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리 구하지 않는 광신이 곧 우상숭배
-수불스님-
신심은 절에만 다닌다고 해서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진정한 신심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라서 불법을 깨닫고 부처님에게 가까이 가는 것입니다.
짧은 시간에도 부처님께 가까이 갈 수가 있는가 하면 오랜 시간이 흘러도 부처님 가까이 갈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신심이라는 것은 절에 일찍 와서 오래 믿었다고 해서 커지는 것이 아닙니다.
공부의 눈이 넓고 깊어져서 지혜로운 눈으로 거듭났느냐가 중요합니다.
어리석음을 타파하고 지혜로운 모습으로 거듭났을 때 신심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신심을 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수행을 하지 않고서는 깊은 신심을 내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그런 수행을 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부처님께서 어떤 말씀을 하셨는지를 배우고 알아야 하며 특히 소의경전인 금강경을 좀 더 정밀하게 연구해야 합니다.
우선 우리는 종교를 왜 믿어야하는지, 어떻게 믿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야 합니다.
물론 많은 불자님들이 종교, 특히 불교를 믿고 있지만 불교가 어떤 것인지 잘 알지 못하고 믿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특히 부처님 가르침은 이런 것이라고 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지금까지 많았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올바로 전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많이 배우고 이해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왜 수행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됩니다.
특히 지금 이 시대 내가 부처님께 보다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서는 어떤 수행법이 가장 좋은가도 알 수 있게 됩니다.
그것을 알고 수행한다면 그 결과는 더욱 좋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종교를 믿으면 이익이 발생해야 합니다.
이익이 없는 종교를 믿는다면 종교를 위한 종교생활을 하는 어리석음을 범하게 됩니다.
그 결과는 광신자, 맹신자입니다.
그것이 우상숭배입니다.
정신적 우상이나 물질적 우상을 숭배하는 것입니다.
그런 어리석음을 타파하고 우상이 아닌 본질을 추구하는, 그런 깨달음의 눈을 얻기 위해 진정한 부처님 가르침을 바르게 추구하고 있는지를 우리 스스로 점검해야 합니다.
종교를 믿지 않고서 진리를 깨닫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종교를 선택합니다.
그런데 어떤 종교를 선택해야 진리에 가장 빠르게 정확하게 다가갈 수 있는지를 먼저 알고 믿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믿다보니 아는 경우는 있어도 이런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내 정신적 위치가 지금 어디에 있고 내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야 나와 내 주변이 행복해지는지를 생각하고 믿어야지 그렇지 않는다면 시간만 낭비하고 어리석어질 뿐입니다.
종교에도 상식과 지식은 통합니다.
그러나 종교는 상식이 아닌 지혜라고 지칭되는 또 다른 차원을 필요로합니다.
그것은 배워서 이해되는 것이 아니고 깨달아서 증득해야합니다.
어떤 체험을 요구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가치기준과 종교의 가치기준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내가 지혜의 눈을 떴을 때 그 사이의 차이는 좁혀집니다.
상식적으로는 밝음이 어둠을 비추어 어둠을 깨뜨리는 것이 지혜라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과학적인, 현상학적인 차원에서의 지혜입니다.
실질적인 지혜라는 것은 밝고 어둠을 관계하지 않고 동시에 비춰서 함께 밝히는 힘을 말합니다.
밝음과 어둠을 함께 보는 것입니다.
우리가 인식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종교적 인식과 사회적 인식을 동시에 눈뜰 때 힘이 더 커집니다.
비유하자면 일반적으로는 깨끗한 것만을 청정이라고 하지만 불교에서는 불구부정 즉,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은 것을 청정이라 합니다.
더러움과 깨끗함을 모두 포용하지만 그것에 물들지 않는 순수함이 청정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람들은 상대적인 깨끗함만을 청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인 윤리와 종교적인 윤리 개념을 혼돈하는 데에서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반윤리 개념에서 선은 진리이며 악은 진리가 아닙니다.
정의는 진리이고 불의는 진리가 아닙니다.
깨끗한 것은 진리이고 더러운 것은 진리가 아닙니다.
이처럼 모든 것을 상대적인 개념으로 쪼개 놓습니다.
그것이 맞다고 생각하며 살고 있지만 종교상식에서는 그러한 관점에 모순이 있다고 봅니다.
종교에서는 선도 진리고 악도 진리입니다.
전체인 진리 속에는 선도 있고 악도 있고 또 다른 것도 있습니다.
그 어떤 것도 진리 밖에 있지 않습니다.
그것이 불교의 진리입니다.
진리의 본질은 선악을 포용하되 선악에 물들지 않습니다.
그 물들지 않는 순수함이 영원한 것이고 청정한 것입니다.
우리는 종교를 어떤 식으로 믿고 이해해야 올바로 된 가치관을 갖고 삶의 질을 높여갈 수 있는지에 대해 알고 믿어야 합니다.
제대로 된 종교 인식 없이 유사종교를 말한다든지 허망한데 빠지게 되면 그것은 또 다른 고의 원인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에는 길이 있습니다.
그런 부처님 가르침을 제대로 인식할 때에 우리는 새로운 눈을 뜰 수 있는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너무 오랜 세월동안 이 귀한 보물을 처박아 놨습니다.
사찰을 20년 30년 다니면서도 불교의 참된 가르침을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조선시대 유학을 통치이념으로 삼다보니 불교를 억압했고 일제시대의 억압과 해방 이후의 극심한 이념 갈등이 전쟁으로까지 이어지면서 종교다운 종교를 믿지도 실천하지도 못한 채 기복신앙의 습관이 불교 속에 남게 됐습니다.
불교를 믿는 형식은 취했지만 불교를 아는 사람도, 배우려는 사람도 많지 않았습니다.
그런 역사 속에서도 오늘날 불교가 이만큼이나마 자리를 잡은 것은 기적에 가깝습니다.
이것은 신라시대부터 이어져온 우리 정신의 뿌리 속에 불교가 녹아있고 어려움 속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불교를 번역하고 가르치는 등 불교를 알리는데 큰 뜻을 두고 알고 모르게 노력해 온 결과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고 불교는 점점 더 좋아질 것입니다.
부처님의 뜻이 어떤 것인지를 알게 되면 종단이 어떤 처지에 처하든, 스님들의 모습이 어떻게 왜곡되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부처님께서는 법등명 자등명, 사람에 의지하지 말고 법에 의지하고 가르침에 의지하라고 하셨습니다.
지금도 우리 종단의 전통 안에는 부처님의 올바른 가르침을 전하고 배울 수 있는 근거가 모두 갖춰져 있습니다.
삼귀의를 통해 정체성을 확립하고 계를 받아 지니며 종단의 소의경전인 금강경을 배웁니다.
더 나아가 육조단경과 조사어록을 배우고 가르침을 배울 수 있는 자리에 나아가 함께 공부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육바라밀을 실천하며 사홍서원합니다.
이러한 체계가 종단의 전통 안에 확립돼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스스로가 노력을 해야 합니다.
기도도 하고 법회도 동참하고 교리적인 가르침도 배우고 사회봉사도 하면서 진정한 부처님 가르침을 안팎으로 느낄 수 있는 삶을 살아갈 때 진정한 불자로 거듭납니다.
이것이 곧 수행자의 삶이며 이런 과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삶으로 전환돼 가는 것입니다.
수행하고 싶다는 마음만 급해서 덤비다 보면 순식간에 끓었다가 확 식어버리는 냄비가 되고 맙니다.
은근히 끓고 끓어 넘치고 난 후에는 끓는 모습조차 보이지 않아야 합니다.
푹 익으면 움직임이 적습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은 분주합니다.
자기소리를 막 해대고 자기주장을 앞세우고 그러다 보니 분란이 옵니다.
한걸음 물러나면서도 동참하며 변화를 수용할 때 진정한 부처님의 가르침이 안착하게 되고 우리는 새로워집니다.
질이 높아진다면 신도가 줄어들어도 좋습니다.
언젠가는 양도 늘어나겠지요.
그런데 양만 늘이기 위해 애쓴다면 질은 낮아집니다.
종교는 양이 아니고 질입니다.
각자 각자가 상을 끊어야 합니다.
그런 상을 끊는 공부는 수행을 통해 완성됩니다.
교리나 교학을 통해 믿음을 굳건히 하고 수행을 통해 그 믿음을 완성시키며 안팎을 하나로 원만하게 이끌어내는 그런 참된 삶을 살아갈 때에 우리불교의 희망은 커집니다.
그렇지 못하다면 불교에는 내일이 없습니다.
아무리 좋은 것을 갖고 있더라도 올바로 행하고 전하지 못하면 소용이 없습니다.
어리석은 것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더 잘 전파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더 큰 믿음을 내기 위해서는 배워야 합니다.
그 다음 스스로 수행해야합니다.
많은 선지식들의 가르침을 따라서 그 배움을 성취할 때 믿음은 더욱 커지고 그것이 공덕이 되고 원력이 됩니다.
이런 복과 지혜를 아울러 닦는 훌륭한 불자님들이 되기를 바라면서 법문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