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성품(性品) III

마음의 구성 – 십식(十識)

십식(十識)

  1. 안식(眼識)…눈
  2. 이식(耳識)…귀
  3. 비식(鼻識)…코
  4. 설식(舌識)…혀
  5. 신식(身識)…몸
  6. 의식(意識)…뜻
  7. 말나식(末那識)…아치(我痴), 아견(我見), 아만(我慢)등의 망식(妄識)
  8. 아뢰야식(阿賴耶識)…장식(臧識)
  9. 암마라식(菴摩羅識)…무구식(無垢識), 백정식(白淨識)
 10. 건율타야식(乾栗陀耶識)…진실심(眞實心), 견실심(堅實心)

그런면, 대체로 우리 인간의 마음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마음 풀이를, 이것도 역시 유식론(唯識論)이라, 불교심리학에서 말씀 하는 것을 들어서 얘기 하겠습니다.

우리 마음을 십식(十識)이라 합니다.

식이라 하는 말도 역시 마음이나 똑같은 뜻입니다.

심(心)이나 식(識)이나 같이 풀이 합니다.

십식(十識)은 무엇인고 하면,

맨 처음 안식(眼識)이라, 우리의 시각(視覺)이고
그 다음 이식(耳識)이라, 청각(聽覺)이고
그 다음 비식(鼻識)이라, 후각(嗅覺)이고
그 다음 설식(舌識)이라, 미각(味覺)이고
그 다음 신식(身識)이라, 촉각(觸覺)이고
그 다음 제6 의식(意識)이라, 

이것은 우리가 느끼고 판단(判斷) 분별(分別)하는 의식입니다.

그런데, 우리 인간은 십식 가운데서 다만,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또는 맛 알고 몸의 촉각 알고 또는 의식으로 분별하는 6식(六識)까지 밖에는 지금 못 씁니다.

인간 이외의 동물은 6식도 못 쓰고 5식까지만 씁니다.

의식 판단은 못 하니까 말입니다.

일반 식물이나 그런 것은 역시 아무 식(識)도 못 씁니다.

그러나 식이, 마음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불경(佛經)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초목무심어생호소승(草木無心語生乎小乘)이라,” 풀이나 나무가 마음이 없다고 하는 말은 소승(小乘)에서 쓰인다는 말입니다.

대승(大乘)에서는 이런 말을 안 쓰는 것입니다.

소승(小乘)은 밀교(密敎)를 모릅니다.

즉 말하자면 소승은 마음의 본질을 못 본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대승은 본질을 봅니다.

따라서 “동물이나 마음이 있지 나무나 풀은 마음이 없다” 이렇게 말하는 것은 소승에서만 나온 말이라는 뜻입니다.

비록, 하나의 나무라 하더라도 다 마음이 있습니다.

다만 그것이 잠재(潛在)해 있을 뿐입니다.

마음의 형상이 없어놔서 잠재해 있을 뿐입니다.

아, 보십시요.

하나의 꽃이라도 똑같은 화분에다 심어 놓고서 하나에는 정성을 드리고, 또 하나에는 정성을 덜 드리면, 실험으로 비교하기 위해서 똑같이 거름도 주고 물을 주더라도, 역시 우리 정성을 드리고 마음을 쏟은 쪽이 더 성장했다는 그런 말이 있지 않습니까,

초목(草木)도 역시 잠재해 있을 뿐이지 마음이 있습니다.

다만 진화(進化)과정 따라서, 일반 동물은 그 가운데 잠재의식(潛在意識)이 발동(發動)되고 개발(開發)되어서 5식을 쓰고, 사람은 더 개발되고 더 진화를 거쳐와서 6식까지 쓰는 것입니다.

그러나, 6식이 모두가 아니라 6식 뿌리에는 또한 제7 말라식(末那識)이란 식(識)이 있습니다.

또 말라식이 모두 다가 아니라 말라식의 뿌리 밑바닥에는 또 아뢰야식(阿賴耶識)이라는 식(識)이 있습니다.

또 아뢰야식이란 식이 우리 마음의 전부가 아니라 그 밑에 저변에는 또한 암마라식(菴摩羅識)이 있습니다.

그것만도 저변(底邊)이 아니라 가장 밑바닥은 또 건율타야식(乾栗陀耶識)이라는 식이 있습니다.
이같이, 우리 인간의 마음에나 또는 동물의 마음에나 어떤것의 마음에나, 풀이나 나무나 또는 하나의 전자(電子)나 어떤 것이나 이와 같이 십식(十識)이 다 있습니다.

우리는 전자(電子)라 하는 것이 무생물(無生物)이라 하지만, 어떤 소립자(素粒子)나 무엇이나 다 식(識)이 있습니다.

다만 그것이 어느만치 개발되었는가 하는 개발의 정도(程度) 차이만 있을 뿐입니다.

그런데, 제10식인 걸율타야식(乾栗陀耶識) 곧 진실심(眞實心) 또는 견실심(堅實心), 이것이 불심(佛心)입니다.

이것이 불성(佛性)이고 불타(佛陀)요 진여(眞如)입니다.

비록 개발만 못 했을 뿐이지 일체 만유의, 존재의 근본은 모두가 다 불심입니다.

또한 이것이 청정자성심(淸淨自性心)입니다.

다만, 그 존재 자체의 업(業) 따라서 개발의 차이만 있을 뿐 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수행을 하면 차근차근 6식에서 7식으로 나가고 그 다음 8식이라, 이렇게 깊이 들어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10식의 끝까지 이르면 그때는 성불이 되는 셈이지요.

그래서, 우리는 이제 제일 밑바닥에 닿는다는 말입니다.

고향은 역시 여기 입니다.

이것이 진실심(眞實心) 견실심(堅實心)이고 이것이 불심(佛心)인 동시에 진여(眞如)이고 여래(如來)라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지금 현재 인간존재가 비록 6식에 머물러 있다 하더라도 이런 것을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일반 중생은 자기 보배를 모릅니다.

금은(金銀) 보화(寶貨)나 보배로 알지 영원의 생명을 가지고 있고 일체 공덕(功德)을 갖추고 있는 일체 만덕장(萬德藏)인, 즉 말하자면 만덕의 곳집인, 영원적인 불심(佛心)은 잘 모릅니다.

이것만 깨달으면 천지가 자기 것인데 말입니다.

이것을 깨닫는 것이 불교(佛敎)인 것입니다.

또한 이것을 깨닫는 지름길이 참선(參禪)입니다.

따라서, 불교를 믿는다 하더라도 일반적인 사람들은 그냥 끄덕끄덕 하나 둘씩 올라갑니다만, 참선은 그냥 비약적으로 불심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여기 열번째 건율타야식 즉, 진실심, 불심을 갖기 위해서 화두(話頭)를 드네, 또는 염불(念佛)을 하네, 그러는 것입니다.

淸華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