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각스님─지혜로운 신앙생활

지혜로운 신앙생활

-보각스님-

잘못인 줄 알면 바꿀 줄 아는 것이 지혜 있고 용기 있는 행동입니다.

습(習)에 젖어 있는 그대로 해가며 바꾸지 아니하면 오직 어리석음만 지을 뿐입니다.

도토리 나무 아래 사자 한 마리가 누워서 낮잠을 잡니다.

그런데 도토리 나무에서 도토리가 떨어져 누워 있는 사자 콧잔등을 때렸습니다.

사자는 천지개벽으로 착각하고 깜짝 놀랐습니다.

좌우를 돌아보니 변한것은 하나 없는데 자기 머리맡에 도토리 하나가 떨어져 있는 것입니다.

생각하니 화가 나 도토리 나무를 가만두지 않겠다고 다짐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도토리 나무 아래 있었던 자기에게 탓이 있는데 그것을 모르고 어리석은 판단을 한 것입니다.

도토리 나무에게 맞아서 잠이 깼으니 도토리 나무에게 이놈 두고 보자 하고 악심을 품고 있는데, 그때 마침 목수 한 사람이 수레를 만들기 위해서 톱을 들고 산에 올라오자 목수한테 사자가 수레를 만드는 재목으로는 도토리 나무가 최고라고 말했습니다.

그 말을 듣고 목수가 도토리 나무를 톱을 들고 베기 시작하였습니다.

도토리 나무가 생각하니까 사자가 내 밑에 와서 자다가 괜히 날 죽이는 것으로 생각하며 원한이 쌓이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목수에게 수레바퀴를 묶는 가죽으로는 사자 가죽이 제일이라고 말하죠.

그러자 목수가 사자를 죽여서 그 가죽으로 수레바퀴를 묶는 가죽을 만들었습니다.

어리석음과 욕심으로 결국 죽고야 말았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원한은 원한으로 그치지 않나니 원한은 참음으로 그치나니 이것은 영원한 진리가 되느니라”라는 말씀을 깊이 새겨야 할 것입니다.

지금 테러전쟁으로 인해서 서로 원한과 증오가 오가지만, 원한을 가지고 싸움을 일으키면 그 원한은 또 다른 원한을 일으키게 됩니다.

오직 인욕으로서 그 원한을 그치지 아니하면 중생세계는 끝없는 원망과 한만이 유산으로 물려지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크나큰 마음으로 포용하고 자기 원한을 잡는 것으로 극복해야만 우리가 사는 세상이 화합되고 평화로운 세상을 이루는 근본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지혜를 깨닫는 4가지 방법이 무엇입니까? 첫째는 신심으로 믿을 것이요, 둘째는 배워서 해석할 것이요, 셋째는 실천에 옳길 것이요, 그리고 나서 스스로 깨달음에 이르러야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자비라 일컫는데 그 자비를 실천에 옮기지 아니하면 무자비하게 되어진다는 것입니다.

악을 짓지 않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선을 꾸준히 행해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엄경에서 부처님은 “누가 제일 부자인가? 만족을 하는 것이 제일가는 부자이며 욕심을 버리는 자가 가장 행복한 자다”라고 하였습니다.

또 옛 조사경에 보면 “내가 만약 욕심으로 구하는 것이 있다면 고통이 따를 것이고 욕심으로 구하지 않으면 모든게 즐겁고 행복하다”라고 하였습니다.

서산대사께서 선가귀감에서 이르시길 “천 칸의 집에 살아도 잠을 자는 데에는 방 한 칸이면 족하고 만석의 재산을 지닌 자도 하루에 쌀 한 말이면 양식이 족하느니라”라고 하였습니다.

원력은 크게 가지되 욕심은 적게 가지라는 말입니다.

원력이란 내가 애써 노력하여 다른 사람에게 큰 도움이 되고 힘이 되는 게 원력이라 말할수 있지만 욕심이란 나나 내 가족만을 위해서 애쓰는 것을 욕심이라 할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나를 구하는 이기적인 맘은 버려야 하지만 나를 버리고 남을 위해 사는 이타적인 맘은 많이 가져야 할 것입니다.

원력도 크게 가지고 욕심을 줄여야 한다는 말입니다.

욕심이 적은 사람은 구함도 적고 욕심도 적어서 고통과 번민이 따로 없으므로 적은 욕심은 선한 공덕을 쌓는데 근본이란 말입니다.

불교에서는 가지는 것의 의미가 나를 위해서 갖는 게 아니라 남을 위해서 베풀고 자비를 실천하기 위해서 가지는 것에 의미를 둡니다.

자기가 노력해서 갖는 것을 소중히 여기고 절약해서 널리 베풀고 나누어주는 맘을 갖는 것이 올바르게 사는 일입니다.

달마스님이 지은 혈맥론에 불자가 가져야할 네 가지 마음 중에 그 첫 번 째가 보은행이라 하였습니다.

어떤 결과가 주어져도 내가 인을 짓고 과보를 받는다는 생각을 가져서 원망하거나 싫어하는 맘을 갖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다시 나쁜 업을 일으키지 아니하고 이미 지은 업은 받아서 없애고 다시 악업을 짓지 않아서 바른 업을 짓는게 기도의 본질적인 의미입니다.

이런 마음으로 부지런히 노력하고 부지런히 짓고 애써 나아가야 한다는 말입니다.

불교는 지은 복을 받는 것이 아니라 새로 지어 널리 행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불자들은 어리석은 마음을 짓지 아니하고 지혜로운 마음을 계발하여 수승한 수행공덕으로 성불의 씨앗들을 가꿔 나가야 할 것입니다.

보각스님─자비심 일으키는 자리가 곧 부처 자리

***자비심 일으키는 자리가 곧 부처 자리”***

부처님에게 아설시라는 제자가 있었습니다.

목건련이 아설시가 탁발하는 모습이 너무 거룩하여 탁발 하기를 기다렸다가 질문을 했습니다.

“그대 스승은 누구이시며, 어떤 방법으로 중생을 제도하 십니까?” 이에 아설시는 “제법종연생 제법종연멸 아불대사문 상작여시설(諸法從緣生 諸法從緣滅 我佛大沙門 常作如是說) 이라

모든 것은 인연에 의해서 생기고 모든 것은 인연에 의해서 소멸합니다.

우리 부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육조단경》에서 육조(六祖) 혜능 스님은

“자비하면 관음이요.

우리 마음속에 자비심이 일어나면 내 마음이 곧 관세음보살의 마음과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자비(慈悲)입니다.

자와 비는 떨어진 말을 합친 것입니다.

‘자’란 일체중생에게 기쁨을 주는 것이고, ‘비’란 일체중생의 고(苦)의 원인을 뽑아 없애 주는 것입니다.

고로, 자비란 일체중생의 고통을 없애주고 기쁨을 주는 것을 말합니다.

언제 어디서든지 ‘자비심을 일으키면 내 마음이 관세음보살과 같아진다’는 것입니다.

불교에서 깨달음에 이르는 4가지 방법을 신해행증(信解行證)이라고 합니다.

첫째, 신심(信心)이 있어야 합니다.

신심은 땅과 같습니다.

모든 생명체가 땅에 의지해 살아 가듯 신심 없이는 모든 것을 이룰 수 없습니다.

《화엄경》 에서 ‘신심은 지혜의 어머니’라고 했습니다.

어떤 이가 절에 가서 법문을 들었는데 스님이 “모든 이에게 발보리심(發普提心) 하십시오.

이렇게 말하면 공덕이 있습 니다.

제일 좋아하는 사람에게 꼭 이 말씀을 들려주십시오” 라고 하자 그 사람은 식구들에게 들려주기 위해 집으로 뛰어갔는데 식구는 없고, 짐승한테도 게송을 들려주면 공덕이 쌓인다고 생각해 외양간으로 갔습니다.

그래서 소에게 “너도 발보리심 해라”라고 말하자 소는 “너부터 발보리심 해라”하며 “음~메~”하고 소리쳤습니다.

“잘못에 대해 참회하고 돌아설 줄 알아야 불자 작은 허물 부끄러워하는 게 道人으로 가는 길” 중생들은 자신은 실천하지 않으면서 남을 먼저 가르치 려고 합니다.

부처님께서는 “남을 가르치려 하는 자는 자신을 먼저 적소(適所)에 둬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 다.

내가 행하고 남에게 가르쳐야지 나는 행하지 않고 말로만 가르친다면 남이 따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신심이 있는 불자는 참회하고 돌아설 줄 압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자는 자기가 지은 죄를 정당하다고 여깁니다.

잘못을 저지르면 부끄러워 할 줄 알아야 합 니다.

부끄러움이야말로 도인(道人)으로 드는 지름길 입니다.

한 재가자가 스님에게 “깨달은 재가불자가 깨닫지 못한 출가자에게 절을 하는 것이 맞습니까.

맞지 않습니까?”고 여쭈었습니다.

스님은 “절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 출가자는 깨닫지 못했지만 그 마음속에 부끄러워할 줄 아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부끄러움을 버리기 위해 열심히 정진해 쉽게 깨달음에 이르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어진 사람은 참회하고 부끄러워하는데 어리석은 사람은 정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부처님께서는 “어진 사람이 악을 짓는 것은 흰옷에 먹물을 들이는 것과 같고, 악인이 죄를 짓는 것은 검은 옷에 먹물을 물들이는 것과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악인이 죄를 짓는 것은 검은 옷감에 같아서 아무도 알아보지 않고 말하지 않지만 수행자 잘못은 누구나 지적하고 허물이 드러나게 돼 있습니다.

불교를 공부하는 불자들은 바로 선 (善)하고자 하는 사람입니다.

스스로 착한 삶을 살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작은 잘못이라도 허물이 되어 돌아옵니다.

둘째, 해석할 줄 알아야 합니다.

전 세계 종교 가운데 당신 가르침을 해석하라고 가르친 분은 부처님 밖에 없습니다.

다른 종교의 경우 가르침에 대한 해석은 신에 대한 배반입니다.

그러나 불교는 해석하지 않으면 어리석어 진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열반경》에서 “모르는 자가 행동만 앞세우면 맹목적이 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불자는 절대 무식하면 안 됩니다.

셋째, 불법을 믿고 해석했다면 행동에 옮겨야 합니다.

불교의 근본은 자비입니다, 자비를 실천하지 않으면 무자비 (無慈悲)해집니다.

남에게 기쁨과 즐거움을 주는 것이 자비 입니다.

모든 생명에게 기쁨을 주는 것이 자비입니다.

이같은 이치를 알았으면 행동으로 옮기라는 것입니다.

《능엄경》에 “알고 행하지 않으면 무식한 자와 같다”고 했습니다.

마치 배고픈 사람이 음식 만드는 법을 안다고 해서 배고픈 것이 해결되지 않는 것처럼 말입니다.

직접 음식을 먹어야 배고픔이 해결됩니다.

넷째, 증입니다.

스스로 얻으라는 뜻입니다.

물이 찬 것은 마셔본 이가 알고, 음식은 먹어봐야 그 맛을 알 수 있듯이 남의 깨달음이란 남이 음식을 먹었던 이야기를 들은 것 밖에 안 됩니다.

내가 스스로 실천해서 깨닫지 못하면 팔만대장경을 다 읽어봐도 음식 먹은 설명을 이해 하는 정도밖에 안됩니다.

우리 마음속에 자비심이 일어나면 내 마음이 관세음보살이라.

기쁨 마음으로 남에게 베풀면 그 마음이 곧 대세지보살임을 명심하십시오.

또한

이 세상에서 만족을 아는 사람이 제일 부자입니다.

아무리 많은 것을 가져도 만족할 줄 모르면 가난한 자이고, 비록 적게 가졌다 할지라도 만족할 줄 알면 그가 제일 부자 라고 했습니다.

만족이야말로 최상의 부자입니다.

온 세상을 금 덩어리로 만들어서 한 사람에게 모두 주어도 그 한 사람의 욕심을 채워낼 수 없다고 했습니다.

욕심으로써 만족을 얻을 수는 없다는 말씀입니다.

스승, 제자가 길을 나란히 가는데 길가에 금 덩어리가 있었습니다.

제자가 금 덩어리를 보고 욕심이 생겨 챙겨가자고 말했더니 스승이 “그게 무슨 금 덩어리냐, 근심 덩어리다”라며 다그쳤습니다.

스승의 만류에도 제자는 주변을 살피다가 금 덩어리를 챙겼습니다.

중국 상서에 보면 “주변을 자꾸 돌아보면 투심(偸心)이 있다”고 했습니다.

남의 것을 훔치면 꼭 두리번거리게 돼 있습니다.

제자가 스승에게 “빨리 가십시오.

꼭 도둑놈이 나올 것 같습니다”라고 말하자 스승은 제자에게 “네가 몸에 금 덩어리를 지니지 않았을 때는 너와 내 마음이 편안 했지만 마음이 불안해진 이유는 네가 몸에 금을 지녔기 때문이다.

그러니 금 덩어리를 땅에 내려놓으라”고 다그 쳤습니다.

물질로서 욕망을 채우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말입니다.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땅에 누워도 행복하지만 만족 모르는 이는 천상에 있어도 편안할 수 없어” 부처님께서는 “만족이야말로 가장 으뜸가는 부자”라고 가르치셨습니다.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비록 맨 땅에 누워 있더라도 행복 하지만, 만족을 모르는 사람은 천상에 있더라도 마음이 편안해 질 수 없다고 했습니다.

이 세상에서 무엇이 이익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제가 보기엔 건강한 것보다 큰 이익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건강은 한번 놓쳐 버리면 다시 되돌릴 수 없는 것입니다.

부모가 돌아가시면 후회하고, 젊음이 지나면 후회하듯 현실에서는 그 소중함을 잘 모른다는 것입니다.

그 시절 아름다움을 알았더라면 건강도 잘 지켰을 거라고 후회하게 됩니다.

부처님께서도 “세상에 제일가는 이익은 건강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몸에 의지하기 때문에 몸이 병들면 마음도 병들기 때문입니다.

육신이 소중해서가 아니라 소중한 마음을 지키기 위해 몸이 건강해야 합니다.

몸이 건강해야 마음을 온전히 지킬 수 있고, 공부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남에게 기쁨도 줄 수 있기 때문 입니다.

불교대학에서 좋은 가르침을 받아서 부처님 법을 열심히 배우고, 여러분들의 배움이 사바를 비추는 빛이 돼서 많은 사람들이 여러분과 같이 복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부처님 법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참 불자가 되길 바랍니다.

– 보각 스님은 중앙승가대학교에서 25년 동안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사회복지 발전 및 후학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 2004년 사회복지법인 자제공덕회 이사장에 취임한 후 교계 사회복지의 지평을 넓히는 등 불교의 사회적 기능을 확대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정리=이병철 기자/제주불교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