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어렸을 적 초등학교 다닐 때 미술수업을 하던 어느 시간이었다. 선생님이 사과 한 개를 가져와 교탁 위에 올려놓고 그것을 그려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가만히 놓여 있는 사과같은 것을 그린 그림을 정물화라고 설명해 주었다. 이때의 기억으로 인해 나는 그림 가운데 정물화를 제일 먼저 이해하게 되었다.
정물이라는 말은 움직이지 않고 고요히 놓여 있는 물건을 뜻하는 말일 것이다. 자칫 활력이 없는 무생물을 뜻하는 말로 인식되어 부정적인 이미지를 느끼게 할런지도 모르지만, 고요한 본래모습 혹은 본래상태를 뜻하는 말이므로, 나는 이 말을 매우 좋아한다. 또한 불교의 교의에 나오는 여러 가지 말 중 열반을 뜻하는 적정 혹은 적멸이라는 말도 결국은 정물과 같은 개념을 지니고 있다. 『법화경』 4구게에 “모든 법은 본래부터 고요한 모습일 뿐이다 (諸法從本來 常自寂滅相)”고 했다.
고요하다는 것은 단순히 움직이지 않는다는 무동작을 뜻하는 말로만 이해되는 것은 아니다. 변하지 않는 어떤 한결같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뜻하기도 한다. 조변석개하는 오늘날의 세태를 두고 생각해 보면, 정물처럼 언제나 그 자리에 남아 변하지 않는 옛 모습을 보여주는 그 무엇이 한없이 그립기도 하다. 물론 제행무상이라고 했듯이 모든 것은 덧없이 변해가기 마련이다. 생멸의 인연 속에서 일어나는 중생계의 일이란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고 동쪽이 있으면 서쪽이 있기 때문에,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상황변동이 항상 일어난다. 더구나 역사가 흐르면 그만큼 시간적 진행이 있어, 어제의 시간이 오늘이 아니듯이 오늘의 상황이 어제와는 다르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변화 속에 아이러니컬하게도 사람은 옛것을 잃어버린 슬픔과, 변해버렸는데도 변하지 않았을 적의 향수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너무나 많이 있다. 예를 들면 가난 속에서 고생하며 살다가 이제는 부유해져 형편이 좋아진 사람들도 마음 한 구석에 옛날의 가난했던 시절에 대한 향수가 남는 법이다. 그것은 마치 사랑하다 헤어진 사람이 사랑했던 시절의 그리움을 갖고 있는 것과 같다.
사람은 보통 미래에 대한 꿈이 자기의 모습이 변해 이루어질 것이라는 동경을 가진다. 그러면서도 과거에 대한 잊지 못할 아름다운 사연이 그대로 변하지 않고 남기를 바란다. 어쩌면 인간의 양면성이라고 할 수 있는 이러한 것은 인간의 환경이 상대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무슨 말이냐 하면 A라는 상황을 누구나 천편일률적으로 다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싫어하는 사람도 있는데, 그들은 A가 아닌 B를 원한다. 역사는 언제나 변증법적인 논리를 타고 흐른다. A를 주장하는 시절이 있는가 하면 어느 때에 가서는 또 A를 반대한다. 소위 개혁이라는 것도 이러한 변증법적인 정반합의 논리에 의해 시도된다.
그래서 한 시대의 이슈가 되어 많은 사람들을 공감시키고자 하는 어떤 문제의식도 그것에 의한 부작용이 따른다. 문제는 사회란 언제나 주장하는 쪽과 반대하는 쪽이 공존해야 하며 이 공존의 공간을 보존하는 자체가 새로운 이념을 주장해 내세우는 것보다 본질적으로 더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인간은 서로 상반된 견해 때문에 적이 될 수는 없다. 편이 다르다고 해서, 즉 내 편이 아니라고 해서 적이 아니란 말이다. 종교가 다르다고 해서 적이 될 수는 없는 것이고 정당이 다르다고 해서 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좀더 넓은 면에서 보면 같은 종교인이고 같은 정치인이다.
무엇보다도 사람은 자기 생각을 정화시키고 살아야 한다. 선동적 구호만 외치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진실한 뜻을 가진 사람일수록 자기 생각, 곧 자기 사유에 대한 정물화가 필요하다. 지조 없이 변절하는 변덕스러운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기 사유에 대한 정물화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자기 생각을 고요히 객관화 시켜서, 탁자 위에 올려놓은 사과를 그리듯이 자기 생각을 반성해 보고 관조해보는 사고의 여유를 가져야 한다. 누가 더 진지한 생각으로 사유의 공간을 넓혀 전체를 조화시켜 나갈 것인가는 지도자의 안목을 높이는 탁견이다. 선거바람이 일 양춘의 4월, T.S 엘리어트가 4월은 잔인한 달이라고 했지만 기후 좋은 우리나라의 4월이야 어디 잔인할 수가 있겠는가? 만개한 벚꽃처럼 꽃등 같은 마음이 되는 4월이었으면 한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4월 제4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