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사는 전북 완주의 시골에 있는 절이다. 역사가 깊은 고찰은 아니고 한 비구니 스님의 원력으로 30여 년 전에 창건된 절이다. 대전에서 복지시설을 설립, 치매노인들을 극진이 보살피고 있는 혜광 스님과의 인연으로 나는 이 절을 몇 번 방문하게 되었다.
이번에는 가사를 짓는 불사를 백일기도와 함께 봉행해, 회향하는 날 열리는 대 법회의 법문초청을 받게 되어 방문하게 되었다. 그사이 법당을 새로 짓고 도량을 정리하여 절이 매우 아름답고 청결하였다.
절이 농촌의 야산에 자리하고 있어 깊은 산중 절도 아니고 도회지에 있는 절도 아니라 그야말로 촌절이다. 그러나 촌절이라 해서 절이 초라한 것은 아니다. 법당이 세 개나 있고 선방도 있으며 요사채가 매우 넓다. 처음 갔을 때에도 나는 이런 곳에 어떻게 이렇게 절을 잘 지을 수 있었나 하고 감탄을 한 적이 있었다.
백운사의 특징을 한마디로 말하자면 농촌 사람들을 위한 농촌의 절이다. 절 밑의 마을에는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 그것도 우리나라 농촌사정이 어디를 가나 다 그렇듯이 젊은 층이 아닌 나이가 많은 노인 분들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백운사 신도는 거의가 농촌의 나이가 많으신 노보살님들이다. 이분들은 절을 다니며 열심히 기도를 하거나 특별히 정진을 하는 신도들이 아니라 절에 무슨 일이 있으면 내일처럼 와서 절의 일을 도와주는 사람들이다. 그저 이웃집 일을 도와주듯이 절을 돌보며 지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물론 부처님 오신 날이 되면 절에 등을 하나씩 켜기는 한다. 가난한 형편이라 많은 돈을 내지 못하고 만 원씩 혹은 이만 원씩 절에 시주를 하고 등을 켠다. 음력 초하루가 되면 절에 가는 날이라 생각하고 절에 와서 법당에 참배하고 기도를 잠시 하고 가는 신도들도 조금씩 생겼지만, 그러나 농번기에는 농사일이 바빠서 초하루가 되어도 아무도 안 온다.
이 절을 창건한 지향(智向) 스님은 70대 초반의 연세로 남다른 원력을 가지고 이 절을 세웠다. 스님의 뜻은 농촌의 가난한 서민들을 위해 부처님 법을 펴 그들이 부처님의 가피와 은혜를 입도록 하는 것이다. 법당에 들어가 축원을 할 때마다 삼재의 재난이 없기를 빌어주고 건강을 빌어주고 복덕과 지혜가 성취되기를 빌어드린다. 스님의 성품은 언제 부지런하고 매사를 성심성의껏 하는 헌신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다. 소박한 농촌의 노인분들이 가장 믿고 따르는 말하자면 정신적 지주의 역할을 하는 스님이 되었다.
이번에 스님이 삼보에 공양을 올리고자 하는 마음으로 가사불사를 하게 되었다. 가사란 스님들이 입는 네모난 천을 이은 일종의 의복이다. 이 가사를 지어 스님들께 공양을 올리고 신도들에게 동참하여 복을 짓게 하자는 것이 스님의 의도였다. 가사를 복전의(福田衣)라고 번역하듯이 예로부터 가사를 지어 올리면 큰 복을 짓는 일이라고 말해왔다.
그런데 이 가사불사가 꽤 돈이 많이 드는 불사이다. 옷감 값이 올라 한 벌을 짓는데 비용이 만만치가 않다. 백 벌만 하여도 수천만 원의 불사금이 필요하다. 그런데 농촌의 경제사정은 뻔하다 1~2만 원이 귀한 곳이다. 기만 원씩 동참한 농촌의 신도님들도 있었지만, 지향스님은 이 불사금을 시주금에 의존하지 않고 개인의 사비와 권속스님들의 도움으로 충당하였다고 한다.
지안 큰스님 글. 월간 반야 2012년 6월 13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