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을 짓는 농사

인생살이를 농사에 비유한 이야기가 불경 속에 가끔 있다. 『화엄경』이나 『범망경』 등 대승경전에 사람의 마음을 땅에 비유해 심지(心地)라고 한 말이 있으며 이 마음 땅에 좋은 종자를 심어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 또 심전경작(心田耕作)이라는 고사성어처럼 만들어진 말도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 생활 자체가 분명히 농사짓는 일임에 틀림이 없다. 좋은 씨앗을 뿌리고 거름을 주어 재배관리를 잘 해야만 알찬 수확을 거둬들이는 게 농사를 잘 짓는 것이다. 수해나 한해의 피해를 입어서도 안 되며 가뭄의 피해가 있어도 농사는 잘 되지 않는다.

부모가 자식을 잘 키우는 것을 ‘자식농사 잘 짓는다’는 시쳇말이 있는 것처럼 인생사 전부가 농사로 비유되는 것은 사람의 일이 노력에 따라 결과가 나타난다는 인과의 이치를 일깨워 주는 말이다. 또한 농사는 사람의 노력과 함께 기후나 일기의 조건이 농사에 큰 영향을 미친다. 비가 적당이 와야 하고 기온이나 일조량 등이 알맞아야 한다. 다시 말해 이상기온이 되면 농작물에 제일 먼저 피해가 온다.

일기나 기후의 조건은 사람의 의지대로 맞아지는 것이 아니다. 농사가 잘 될 수 있도록 기후나 일기가 순조로운 것을 옛날에는 시절인연이 좋다 하거나 하늘이 복을 주어 천운이 좋았다고 표현해 왔다. 이른바 운(運)이라는 것을 사람이 잘 타야 한다 하면서 운명론이 아니면서도 운명론적인 이야기를 종종 해 왔다는 것이다.

도대체 ‘운이 좋다’라고 말할 때의 운이란 것이 무엇인가? 불교에서는 이를 복력과 연관 지어 설명한다. 운이란 자기가 지어놓은 과거의 복력에 의해 좋은 인연을 맞이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운이 좋다는 것은 숙생에 선근이 심어진 일이 있어 그것에 의한 좋은 과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니까 운이 좋다거나 운이 좋지 않다고 하는 것은 과거에 내가 한 행위와 직간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말이다. 사람에게 행운이 오는 것은 우연이 아니라 자신의 숙업이 좋은 탓이며, 과거의 원인에 대한 현재의 결과는 언제나 인과의 일치성을 띠고 있다고 말한다. 하도 세상이 각박해지니까 사람에 대한 평을 이렇게 하는 수가 있다. ‘누가 좋은 사람이냐?’ 물어 놓고 착한 사람, 마음씨 고운 사람을 당연히 좋은 사람이라 해야 할 텐데 이 도덕적 인품을 아랑곳하지 않고 ‘운이 좋은 사람이 좋은 사람이다’라는 말이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운을 좋게 가꾸는 방법을 복을 짓는 일이라고 한다. 복을 짓는다는 것은 남을 위한 선행을 베푼다는 뜻이지만 인생의 참뜻을 알려는 노력과 진리에 대한 소신을 가지고 자기가 수용하는 복을 남에게 나누어 주는 일이 된다.

중국의 고사에 나오는 이런 설화가 있다.

어느 선비가 글공부를 하여 과거에 응시를 했다. 그러나 번번이 실패를 해 7번을 낙방했다. 이 선비는 자기의 불운을 탄식하며 깊은 절망에 빠져버렸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건너 마을에 사는 제자와 다름없는 후배가 있었는데, 이 후배는 책을 보다 모르는 것이 있을 때 이 선비를 찾아와 가르침을 받아 배워가곤 했는데, 이 후배는 합격을 한 것이었다.

어느 날 이 선비가 낙심한 채 주막에 가 술을 실컷 마시고 집으로 돌아와 홧김에 보던 책을 찢고 또 마당에다 책들을 팽개쳐버렸다. 7번이나 낙방한 주제에 더 이상 책을 보아 무엇 하느냐 하고 자조와 자탄으로 술김에 저지른 행동이었다. 그러다가 술에 취한 채 마루에 누워 잠이 들고 말았다. 비몽사몽간 꿈이 꾸였다.

꿈에 웬 신인이 나타나 이 선비에게 호통을 치며, 일어나 방안으로 들어오라고 하는 것이었다. 선비는 기가 죽어 신인의 명대로 방에 들어가 신인 앞에 꿇어앉았다. 신인의 뒤에 병풍이 둘리어져 있고 신인이 아무개를 부르자, 우람한 장정 두 사람이 나오는 것이었다. 신인은 이 장정 두 사람을 좌우에 앉혀 놓고 상에 바치고 온 술병에서 술을 부어 두 장정에게 번갈아 한 잔씩 마시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이 선비에게 잘 보아 두라고 다시 명을 내리는 것이었다. 선비는 두 장정이 술 마시는 광경을 지켜보았다. 왼쪽에 앉아 술을 마신 장정은 3잔을 받아먹고 까무러쳐 바닥에 쓰러져버렸다. 그런데 오른 쪽에 앉아 술을 받아 마신 장정은 왼쪽 장정보다 많은 7잔을 받아 마시고 나서 역시 까무러쳐 쓰러지는 것을 보았다.

이때 신인이 다시 노한 음성으로 이 선비를 꾸짖었다. “보았느냐?” 두 장정이 받아 먹은 잔 수를 물으며 신인은 이 선비가 과거세에 지어놓은 복이 부족해 과거에 떨어진 것을 모르고 불운만 한탄하면서 성현의 책을 찢고 마당에 내팽개쳤다고 호되게 꾸짖는 것이었다. 3잔과 7잔의 수치는 자기의 재주와 복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잠에서 깨어난 선비는 정신이 번쩍 들었다. 자기의 불운이 복 부족이라고 다시 생각하고 선비는 그때부터 복 짓는 일을 하기 시작했다. 마을을 다니면서 길흉사가 있는 집을 찾아가 온갖 도와주는 일들을 했다. 사람들을 공경히 대하고 말 한마디라도 친절하게 해 주었다. 책은 틈틈이 조금씩 보면서 이런 일을 3년을 계속했다. 남을 도와주는 일을 헌신적으로 하고난 선비는 마지막으로 다시 과거에 응시해 드디어 합격을 하였다는 것이다.

사람의 일이란 능력대로 가는 것이긴 하지만 그 능력의 배후에는 복력(福力)이 숨어 있으며 능력과 복력이 잘 어울려져야 한다는 뜻을 말해주는 설화다.

지안스님 글. 월간반야 2006년 8월 제69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