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상은 집착보다 더 큰 에너지
-법륜스님-
▒ 문금강경에 ‘무주상’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그런데 제 견해로는 그 상(相)이라는 것이현실세계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하나의 기준이고에너지이고 추진력이라 볼 수 있는데상(相)을 가지지말고 보시를 하라고 한다면, 과연 이 세상에 어떤 변화나 발전이 있을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그냥 가만히 있으라는 말인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 답 가끔 등산 가십니까? (아주 좋아합니다.) 산을 좋아합니까? (예.)바다는? (회 먹으러 자주 갑니다.) 바다 보면 좋아요? 안 좋아요? (좋습니다.)산에 가서 야 멋있다.
저 바위 멋있다.
소나무 멋있다 하면 내가 기분이 좋아요? 산이 기분이 좋아요? (제가 기분이 좋습니다.)내가 어떤 여자를, 사람을 아주 좋아해요..
그럼 내가 좋아요? 그 여자가 좋아요? (내가 좋죠.)그런데, 내가 아무리 좋아해도 그 여자는 나한테 눈길 한번 안 준다면 어떨까요? (밉죠.)그럼 산에 가서 아무리 좋다고 해도 산이 눈길 한번 줬어요? 안 줬어요? (안 줬죠.)그렇다고 산이 미워진 적이 있어요? 없어요?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길을 가다가 어떤 사람 발에 걸려 넘어지면 성 나요? 안 나요? (성나죠.)돌뿌리에 걸려 넘어지면? (성을 낼 수가 없습니다.)그 때 성을 내면서 그 돌을 사정없이 차버리면 누구 발만 아파요? 내 발만 아프지.배를 타고 가다가 옆에 배랑 부딛혀서 물에 빠졌다면 화 나요? 안 나요? (화 나죠.)그런데 고개를 들어보니 그 배가 빈 배라면..? (화를 낼 수가 없겠죠.)
여기에 두가지 성질이 있습니다.우선, 내가 산을 좋아해도 내가 좋다.
내가 사람을 좋아해도 내가 좋다.내가 누군가를 사랑하면 내가 좋다.
마음의 성질이 그렇다 이 말입니다.그러니까 행복하려면 어떻게 해라? 좋아해라.
사랑해라.
두번째로는, 내가 저 여자를 좋아하는데 그 여자는 날 안 좋아하니까 미워져.미워하면 괴로워요? 안 괴로워요? (괴롭습니다.)그럼 왜 산에겐 미움이 안 일어나고 사람에겐 미움이 일어날까?
(사람이기 때문에 그런 게 아닐까요?)
반드시 사람이기 때문인 것만은 아닙니다.
갓난애기를 한 번 봅시다.
애기는 지가 알아서 하는 게 전혀 없이 부모가 다 해줘야 합니다.남 잘 시간에 똥누고 울고 오줌싸고, 밥상 엎어도 애한테 화 냅니까? 안 냅니까? (안 내죠.)사람은 사람이지만 요런 애한텐 안 그러잖아요? (예.)그런데 애가 너댓살쯤 되면 어쨌든 대소변도 가리고 혼자 알아서 하는 게 많아도그래도 엄마가 애하고 싸웁니까? 안 싸웁니까? (맨날 싸웁니다.) 갓난애한텐 기대하는 게 없으니까 100% 다 해줍니다.
그리고 돌아오는 게 아무 것도 없어도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그런데 좀 자란 애는 한 10쯤 하는데도, 내가 한 20정도 기대하다보니 불평이 생기는 겁니다.내가 산 보고는 기대하는 마음이 없는데, 사람에 대해선 기대하는 마음이 있잖아요.’내가 너를 사랑하니까 너도 나를 사랑해라..’ 이렇게.이 바라는 심리가 바로 미움의 원인입니다.그가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미운 게 아니고, 내가 바라기 때문에 미워지는 겁니다.
그가 나를 사랑하지 않아도, 바라는 마음만 없다면 그가 미워질까요? 아닐까요? (아니죠,)이렇게 내가 바라는 마음만 없으면 괴로움은 안 생깁니다.
그러니까 행복하려면 베풀어야 하고그것이 괴로움으로 안 돌아오게 하려면 바라지를 말아야 합니다.베풀지 않으면, 사랑하지 않으면 기쁨이 없고, 베풀면서 바라면 그 기쁨이 괴로움으로 바뀌게 됩니다.베푸는 걸 보시(布施)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행복하려면 보시를 해라’ 이러는 것이고,베풀면서 바라는 마음이 있으면 그것이 때때로 괴로움으로 돌아오니까 그것마저도 일어나지않게 하기 위해서’바라는 마음 없이 베풀라’ 고 하는 겁니다.이와같이 바라는 마음 없이 베푸는 걸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라고 합니다.
그런데 거사님이 걱정하는 건, 인간의 모든 행위의 동력이 늘 그 어떤 욕망인데..만약에 그 욕망을 다 놓아 버리면 행위동력이 없어지지 않습니까, 하는 거 같습니다.그런데 그 욕망을 한번 놓아 보세요.놓아보면 행위동력이 더 생기는지, 아니면 없어지는지…
내가 어떤 여자가 하도 좋아서 껴안고 뽀뽀를 했는데, 그 여자가 기겁을 하고 성추행이라 비난한다면나는 괴롭히려고 그랬습니까? 아니죠, 나는 사랑해서 그랬을 뿐입니다.’난 널 사랑해서 그랬는데, 당신은 왜 그래?’ 라고 항변한다고 해서 그 문제가 해결되는 게 아닙니다.
아무리 사랑이라 하여도, 상대를 이해하지 않고 일방통행이 되면 상대에게 고통이 됩니다.
폭력이 됩니다.
폭행이 된다 이 말입니다.그래서 자식에 대한 여러분의 사랑이 자식에게는 굉장한 고통이 되고 감옥이 될 수 있습니다.그래서 애들이 집에서 뛰쳐나가려고 하는 겁니다.
감옥에서 탈출하려고..이렇게 이해없는 사랑은 폭력입니다.
가까운 사람사이에 더 큰 고통이 생기는 것입니다.그래서 상대를 이해하는 마음이 필요합니다.상대를 이해하면 누가 편안합니까? (본인이 편안하죠.)이해 못하면 누가 답답해집니까? (본인이요.)
그래서 남을 위해서 이해하라는 게 아닙니다.
남을 위하는 마음을 내는 게 누구한테 좋다? 나한테 좋다.
이겁니다.’그 사람한테 바라지 마라..’ 그러는 게 그 사람 좋으라고 그러는 게 아닙니다.
바라는 마음을 버리면 누구한테 좋다? 나에게 좋다.
이말입니다.
그런 것이니까 한번 해 보세요..
거사님이 만약 집착을 모두 내려놓으면 정말 무기력해지는지, 아니면 오히려 더 생기가 도는지.집착을 하면 큰 파워가 나오는 건 맞습니다.그러나 그 파워는 파괴적인 파워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집착을 내려놓아 버리면 ‘나’를 중심으로 세상을 보지 않습니다.관여를 안 하는 게 그 사람한테 좋으면 관여 안 하고,관여를 하는 게 그 사람한테 좋으면 관여를 합니다.그렇기 때문에 이것은 파괴력으로 작용하는 게 아니라 부드러우면서도 항상 이익되게만 작용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