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연 스님은 『삼국유사』원효불기(元曉不羈)조에 찬을 붙이기를 ‘무호만가풍(舞壺萬街風)’ 즉, 춤추는 호로병이 일만거리에 바람처럼 걸어다녔다고 표현했습니다. 원효 스님이 호로병을 들고 천촌만락(千村萬落)을 노래하고 다니며 대중을 교화했다는 의미입니다.
이때 원효가 만난 사람들은 다양합니다. 거사·밭가는 노인·가난한 사람·산골의 무지몽매한 사람 등은 말할 것도 없고, 광대·백정·술장사·기생 등 시중잡배들과도 어울렸습니다. 그리하여 길거리의 아이들이나 부인들까지도 모두 원효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의 익살과 웃음, 노래와 춤 등은 삶에 지친 거리의 사람들에게는 신나는 일이었고, 가끔 잠자는 영혼을 흔들어 깨우는 것이었을 겁니다.
원효는 모든 사람들에게 불성이 있음을 믿었고, 비록 지금은 번뇌에 시달리고 있는 사람의 경우도 그 번뇌의 구름이 걷힐 날이 있음을 알았습니다. “나는 그대들을 가볍게 여기지 않는다. 그대들은 모두 다 부처가 될 수 있기에.” 『법화경』의 이 구절을 원효는 「법화경종요」에 인용한 바 있습니다. 골품제 사회에서의 이 같은 발언은 예사로운 것이 아닙니다. 원효는 “날개 작은 새는 산기슭에 의지하여 형을 기르고, 작은 고기는 여울물에 엎드려 본성을 편안히 한다”라고 했습니다. 이처럼 그는 소승적인 범부의 삶 또한 소중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원효는 보경(普敬)이라는 용어를 즐겨 사용했습니다. ‘두루 공경한다’는 것은 자기를 던져 중생을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고, 여기에는 넘쳐나는 보살정신이 보입니다. 원효의 대중 교화는 수순중생(隨順衆生)이었고, 동사섭(同事攝)이었습니다. “보살은 대비방편으로 모든 세간에 들어가 갖가지 모습으로 그들과 더불어 동사하여 성불하도록 교화한다.” 이것은 『유마경』 방편품의 내용입니다.
원효의 교화에는 일정한 틀이 없었다고 합니다. 이 말은 상대방의 근기에 따라 교화했다는 것이고, 갖가지 방편을 동원했다는 의미로도 이해됩니다. 그는 많은 사람을 모으고, 또 흥미를 유발시키고자 했던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 내는 일, 이것은 수순방편(隨順方便)이기도 합니다. 원효는 수순방편을 해석하여 “먼저 갖가지 재물을 보시하여 중생들에게 이익을 주고, 그로 하여금 설하는 것을 듣도록 하고 그 가르침을 받들어 행하게 하는 것”이라고 한 적이 있습니다.
교리를 설하기 전에 먼저 재물을 베풀어주어 실질적인 이익을 주는 것이 대중을 기꺼이 따르게 하는 방편이라는 원효의 이 말을 통해 그가 이론이 아닌 실제적인 방편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열 한 개의 얼굴을 가진 십일면관세음보살상에서 아래의 본면을 진실면이라 하고 위의 부분을 방편면이라 합니다. 그래서 진실과 방편이 쌍을 이룬다고 합니다. 진실만 있으면 대단히 무미건조하고 재미가 없습니다. 그런데 방편만 있는 경우에는 기교만 장황할 뿐 돌아서면 남는게 없습니다. 우리네 삶도 마찬가지입니다. 진실한 얼굴을 가질 때도 있고, 방편의 얼굴을 가질 때도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무애도인은 방편의 얼굴만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방편만 가지고 있으면 그것은 사기입니다. 그러나 진실만 있으면 바보입니다. 그러므로 진실과 방편을 골고루 가져야 합니다.
원효는 대중의 교화를 위해서는 많은 말이 필요하지 않음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둔하거나 재간이 적은 사람은 글이 많고 뜻이 광범하면 어렵다고 생각한다. 이들로 하여금 하나의 게송을 외워 항상 생각하게 한다면 마침내 일체의 불법을 두루 알 수 있다”고 했던 것이다.
부처님 제자 중에서도 주리간특(周利槃特)이라는 스님이 있었는데, 머리가 나빠서 게송 한 구절도 제대로 외우지 못했습니다. 승가에서 쫓겨날 지경이 되자 부처님은 그에게 수건 한 장을 주면서 그것으로 남의 신발을 닦아주라고 일렀습니다. 머리 아프게 게송 같은 걸 외울 필요가 없이 다만 이 수건으로 남들의 신발을 깨끗이 닦는 일에 전념하라고 한 것이죠. 부처님으로부터 남의 신발을 깨끗이 닦는 일에 전념하라는 가르침을 들은 후부터 그는 아무런 잡념 없이 부지런히 신발만을 닦았습니다. 아무런 잡념 없이 정성을 다해 남의 더러운 신발을 닦는 과정에서 주리간특은 마음이 정화되었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합니다.
이와 같이 대중에게는 긴 말이 필요 없습니다. 촌철살인하는 언어나 몇마디 구호만으로도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것이 바로 대중심리입니다. 그러므로 원효가 대중 교화에 어려운 이론이나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하기보다는, 간단한 염불이나 게송, 노래와 춤 등을 즐겨 사용했던 것은 당연합니다. 원효의 노래로 무애가, 미타증성가 등이 있었습니다. 무애가는 현재 가사가 전하지 않는데, 『화엄경』 중의 “일체무애인 일도출생사(一切無碍人 一道出生死)”라는 구절에서 제목을 취했다고 합니다. 미타증성가는 정토사상을 노래한 것으로 그 게송 일부가 지금도 전하고 있습니다.
『삼국유사』에는 원효의 대중교화에 대한 기록이 다음과 같이 전합니다.
우연히 광대들이 놀리는 큰 박을 얻었는데 그 모양이 괴이했다. 원효는 그 모양대로 도구를 만 들어 『화엄경』의 “일체 무애인은 한 길로 생사를 벗어난다”라는 문구에서 따서 이름지어 무애(無碍)라고 하며, 노래를 지어 세상에 퍼뜨렸다. 일찍이 이것을 가지고 천촌만락에서 노래하고 춤추며 교화하고, 음영吟詠하여 돌아왔으므로 가난하고 무지몽매한 무리들까지도 모두 부처의 호를 알게 되었고, 모두 나무(南無)를 칭하게 되었으니, 원효의 법화가 컸던 것이다.
원효의 위대성은 두 축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엄청난 사상의 깊이 교학적으로 큰 학승에 들어갔을 뿐만 아니라 대중에게 가서 쉽게 전달하는 교화를 펼치는 노력을 기울였던 것입니다.
원효의 교화에는 혜공(惠空)이나 대안(大安) 등의 행적과도 비슷한 점이 있습니다. 특히 무애가(無碍歌)와 무애무(無碍舞)의 경우, 무애의 대자유인이기를 희망했던 원효의 생각이 투영되어 있습니다. 비문에는 “근심하고 슬퍼하는 모습의 춤을 추었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이는 무애무에 대한 표현으로 생각됩니다.
이 무애무는 조선전기까지 전해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고려의 이인로(李仁老) 등은 무애무를 구경하고 시를 쓴 적이 있습니다. 이들 시에 의하면, 무애무는 자라처럼 움츠리기도 하고 곱사처럼 등을 굽히기도 하며, 두 소매를 휘젓기도 하고, 다리를 들었다 놓았다 하며 추는 춤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춤의 춤사위에는 여러 상징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기도 했습니다. 두 소매를 흔드는 것은 이장(二障)을 끊어야 한다는 손짓이고, 다리를 세 번 들었다 놓는 것은 삼계(三界)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발짓이었으며, 몸을 움츠린 것은 사람을 따른다는 시늉이고, 그리고 등을 굽히는 것은 모든 것을 다 포섭한다는 표현이었습니다.
온갖 장애들이 우리의 발목을 잡지만,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의 두 가지 장애는 가장 근본적인 장애입니다. 인간을 구속하고 결박하는 두 가지 장애와 그것으로부터의 초극에 이르는 길을 원효는 「이장의(二障義)」를 통해서 규명했습니다. 이장(二障)이라는 것은 두가지 장애, 즉 우리를 얽어매는 근본적인 두 가지 구속을 의미합니다. 하나는 인집(人執)인데 나와 내 것이라는 관념에 집착해서 나를 이롭게 하는 것 탐욕을 부리고 해치는 것에는 분노하는 것, 즉 에고에 집착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극복하는 일은 이론으로만 안되고 수행을 통해서 극복이 가능합니다.
또 인연으로 일어나는 것은 본래 자성이 없는데 있다고 믿는 것, 이것을 법집(法執)이라고 합니다. 달리 말해 이데올로기나 주의주장, 종교에 집착하는 것도 엄청난 구속입니다. 오늘날 우리 주변에 이데올로기에 사로잡힌 사람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검은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고 행복하게 잘 살면 되지 이데올로기가 밥을 먹여줍니까. 이에 사로잡히는 것은 상당히 심각한 문제입니다. 또한 종교도 이 험한 세상을 건너가는 뗏목일 뿐 그 뗏목을 붙잡고 가려니까 온갖 갈등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원효가 온몸으로 뛰어나려고 했던 그 장애를 이론적으로 파고 들어간 것이 「이장의」입니다. 요즘 정신분석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좋아해서 칼 융의 이론과 「이장의」를 연결한 글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상현/동국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