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파삼자배파문 借婆杉子拜婆門 노파의 적삼을 빌려 노파 문전에 절하니
예수주선이시분 禮數周旋已十分 인사 차릴 건 충분히 다 차렸네
죽영소계진부동 竹影掃階塵不動 대그림자 뜰을 쓸어도 먼지 일지 않고
월천담저수무흔 月穿潭底水無痕 달이 못 밑을 뚫어도 수면에 흔적이 없네
선(禪)은 마음에 일체의 분별의식이 떠나간 상태를 유지한다. 마음에 미련이나 후회가 남으면 선이 아니다. 시비곡직을 애초에 외면해 버렸기 때문에 선에 들어온 것이며, 선에 든 마음은 모든 것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다. 동시에 주객이 없는 상태에서 자기의 할 일은 다 해 마쳐버리는 것이다. 인간의 도리를 예의라 한다면 선심 속에서는 그 예의가 실은 차릴 것 없이 다 차려진다. 마음 자체는 능소(能所: 주체와 객체관계)가 없으므로 아무리 마음을 움직여도 움직임이 없다. 마치 대그림자가 계단 밑을 쓸어도 먼지가 일지 않으며, 달이 물 속을 비추어도 물에 흔적이 없는 것처럼, 모든 상대를 초월하여 여여부동(如如不動)하기만 한 그 자체가 선인 것이다. 선의 정수를 바로 읊었다고 평가받는 이 시는 야보도천(冶父道川)스님의 작품이다. 『금강경오가해』 중 야보송에도 나오고 있는데, 특히 3구와 4구는 많이 인용되는 구절이다. 인간사 모두가 공중에 일어나는 한 줄기 바람 같은 것인데, 구태여 우리는 자기생애의 흔적을 남기려고 애를 쓰니, 어찌보면 참으로 안타까운 노릇이다. 어느 선사가 “나는 평생 아무것도 없는 무(無)와 더불어 살아왔다”고 독백한 적이 있다. 알고보면 모든 사람이 다같이 무와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다.
지안스님 해설. 월간반야 2002년 12월 (제2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