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어집] 제5편 영원한 자유인 01. 선로(宣老)스님

송(宋)나라 때, 시인이며 대문장가로 이름을 날린 곽공보(郭功甫)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역사적으로도 유명한 인물입니다. 이 사람을 잉태할 때 그의 어머니가 이태백의 꿈을 꾸었다고 해서 세상 사람들은 모두 그를 이태백의 후신(後身)이라고 했는데, 뛰어난 천재였다고 합니다.

곽공보의 불교스승은 귀종 선(歸宗宣) 선사인데 임제종의 스님이었습니다. 어느 날 귀종 선 선사가 곽공보에게 편지를 보내기를, 앞으로 6년 동안 곽공보의 집에 와서 지냈으면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곽공보는
스님께서 연세가 많긴 하지만 어째서 자기의 집에서 6년을 지내려 하시는지 알 수 없어 이상하게 생각 하였습니다. 그날 밤이었습니다. 안방에서 잠을 자다가, 문득 부인이 큰 소리로 “아이쿠, 여기는 스님께서
들어오실 곳이 아닙니다.”하고 소리치는 바람에 깨어났습니다. 부인이 꿈에 큰스님께서 자기들이 자고 있는 방에 들어왔다고 하는 말을 듣고 곽공보는 낮에 온 편지 생각이 나서 불을 켜고 부인에게 그 편지를 보여 주었습니다.

이튿날 새벽, 사람을 절에 보내 알아보니 어젯밤에 스님께서 가만히 앉아 돌아가셨다고 했습니다. 편지 내용과 꼭 맞았던 것입니다. 그러고 나서 곽공보의 부인이 사내아이를 낳았습니다. 편지를 보낸 것이나 꿈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귀종 선 선사가 곽공보의 집에 온 것이 분명했습니다. 그래서 이름을 달리 지을 수가 없어, 귀종 선 선사의 ‘선(宣)’자 를 따고, 늙을 ‘노(老)’를 넣어 ‘선로(宣老)’라고 했습니다.

생후 일 년 쯤 되어 아이가 말을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누구를 보든 ‘너’라고 하며 제자 취급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법문을 하는데 스님의 생전과 조금도 다름이 없었습니다. 그러니 아무도 어린애 취급을 할 수가 없어 모두 다 큰스님으로 대접하고 큰절을 올렸습니다. 아이의 엄마, 아버지도 큰절을 하였습니다. 이것이 소문이 났습니다.

당시 임제종의 정맥(正脈)을 이은 유명한 백운 단(白雲端) 선사가 이 소문을 듣고 찾아왔습니다. 세살되는 어린애를 안고 마중을 나갔더니 이 아이가 선사를 보고 “아하, 조카 오네”라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전
생의 항렬로 치면 백운 단 선사가 귀종 선 선사의 조카 상좌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니 “사숙님” 하고 어린아이에게 절을 안 할 수 없었습니다. 백운 단 선사 같은 큰스님이 넙죽 절을 하였던 것입니다. 백
운 단 선사가 “우리가 이별한 지 몇 해나 됐는가?” 하고 물으니, 아이는 “4년 되지. 이 집에서 3년이요, 이 집에 오기 1년 전에 백련장에서 서로 만나 이야기하지 않았던가”라고 대답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렇듯 조금도 틀림없는 사실을 말하자 백운 단 선사는 아주 깊은 법담(法談)을 걸어 보았습니다. 법담을 거니 병에 담긴 물이 쏟아지듯 막힘이 없이 척척 받아 넘기는데, 생전과 조금도 다름이 없었습니다. 그
법담은 장황하여 다 이야기 못하지만 <전등록(傳燈錄)>같은 불교 선종 역사책에 자세히 나옵니다. 이것이 유명한 귀종 선 선사의 전생담입니다.

그후 6년이 지나자 식구들을 모두 불러 놓고는 “본래 네 집에 6년만 있으려 하였으니 이제 난 간다”하고는 가만히 앉아 입적 했습니다. 이처럼 자유자재하게 몸을 바꾸는 것을 격생불망(隔生不忘)이라고 합니
다. 아무리 전생, 후생으로 생을 바꾸어도 절대로 전생의 일을 잊어버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性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