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왜 산에 사느냐고 묻는다면

문여하사서벽산 問余何事栖碧山 내게 왜 산에 사느냐고 묻는다면

소이부답심자한 笑而不答心自閑 빙그레 웃을 뿐 대답 못해도 마음 더욱 넉넉하네

도화류수묘연거 桃花流水杳然去 복사꽃 물에 흘러 아득히 가니

별유천지비인간 別有天地非人間 인간세상 벗어난 또 다른 세계라네

너무나 잘 알려진 이태백의 산중문답(山中問答)이라는 시다. 산거(山居)생활의 탈속한 맛이 진하게 느껴지고 있다. 왜 산에 사느냐는 말에 빙그레 웃을 뿐, 모든 것에서 초월된 마음이 저절로 한가롭기만 하다는 두 번째 구는 정말 뉘앙스가 미묘하여 깊은 여운을 남기고 있다. 사실 세상사라는 것이 별 것 아닐 수도 있다. 죽느니 사느니 하는 범부들의 문제가 속세를 초월해 버릴 때는 아무 것도 아닐 수 있다는 말이다. 무릉도원의 선경(仙境)을 읊은 시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상세계를 동경하는 인간의 순수한 정서를 소담하게 나타내었다고도 하겠다. 세상의 근심걱정을 이고 살 때는 선(禪)을 맛볼 수 없다. 잠시라도 근심을 풀고 자기의 본래 마음으로 돌아가야 한다. 본래 마음이란 번뇌 망상이 일어나기 이전의 마음이다.

예로부터 산은 시끄러운 세상을 피하는 인간의 휴양처로 인식되기도 했다. 또한 사색과 명상을 할 수 있는 수행의 곳이었다 특히 불교에서는 입산출가니 입산수도니 하는 말을 써 오면서 도를 닦으러 산에 들어간다 하였다. 산중에 산다는 것은 세상의 시끄러움을 벗어났다는 뜻과 함께 수도에 종사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연을 가장 가깝게 느낄 수 있는 곳도 산이다. 숲이 있고 골짜기가 있고 봉우리가 있고 기슭이 있다. 산은 인간과 자연이 동화되는 곳이어서 명상이나 선(禪)수행을 하기에 아주 좋은 곳이다.

지안스님 해설. 월간반야 2002년 5월 (제18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