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행원품 (26) – 중송분 7

<경문>

일체 여래께는 장자가 있으니 그 이름을 존경스런 보현이라 부른다.

내 이제 모든 선근을 회향해서 지혜로운 행동이 저와 같아지길 원하며

몸과 말과 뜻이 항상 청정하고 모든 행과 국토도 또한 그렇게 되길 원하니

이와 같이 지혜로워야 보현이라 할 것이니 내 그와 똑같이 되리라.

내 청정한 보현의 행과 문수사리의 모든 대원을

남김없이 모두 닦아 원만히 하여 미래제가 다하도록 게으르지 않으리라

내 한량없는 수행 모두 닦을 것이며 한량없는 공덕 죄다 얻어서

한량없는 모든 행에 머무르면서 일체 신통력을 통달하리라.

문수사리의 용맹한 지혜와 보현의 지혜로운 행도 그러하나니

내 이제 모든 선근 회향하여서 저를 따라 모두를 닦아 배우리.

삼세 모든 부처님이 칭찬하시는 이러한 뛰어난 모든 대원에

내 이제 온갖 선근 회향하는 것은 수승한 보현행을 얻기 위한 것

내 이 목숨 다하려 할 때 일체 장애를 다 없애고

아미타 부처님을 만나 뵈옵고 곧바로 극락세계 왕생하야지이다.

내 저 세계에 가서 나고는 그대로 이 대원을 모두 이루어

온갖 것 남김없이 원만히 하고 일체중생계를 이익 주어 즐겁게 하리.

<풀이>

보현보살을 부처님의 장자라 한다. 부처님의 가업을 계승하는 서열 제일에 있는 보살이라는 뜻이다. 문수의 지혜가 뛰어나도 보현의 행원이 아니면 불사가 원만히 성취되지 않으므로, 실제 부처님 일을 완성시키는 역할은 보현이 하는 것이다. 입법계품의 선재동자 53선지식 순방에서도 마지막으로 보현보살을 만나 법계에 들어간다. 이것은 바로 보현의 행원이 보살도를 완성함과 동시 정각을 성취한다는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정각의 경계를 스스로 깨닫고 남을 깨닫게 하는 자각과 각타로 구분 자리이타를 각에 배분 깨달음 자체가 완전무결해질 때 부처가 되는데 이를 각만(覺滿)이라 한다. 따라서 깨달음은 단순히 하나의 사실을 아는 지적인 이해의 차원이 아닌 모든 것이 완성되었음을 뜻한다. 번뇌에 의한 일체의 장애가 종식되고 알고 실천하는 면에서도 일체 장애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각의 경계다. 주관과 객관 사이의 마찰이 전혀 없는 것이 보현 경계이며, 이때 보현은 부처님의 역할을 대역하는 것이 된다. 그리하여 보현행은 모든 것을 다 포함 수용하는 원융무애한 최고의 대행이 되어, 중생을 향한 끝없는 활동력을 전개하는 것이다. 예로부터 문수의 역할을 ‘집안 일’(家裏事)이라 하고, 보현의 역할을 ‘길에서 하는 일’(途中事)이라 말해 왔다. 문수는 지혜인데, 이 지혜는 내면적인 것 곧 마음의 눈이 뜨진 상태로 눈을 뜨고 있어야 보거나 갈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다. 반면에 보현은 행원으로 걸음을 떼어 걷고 있는 상태이다. 걷고 있는 것은 길 위에서 이루어지는 일이다. 때문에 보현은 멈추지 않고 다니는 동적인 활력 그 자체가 되는 것이다. 이 활력은 언제나 중생들에게 베풀어지는 은혜의 힘이다.

대승 불교는 실천 불교요, 참여 불교다. 우리 사회를 큰 공장에 비유하여 말한다면 공장 안의 기계가 돌아가야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불교가 실천되어야 중생이 제도되는 것이다. 이 실천력이 보현의 발로 표현된다. 대승 불교에 3대 보살 정신이 들어 있는데, 문수의 지혜는 사람 신체의 눈과 같고, 보현의 행원은 발과 같다. 그리고 관세음보살을 자비를 상징하는 보살이라 하는데, 이는 손과 같은 보살이다. 지혜의 눈으로 보고, 행원의 발로 다가가서, 자비의 손으로 어루만져 주는 것이 불교다. 이 세 가지가 항상 삼위일체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보현행원품》의 게송 가운데 아미타불의 극락세계 왕생을 발원하는 구절이 있다. 시식문에도 인용되는 이 구절은 화엄 사상 속에 포함된 정토 사상의 일단이라 할 수 있다. “내가 임종을 맞을 때에 모든 업장의 장애에서 벗으나 아미타부처님을 직접 뵙고 곧바로 극락세계에 가 태어나게 하소서!” 정토 신앙은 인간의 한 생애를 마감하고 죽음에 임할 때 부처님 세계에 태어나기를 희망하는 애틋한 정서를 가지고 있다. 이는 무상한 세상을 초월 영원한 세계를 동경하는 인간 본연의 향수라 할 수 있는 지극한 신앙 정신의 이상을 나타낸 것이다. 보현의 행원에 이러한 정토의 발원이 들어 있는 것은 불국을 지향하는 궁극적인 이상이 자리와 이타를 함께 닦는 대행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대행 속에 죽음에서 바라는 부처님의 세계를 그려 놓고 있다. 종교의 의미를 죽음의 해결에서 찾는 것은, 그것이 바로 영혼의 구원이기 때문이다. 중생이 사후의 안락을 보장받고 싶어 할 때 신앙심은 일어나게 마련이며 이 마음이 일어날 때 기실 인간은 자기의 인생을 바로 보게 되는 것이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6년 5월 제66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