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문>
선남자여, 널리 모두 회향한다는 것은, 처음 부처님께 예배하고 공경하는 것으로부터 중생을 따르는 것까지의 모든 공덕을 온 법계, 허공계, 일체중생에게 남김없이 회향하여, 중생들로 하여금 항상 안락하고 모든 질병의 고통은 없게 하며, 악법을 행하려 할 적에는 이루어지지 않게 하고, 선업을 닦고자 하면 모두 속히 이루어지게 하며, 일체 악취의 문은 닫아버리고 인간과 천상에 열반의 바른 길을 열어 보이며, 만약 모든 중생이 악업을 쌓아 모은 것 때문에 받아야 할 일체 지극히 무서운 고통의 과보를 내가 모두 대신 받아서 저 중생들로 하여금 해탈을 얻게 하여 마침내 위없는 보리를 성취하게 하리라 하는 것이니라.
보살이 이처럼 닦은 바를 회향하기를 허공계가 다하고, 중생계가 다하고, 중생의 업이 다하며, 중생의 번뇌가 다하여도, 나의 이 회향은 다함이 없어 생각마다 계속하여 끊임없이 하여 몸과 말과 뜻으로 하는 일에 조금도 지치거나 싫증을 내지 않느니라.
<풀이>
‘회향’이란 내가 쌓은 선근 공덕을 다른 사람에게 돌려준다는 뜻이다. 범어 ‘파리나마나’(parinamana)를 어원으로 가지고 있는 말로 대승의 정신을 나타내는 중요한 말로 쓰인ㅈ다. ‘회’는 회전(回轉)의 준말이고, ‘향’은 취향(趣向)의 뜻이다. 어디로 갈지 방향을 잡아서 나아간다는 뜻이다. 사실 불교의 모든 수행은 회향에서 참뜻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마치 화폐가 쓰여져야 상행위가 이루어져 돈으로의 역할이 살아나듯이, 내가 닦은 선근과 공덕이 어디엔가 회향되어져야 제 역할이 이루어진다.
《화엄경 십회향품》에 서는 열 가지 회향을 설해 놓았고 보통 상단 축원시 ‘삼처회 향’을 고하기도 한다. 자기의 공덕을 깨달음을 구하는 데 돌리는 것을 ‘보리회향’이라 하고, 또 궁극적으로 깨달음의 진리 그 자체에 돌려져 맞아지도록 하는 것을 ‘실제회향’이라 하며, 그리고 자신의 공덕을 중생들에게 돌려주는 것을 ‘중생회향’이라 한다. 보현행원에서의 회향은 중생회향이다. 내가 아무리 선근과 공덕을 많이 성취하여도 그것이 중생에게 회향되어지지 않으면 상대적 한계성을 가지는 한정된 공덕이 되고 말지만, 회향을 하게 되면 이 유한한 공덕이 무한한 공덕으로 전환되어진다. “보살이 지은 바 모든 공덕을 온 법계 허공계의 일체중생에게 남김없이 회향한다”는 것은 내가 성취한 공덕을 내 것이라는 소유 관념 속에 묶어 두지 않고 중생의 것이라고 내놓는 것이다.
내가 성취한 공덕을 나 홀로 소유하지 않고, 중생 모두에게로 나누어 공유하겠다는 정신이 바로 회향정신이다. 따라서 회향은 단순히 주고받는 수수 관계가 아니다. 인간 행위의 본질적 의미를 밝힌 것이 회향이다. 회향하는 행동이라야 그 행동에 진정한 공덕이 따른다는 뜻이다. 또한 인간 행위의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바로 회향이며, 회향을 통하여 하나의 완전한 행업이 이루어진다. 이 회향에서 인간의 개인주의와 이기주의가 극복된다. 더불어 사는 중생의 삶의 현장을 떠난 개인은 존재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사회를 의지하지 않고는 내가 살 수 없는 것이다. 중생의 은혜 속에 내가 존재하는 것이고, 사회의 은혜 속에 내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그 은혜를 바로 알 때 자연히 나의 모든 것을 회향하여 나의 선근, 나의 공덕이 바로 은혜 그 자체가 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 회향의 정신은 현대 사회에서 볼 때 인간의 의식을 개혁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강자의 독점주의가 판을 치고 있는 현대의 기업생리나 강권을 가진 자의 고압적인 인간 압박은 ‘회향 정신’의 부재에서 비롯되고 있다. 회향의 현대적 의미는 바로 이러한 강권주의와 독점주의를 우리 사회에서 추방하는 것이다. 이기주의가 사라질 때 회향 정신은 발휘된다. 악업은 지은 중생이 그 과보로 무서운 고통을 받을 때 그 고통을 내가 대신 받겠다는, 저 숭고한 뜻을 어찌 거룩하다 하지 않겠는가? ‘나’라는 자기는 결국 개인적인 존재가 아니다. 개체적으로 독립한 개인은 없다. 불교의 연기의 이법이 이미 그것을 가르쳐 왔다. 우리는 모두 일체 세계 일체중생과 더불어 한 몸이며 대립적으로 상쟁할 수 없는 불가분리 관계의 화합적 인연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행원을 실천하는 보살의 마음에는 이기적 자기 우선주의가 있을 수 없다. 만약 어떤 수행을 아무리 많이 하여도 이기주의에 빠져버린다면 행원이 될 수가 없는 것이다. 순수한 자기의 진심, 청정한 본래의 마음, 그 속에는 무한한 회향의 덕이 충만해 있으니 그것을 운전해 살아가는 것이 회향의 인생이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7월 제5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