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적 안목으로 문화를

오랜 여행에서 돌아와 내 방에 누워보아야 참으로 내 집의 안온함과 소중함을 맛볼 수 있다. 더구나 여행길이 좀 힘들었다면 더 말할 나위도 없을 테고. 이따금 해외 나들이를 하면서 느낀 게 있다면 내 집과 가족, 내 나라의 소중함을 다시금 확인하는 것과, 평상시 안에서 느낄 수 없었던 새로운 감흥을 얻는 것일 게다. 또한 나이 들어 하는 여행계획은 건강이 허락할 때에 가능한 먼 곳부터, 꼭 다녀와야 할 곳부터 하는 게 좋겠다.

이 여름엔 가까운 벗들과 부부동반으로 유럽의 서남부를 십여 일 다녀왔다. 열세시간 남짓 비행기를 타고 포르투갈의 리스본에 내렸다. 거기서부터는 관광버스와 국내선 여객기를 이용해서 아프리카 북서부의 모로코를 거쳐 주로 스페인에서 시간을 많이 보냈다. 기억에 남는 도시로는 포르투갈의 리스본과 유럽대륙의 서쪽 끝인 까보 다 롯, 모로코의 중세도시페스, 추억의 명화 험프리 보가트와 잉그리드 버그만 주연의 ‘Casablanca’로 유명해진 카사블랑카, 모로코의 수도 라바트 등과 스페인에선 비제의 ‘카르멘’, 로시니의‘세빌랴이 이발사’로 더 알려진 세비아, 역사의 도시로 이민족들의 왕궁이 흥망한 모습이 ‘알함브라궁전’으로 남아 있는 그라나다, 8세기중엽부터 11세기 중엽까지 이슬람왕국의 수도였던 코르도바, 도시 전체가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똘레도, 현재의 수도인 마드리드, 가우디와 피카소를 빼면 쓰러질 것 같은 바르셀로나 등이다.

며칠 지나지 않았건만 서둘러 다니느라 무엇을 보았는지 잘 기억이 나질 않지만 ‘스페인’에 대한 나의 인상이 확실히 바뀐 것은 사실이다. 유럽에서 역사가 가장 긴 나라 가운데 하나이자 가장 강성했던 나라로, 16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대제국을 건설하여 세계 도처에 식민지를 소유한 지난날의 강대국 정도로 생각하고 발을 디뎠던 것이다. 지정학적으로 아프리카와 유럽의 교차점이며, 지중해와 대서양을 잇는 관문으로서 유럽ㆍ아프리카ㆍ지중해ㆍ대서양의 문화를 골고루 간직하고 있었다. 그 때문인지 스페인의 문화는 서유럽의 다른 국가들과는 다른 독특한 색채를 띠고 있었다. 장님이 코끼리를 만지는 격이겠지만 내가 본 스페인의 문화는 ‘아랍 문화의 바탕 위에 유럽식의 기독교 문화를 가미’한 것으로 보았다. 대표적인 중세 도시ㆍ왕궁ㆍ성ㆍ교회 등에서 아랍 문화(이슬람)의 흔적이 없는 곳이 없었고, 힘으로 이슬람을 밀어낸 뒤 그들의 문화를 전부 파괴하거나 일부를 파괴하고는 그 바탕 위에 기독교 문화로 단장한 것이었다. 가는 곳마다 그들이 자랑하는 대성당이나 왕궁의 한결같은 특징은 바로 ‘이슬람 문화 + 기독교 문화’로 보였다.

그렇다고 고유한 그들의 문화가 없는 것은 물론 아니다. 대 건축가 가우디와 현대 회화의 흐름을 바꾼 피카소의 숨결을 가까이서 느낀 것은 두고두고 잊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그들의 문화에서 간과할 수 없는 게 분명히 있었다. 아랍문화든 기독교문화든 대단한 것만은 틀림없다. 건축기술이 그러했고, 조각이나 회화가 그러했고, 스케일이 그러했다. 마치 영화 ‘자이안트’에서 ‘누가 더 거대하냐’고 외치던 것처럼 스페인의 교회는 하나같이 거대함에다 얼마나 예술성을 가미했는가 하는 경쟁의 산물로 보였다. 보기에 따라선 지배자의 권능의 상징처럼 보일 수도 있고, 거대한 역사(役事)에 희생된 하층민의 고뇌가 어리기도 하였지만 그들은 이에 개의치 않고 그들의 문화로 소중히 관리하고 있었다.

수세기에 걸쳐 이루어진 문화를 수십 년을 두고 보수를 하는가 하면, 바르셀로나의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건물은 1882년에 착공하여 초대 건축가 비야르에 이어, 가우디로 이어졌고, 현재는 3대 건축가인 수비락에 의해 공사가 진행중인데 아직 완공 시기를 예측할 수 없다고 하니 얼마나 오랜 기간에 얼마나 많은 예술가와 장인들이 땀과 혼을 쏟아 붓고 있는지 알만하다.

집에 돌아온 지 한 주일이 되어 가는데 아직도 눈만 감으면 구릉과 산야의 올리브나무요, 눈을 떴다가 다시 감으면 까마득히 쳐다보이는 교회의 대리석 기둥이요, 천장의 조각과 그림과 종탑 뿐이다. 정신을 가다듬어 주위를 둘러보자. 우리 문화는 물론이려니와 하찮다 여길 이민족의 문화라도 소중히 여겨야 하겠다. 이즈음 우리 불교계에도 불사에 열을 올려 ‘크고 웅장함’에 관심이 많은 것 같다. 겉보기에 현혹되지 말고 뒷날 불교와 우리 문화에 관심을 갖고 고민할 사람들을 한번쯤 생각하였으면 좋겠다.

김형춘 향암 (반야거사회 회장·창원전문대교수) 글. 월간반야 2007년 9월 제82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