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결(修心訣) – 12.

수심결(修心訣) – 12.

수심결(修心訣)12마음에 산란함 없는 것이 선정
마음이 어리석지 않음이 지혜

卽體之用故 慧不離定 卽用之體故
즉체지용고 혜불리정 즉용지체고
定不離慧 定則慧故 寂而常知
정불리혜 정즉혜고 적이상지
慧則定故 知而常寂如
혜즉정혜 지이상적여
曹溪云 心地無亂自性定
조계운 심지무란자성정
心地無癡自性慧
심지무치자성혜

그래서 본체를 떠나지 않는 작용이므로 지혜는 선정을 떠나지 않았고, 작용을 떠나지 않은 본체이므로 선정은 지혜를 떠나지 않았다. 따라서 선정은 곧 지혜이므로 고요하면서도 항상 아는 것이고, 지혜는 곧 선정이므로 알면서도 항상 고요한 것이다. 그래서 조계스님이’마음에 산란함이 없는 것이 자기 성품의 선정이요, 마음이 어리석지 않음이 자기 성품의 지혜이다.’한 말과 같다.

若悟如是 任運寂知 遮照無二
약오여시 임운적지 차조무이
則是爲頓門箇者 雙修定慧也
즉시위돈문개자 쌍수정혜야
若言先以寂寂 治於緣慮 後以惺惺
약언선이적적 치어연여 후이성성
治於昏住 先後對治 均調昏亂
치어혼주 선후대치 균조혼란
以入於靜者 是爲漸門劣機所行也
이입어정자 시위점문열기소행야
雖云惺寂等持 未免取靜爲行則
수운성적등지 미면취정위행즉
豈爲了事人 不離本寂本知
기위요사인 불리본적본지
任運雙修者也 故曹溪云 自悟修行
임운쌍수자야 고조계운 자오수행
不在於諍 若諍先後 卽是迷人
부재어쟁 약쟁선후 즉시미인

만약 이처럼 깨달아서 고요함과 아는 것에 자유로워서 선정(遮)과 지혜(照)가 둘이 아니게 된다면 이것이 곧 돈문에 들어간 뛰어난 사람이 선정과 지혜를 아울러 닦는 것이 된다. 그러나 만일 고요함으로써 반연하는 생각들을 다스리고 그 다음에 깨어있는 정신으로 혼미함을 다스려야 한다고 하면서, 선후를 따라 다스려 혼미함과 산란함을 가라앉혀 고요함에 들어가는 사람은 점문의 열등한 근기의 수행이다. 그는 비록 깨어있음과 고요함을 평등하게 한다고 하지만 고요함만을 취하는 수행을 면하지 못하니, 어찌 깨달은 사람이 본래의 고요함과 본래의 앎을 떠나지 않고 자유롭게 두 가지를 함께 닦는 것이라 하겠는가. 그러므로 조계스님은 ‘스스로가 깨쳐서 수행하는 것은 따지는 데 있지 않다. 만약 선후를 따지면 그는 미혹된 사람이다.’하였다.

則達人分上 定慧等持之義 不落功用
즉달인분상 정혜등지지의 불락공용
元自無爲 更無特地時節 見色聞聲時
원자무위 갱무특지시절 견색문성시
但伊 着衣喫飯時
단이마 착의끽반시
但伊 屎送尿時 但伊
단이마 아시송뇨시 단이마
對人接話時 但伊 乃至行住坐臥
대인접화시 단이마 내지행주좌와
或語或默 或喜或怒 一切時中一
혹어혹묵 혹희혹노 일체시중일
一如是 似虛舟駕浪 隨高隨下
일여시 사허주가랑 수고수하
如流水轉山 遇曲遇直 而心心無知
여류수전산 우곡우직 이심심무지
今日騰騰任運 明日任運騰騰
금일등등임운 명일임운등등
隨順衆緣 無障無碍
수순중연 무장무애
於善於惡 不斷不受
어선어악 부단불수

그러므로 깨친 사람의 경지에서 선정과 지혜를 평등하게 가진다는 뜻은 애써 노력하는 것도 아니고, 원래 무위라서 어떤 특별한 때도 없다. 즉 빛을 보고 소리를 들을 때에도 그러하고, 옷 입고 밥 먹을 때에도 그러하고, 똥 누고 오줌 눌 때에도 그러하고, 남과 이야기할 때에도 그러하고, 내지 걷거나 서 있거나 앉거나 눕거나 말하거나 침묵하거나, 혹은 기뻐하거나 성내거나, 언제든지 항상 그러하다. 마치 빈배가 물결을 따라 올랐다 내렸다 하고, 흐르는 물이 산을 돌아나갈 때 굽이돌아 가기도 하고 바로 흘러가기도 하듯이 마음마음이 알음알이가 없는 것이다. 그리하여 오늘도 무심하여 자유롭고, 내일도 무심하여 자유로워서 온갖 반연을 따라도 아무런 장애가 없고, 악을 끊거나 선을 닦는다는 생각도 없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