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봉스님─복은 아껴야 한다

복은 아껴야 한다

-경봉 스님-

과수원의 과목(果木) 키우는 법을 배우는데 칠판 강의를 듣거나 말과 글로써 배우더라도 자기가직접 과수원에서 이삼십년간 과목을 키워보면 선생에게 배운 그 이상의 것을 자기도 모르게 체험을 통해서 알게 된다.

이러한 것을 자기 자식이 제일 가까우니 자식에게 가르친다.

자식에게 가르친다지만 도저히 말로써 가르칠 수 없는 묘한 이치가 있다.

또 말로써 설명해주더라도 듣는 사람이 그 경지에 이르지 못하였으면 무슨 말인지 잘 알아듣지 못하는 것이다.

부처님의 정법안장의 오묘한 진리는 말로써 표현할 수 없고, 글로써 보일 수 없다.

어느 정도는 말과 글로 이야기하여 보여줄 수 있지만 그 경지에 들어가지 못하면 무슨 소린지 모른다.

우리 수행하는 이들은 수행하는 것을 매일 점검해야 하고 또 세속에 사는 이들은 부모님 밑에서 살 때에는 몰랐는데 장가가고 시집가서 보니 걱정되지 않는 일이 없다.

모든 근심과 걱정을 살펴보면 모두 물질 아니면 사람의 걱정이니 불교를 믿는 이들은 부처님의 그 초월한 정신에 계합되어 수심 걱정 보따리를 확 털어버리고 사바세계를 무대로 삼고 멋들어지게 살아야 한다.

여러분들이 오늘부터 회계를 대기를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난 후에 무슨 보람된 일을 하였는가, 이 소소령령한 자성 자리에 무슨 이익이 될 만한 수양을 쌓았는가, 또 남에게 착한 일을 하여 사회에 헌신한 일이 얼마나 되는가, 그런 보살행을 생각이라도 해보았는가 , 이것을 전부 기록해 봐서 부끄러우면 불교를 신봉하는 불자로서의 생활을 다시 시작해서 뒷날 다시 기록해볼 때 부끄럽지 않도록 해야겠다.

일본 선종의 조동종 시조 도원(道元)선사의 수제자 되는 스님이 그 당시 전좌(典座)라는 소임을 보고 있을 때의 일이었다.

어느 수좌가 보니까 매일 밤 자정쯤 되면 무엇을 끓여서 혼자서 먹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 수좌가 조실 스님인 도원 스님게 이 일을 말하자 조실 스님이 자정 때쯤 돼서 살펴보니 사실인지라 “무엇을 만들어서 너 혼자만 먹느냐, 나도 좀 주려무나.” 하니까 한사코 안 된다고 하는 것을 세 번째 밤에는 조금 주는 것을 먹어보니 고약한 냄새가 나고 도저히 먹지 못할 음식이라서 그 제자에게 “도대체 이것이 무엇이냐?”고 하니까 “이것은 수채 구멍에 누른밥 찌꺼기와 밥 남은 것을 공양주들이 마구 버리기에 아까워서 버릴 수는 없고 이것을 먹기 위하여 다른 스님네들이 다 잠든 자정에 비밀히 끓여 먹는 것입니다.” 조실 스님이 감격하여 말하기를 “흘러가는 물이라도 쓸데없이 함부로 쓰지 않도록 해야겠다”라고 하였다.

이 일이 우리 일상생활에 매우 경계될 말한 일이다.

그래서 선문(禪門)의 규범에 이르기를 한 낱의 쌀이 땅에 떨어졌으면 나의 살점이 떨어진 거와 같이 생각하고 한 방울의 간장이 땅에 떨어지면 나의 핏방울이 떨어진 듯이 생각하라고 하였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