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의 모든 일은 인연소치
-지안스님-
사람이 살아가는 이 세상의 모든 일을 인연소치라고 하는 것은 불교의 교리를 설명하는
가장 일반적인 이야기입니다.
“인연에 의해서 생겨나고
인연에 의해서 없어진다”는 연기의 공식은 마치 1 더하기 1은 2고 2빼기 1은 1이라는 산수의 기본
이치와 같은 말입니다 모든 존재가 인연에 의해서 존재한다는 것이므로 인연을 빼면 이 세상은 없는 것입니다.
인연 때문에 우리는 사는 것이고 인연 때문에 공동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이 인연이 시공을 장악합니다.
시간과 공간이 교직되면서 인연의 繡가 놓아지고 그것을 바탕으로 만상의 형성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시작에서 보면 인연은 언제나 창조의 역할을 합니다.
보이지 않던 것을 보이게 하고
들리지 않던 것을 들리게 합니다.
새싹이 돋아나 잎을 피우고 꽃을 피우는 것처럼 인연은 자라서 성숙하는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꽃이 시드는 과정도 있지만 이는 차라리 인연의 퇴보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인연은 생성의 의미요 창조의 의미이므로 인연이 있는 것은 아름답고 축복 받는 것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을
후회할 수는 없습니다.
설사 내가 아무리 불우한 환경에 처해 있고 절망과 좌절을 맛보고 있다 하더라도
내가 태어난 것은 아름답고 축복 받는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결코 내 자신의 출생이 원인
무효가 될 수는 도저히 없는 것입니다.
때문에 우리는 자신을 버리고
죽이는 일을 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태어나자마자 왜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고 외쳤는지
그 뜻을 바로 알아야 합니다.
하늘 위나 하늘 아래서 내가 홀로
가장 높다는 것은 모든 생명의 존재라면 누구나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말입니다.
이 세상에는 아무리 불우하고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다 하더라도 내가 아니면 안 되는,
내가 꼭 해야 하는 일이 있습니다.
내 목숨을 바치면서 해야 할 그 일을 찾을 때 나의 인격은 하늘보다 높아지는 것입니다 이것은 바로 육신의 생사를
초월해 있는 절대 생명으로 나의 참 생명 인 것입니다.
이것을 법신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사실 우리는 법신을 위해서 살아야 하는데도 그릇된 집착으로 육신만을 위하는 것이
인생의 전부라고 생각하는 어리석은 삶을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육신을 위하는 것은 법신을 위해서입니다.
금생의 일회적인 한 생은 내가 수용해야 하는 많은 생 가운데 하나에 불과합니다.
마치 오늘 하루가 과거에서 미래로 이어지는 무수한 날 가운데 하나인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삼생의 인연을 동시에 가지고 삽니다.
과거, 현재, 미래를 동시에 사는 것입니다.
오늘을 살면서 어제와 내일을 동시에
함께 살고 있는 것입니다.
삼생의 인연을 평등하게 관찰하고
살라는 부처님의 말씀도 있습니다.
“내일은 내일의 해가 떠오른다”는 말처럼 끝나지 않는 영원한 미래를 향해서 내 마음속에 모든 시간을 담아 놓고 살아가는 것입니다.
희망은 곧 원력입니다.
이상을 동경하는 아름다운 마음에 보현보살처럼 큰 행원을 싣고 살아야 합니다.
어느 수도원에 사는 사람의 소원이
평생을 화장실 청소를 하며 사는 것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평생을 화장실 청소하는 청소부가
되겠다는 소원이나 또는 대통령이 되겠다는 소원 중에 어느 것이
좋은 소원이고 어느 것이 나쁜
소원이다 하는 우열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육지에서 먼 낙도에는 아직도
비행기나 기차는 고사하고 버스도 타보지 못하고 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를 깊이 명심하고 살아야 합니다.
그것은 오늘과 내일이 인과법으로 연결되어 무수한 인연이 그 속에서 맺어진다는 점입니다.
현재의 인연 속에 과거의 인연이 들어 있고 미래의 인연이 들어 있다는 것, 이것을 생각하고 스스로를 타이르면서
살아가야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