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는 너무 흔해지면 천해지는 것이 있다. 물론 질적인 상품 가치가 많은 것은 양이 많아도 많은 대로 가치를 인정받겠지만 그렇지 않고 별 볼 일 없는 것이 숫자만 많을 때는 어차피 천대받기 일쑤다.
반야암 주변에는 몇 년 전부터 천대받는 식물이 하나 생겼다. 달맞이꽃이라는 이름은 그럴듯한 꽃인데 이 꽃이 절 둘레에 어떻게나 많이 번식해 자라는지, 할 수 없어 나는 절 식구들에게 보이는 대로 모두 뽑아 없애라고 지시를 내렸다. 말하자면 달맞이꽃 추방작전을 해마다 전개하고 있는 셈이다.
내가 이 꽃을 추방하기로 결심한 것은 원래 서식한 바가 없던 이 꽃이 어디서 씨앗이 날라 왔는지 수년 전에 몇 포기가 눈에 띄더니 몇 년 사이에 그 번식이 너무 빨라 절 주위가 온통 달맞이 밭이 될 판이어서 어떻게 해야 하나 망설이던 중 마침 어느 식물에 조예가 깊은 분으로부터 이 식물은 황소개구리가 다른 개구리들을 못살게 하고 자기 판을 만드는 것처럼, 다른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며 자기번식을 너무 앞세워 자라기 때문에 추방해야 되는 식물이라는 말을 듣고서부터이다.
꽃도 별로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6~70cm정도 자라는 키와 잎도 별 볼 상이 없을 뿐 아니라 다른 식물과 섞여서도 혼자 무성해 보이는 자태가 왠지 얄밉기까지 한 것이다. 땅의 거름성분을 혼자 다 빼앗아 먹는 얌체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우리나라 낮은 산야에 흔하게 지천으로 자라고 있는 개망초 보다도 번식력이 훨씬 강한 것 같았다.
식물도감에 찾아보니 달맞이꽃도 큰 달맞이꽃, 애기 달맞이꽃 등 80여 종류가 있다 하며, 유럽 원산과 남· 북 아메리카 원산이 있어 우리나라에 들어온 귀화식물이라 하였다.
이 꽃을 뽑아내면서 내가 추방식물이라 했더니 한 상좌가 불쑥 “꽃도 추방을 당해야 합니까?” 하는 것이었다. 갑자기 대답이 궁색해 “꽃도 누구에게 싫어 미움을 받으면 추방당하는 거지 뭐”라고 말했다. 꽃이 추방을 당한다는 것이 좀 이상할지 모르지만, 시든 꽃을 버리는 것처럼 필요 없는 무가치로 판단되면 가치 있는 것에 밀려서 버림받을 수 있는 것이다.
마치 나무를 키울 때 병든 가지를 쳐버리는 것처럼 말이다. 또 꽃이란 말이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언어라 할 수 있지만 식물 그 자체에서 개중에는 독소를 가지고 있거나 혹은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주는 꽃도 있다.
그런가 하면 사회적 문화현상을 두고 꽃에 비유하여 말하는 수도 있다. 예술의 꽃이 있으며 학문의 꽃도 있다. 다시 말하면 존재의 모든 영역과 문화의 모든 영역에 꽃이 있다. 불교에서는 사람의 마음도 꽃에 비유하여 말한다. 사람 누구나가 본래의 진실하고 착하며 아름다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이 진실하고 착하고 아름다운 마음이 되었을 때 마음의 꽃이 피었다고 한다. 이렇듯 꽃이란 가치의 우수성을 나타내는 말이 되기도 한다. 반면에 이 꽃이라는 말을 나쁜 의미에 붙여 쓰는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악의 꽃’이란 말이 있다. 금단의 사랑을 주제로 한 일본 영화 제목에 ‘악의 꽃’이 있으며 보들레르의 소설 제목에도 ‘악의 꽃’이 있다. 또한 문화적 현상을 가지고 말할 때 악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꽃이 피어 사회에 피해를 입히는 문화의 꽃도 있지 않을까? 이럴 경우 그 문화는 저질스런 악의 문화가 되어 추방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세상에 추방당하는 것은 슬픈 일이긴 하지만 추방은 언제나 있다. 왜 추방을 당하는가 하면 전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지나친 욕심을 가져 남의 자리를 빼앗으려 하거나 이기적 독단에 빠지면 추방을 당한다. 그렇기 때문에 때로는 자기의 몫을 줄이고 욕심의 팽창을 막아야 한다. 수행자를 경책한 부처님 말씀에 허구한 날 좋은 음식만 챙겨 먹으려 애쓰는 사람은 음식을 먹는 것이 아니라 욕심을 먹는 것이라 하였다.
요산 지안큰스님 글. 월간반야 2007년 6월 제 7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