에 의해 열복 쪽으로 기울어져 사는 것이 아닐까?

요산지안 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7년 12월 제85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