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경전에 오탁악세(五濁惡世)라는 말이 자주 나온다. 사바세계의 혼탁한 모습을 다섯 가지로 설명하는 말이다. 먼저 겁탁(劫濁)은 기근이나 질병 또는 전쟁 등이 일어나 재앙이 그치지 않는 시대의 어려움을 두고 하는 말이다. 천재지변이나 인재로 일어나는 각종 사고도 겁탁에 속한다. 견탁(見濁)은 말세가 되면 중생들이 그릇된 사견을 많이 가져 사상이 혼탁하여 세상을 흐리고 어지럽게 하는 것을 말하고, 번뇌탁(煩惱濁)은 번뇌에 의해 혼탁한 정신으로 몸과 마음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불안하게 흔들리는 것을 말한다. 중생탁(衆生濁)은 중생들이 도덕적으로 타락하여 인과를 믿지 않고 악업을 서슴없이 자행하면서 그 과보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 명탁(命濁)은 목숨의 위협이 많아져 천수를 누리지 못하고 비명횡사(非命橫死) 하는 것 등을 두고 한 말이다.
이 오탁이 만연한 세상을 예토(穢土)라 하고 이 예토에 부처님이 출현하여 예토를 정토(淨土)로 바꾸어 주는 것이 부처님의 일이라 하였다. 이리하여 부처님의 일, 불사(佛事)를 하면 부처님의 세계가 이루어져 사바세계의 괴로움이 극복된다고 한다. 물론 이것은 불교의 종교적 이상을 제시한 고답적인 이야기로 볼 수 있지만 인간이 사는 삶의 본질적 의미를 생각하게 하는 하나의 메시지가 들어 있는 말이다.
간혹 ‘우리는 세상이 왜 이리 힘들고 고통스럽고 불안하게 느껴지는가’하고 생각해 볼 때가 있다. 이때 경전에서 설한대로 오탁악세니까 그렇다고 치부해 두기는 너무 안타깝고 아쉬운 생각이 든다. 우리들 마음속에 간절하게 바라는 것은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이 평화롭고 자유로운 아름다운 세상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모든 재앙이 사라지고 생활의 위협이 없는 안락하고 즐거운 세상, 곧 극락의 세계가 이루어졌으면 하는 것임에도 인간의 행위에서 일어나는 업의 장애가 있어 스스로가 질곡의 구렁텅이로 빠져 들어가는 모순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 하고 살펴 볼 때 불가항력적인 외부의 조건 때문이 아니라 인간 상호의 마음 사이에 문제가 걸려 있음을 알게 된다. 누군가의 마음에서 일어난 한 생각이 수많은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상반된 주장이 서로 굽히지 않고 대립하여 힘겨루기를 하는 통에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꼴이 되어 제 3자가 어떤 절망을 톡톡히 맛보게 되는 경우도 있다.
사람의 처신이 자기 인격을 위배하고 일어나서는 안 되는 것임에도 내 행동이 내 인격을 위배하고 일어나 주위 사람들의 원성을 사는 수도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모순과 부조리, 이것들은 모두 자기 인격의 본체인 마음에 이상이 생겨서이다. 자기의 참 마음을 모르는 미혹이 양심부재현상을 낳고 깨닫지 못한 어리석은 행동이 무면허 운전사의 난폭운전처럼 되어버리기 때문에 남을 해치는 위협이 그치지 않는 것이다.
사람의 인격에는 스스로의 양심이 부여하는 도덕적 자격증이 있어야 한다. 이 자격증이 갖춰지지 않을 때 그 사람은 무면허 운전자가 되어거나 음주 운전자가 되어버린다. 가장 위험한 사람이 되어 불안을 야기하는 장본인이 될 때 내 존재의 가치는 빙점이하로 내려가 마이너스 인생이 되고 마는 것이다. 내가 남에게 해로운 존재가 된다는 것 그것보다 더 큰 비극은 이 세상에 없다.
천하를 주유하면서 유세를 다니던 공자가 구곡주(九曲珠)라는 구슬을 가지고 있었다. 구슬 속에 아홉 구비의 구멍이 뚫어진 구슬이라 하여 구곡주라 불렀다. 공자는 항상 이 구슬에 어떻게 하면 실을 꿰어 관통하게 할 수 있을까 하고 고심하고 있었다. 아무리 생각해도 아홉 구비의 구멍으로 실을 꿴다는 것은 불가능해 보였다.
어느 날 뽕밭에서 뽕잎을 따고 있는 여인을 만나게 되었다. 공자는 혹시 이 여인이 구슬에 실을 꿰게 할 수 있는 아이디어라도 가지고 있을까 하여 물어 보았다.
“이 구슬에 아홉 구비의 구멍이 있는데 어떻게 하면 실을 꿸 수 있을까요?”
그러자 그 여인은 이렇게 말을 하였다. “조용히 생각해 보시오.”
어떤 비법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대성인 공자에게 필부인 뽕따는 여인이 조용히 생각해 보라고 충고를 하는 것이었다. 그 말에 어떤 충격을 받은 공자는 심사숙고하다가 마침 개미 한 마리를 발견했다. 그때 공자는 “옳다!”하고 탄성을 지르며 구슬구멍 한쪽에 꿀을 넣어 두고 개미허리에 실을 매어 반대쪽 구멍으로 개미를 들어가게 했더니, 드디어 구곡주가 실이 꿰져 관통이 되었다는 것이다.
내 인생의 문제에 대한 답은 조용히 생각하면 나온다. 내 마음속 진심에게 물어보면 언제나 답을 준다. 왜냐하면 내 마음 안에는 이미 그 답이 본래부터 준비되어 있었고 또한 문제 이전에 답이 먼저 있었던 것이다. 다만 우리는 자기 질문을 거짓 마음의 망심에게 묻지 말고 항상 진심에게 물어야 한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5년 10월 제 5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