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唐代)에 우두종(牛頭宗)의 8대손에 해당하는 도림(道林)스님(741-824)이라는 덕망 높은 스님이 항주의 진망산에 계셨습니다. 이 스님께서는 항상 산중의 나무가지에 앉아서 좌선을 하고 있어서 마치 새의 둥지처럼 보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조과(鳥窠)선사 또는 작소(鵲巢)선사라고들 했습니다.
어느날 조과선사가 장송의 긴 가지 위에서 좌선하고 있을 때 그 당시의 군수였던 백락천(白樂天)이가 진망산에 큰스님이 계신다는 소문을 듣고 찾아 왔습니다.
그 암자에 당도한 백낙천은 까마득한 소나무 꼭대기에 앉아 있는 도림스님을 보고, 저도 모르게 소리쳤습니다.
“스님, 스님, 너무 위험합니다. 빨리 내려오십시오.”
선사가 아래를 내려다 보며, “당신이 더욱 위험하오”하고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듣고 있던 백락천이 어이 없어하면서, “나는 위험한 곳에 있지 않습니다. 이렇게 안전한 땅을 밟고 있는데 도대체 무엇이 위험하단 말입니까?”하고 대꾸했습니다.
선사는 그가 학문과 벼슬에 자만이 대단하다는 것을 알고 이 기회에 교만한 마음을 깨우쳐주기 위하여 곧바로 쏘아 부쳤습니다.
“티끌 같은 세상지식으로 교만한 마음만 늘어 번뇌가 끝이 없고 탐욕의 불길이 쉬지 않으니 어찌 위험하지 않겠소?”
백락천은 자기의 마음을 훤하게 꿰뚫어 보는 듯한 눈매와 자기가 자사라는 벼슬에 있음을 알면서도 당당하게 자기 할 말을 다하는 조과선사의 기개에 눌려 애초에 선사를 시험하려했던 불손한 태도를 바꿔 공손한 자세로 가르침을 청했습니다.
“스님, 무엇이 부처님의 가르침입니까?”
선사가 대답하시되, “모든 악한 일을 행하지 말고(諸惡莫作), 모든 선한 일을 받들어 행하는 것이니라(衆善奉行).”
대단한 가르침을 기대했던 백락천은 이와 같은 대답에,
“그거야 삼척동자라도 다 아는 사실이 아닙니까”하고 신통치 않다는 듯이 말을 했습니다.
선사는 침착한 어조로 다시 말했습니다.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지만 팔십 먹은 노인도 행하기는 어려운 일이네.”
이 말을 들은 백락천은 비로소 깨달은 바가 있었습니다. 우리들은 이 선문답 속에서 도림선사의 철저한 실천정신을 느낄 수 있습니다. 불교의 본질은 머리로써 이해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행하는데 있습니다. 알고 있는 것만으로는 아무 쓸모가 없습니다. 그 가르침을 실천하여 인격화되지 않으면 아만과 번뇌만이 더할 뿐 진리의 길에는 아무런 도움도 되지 못합니다. 따라서 불법의 정신을 자기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생활화하고 인격화하여 지금 여기에서 일상생활의 일을 통해 실천해야 할 것입니다.
당대의 문장가며 정치인인 백락천이 오늘날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추앙받는 것도 도림선사의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정신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인해스님 글. 월간반야 2004년 12월 제4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