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사는 중생으로 하여금 5취(趣)에 유전(流轉)하면서 끝이 없음을 수레바퀴 굴러가는 데 비유.
[월:] 2020년 02월
대명도경 (大明度經)
ⓢ A??as?hasrik?prajn?p?ramit?s?tra. 6권. K-9, T-225. 오(吳)나라 때 지겸(支謙)이 223년에서 253년 사이에 양주(凉州)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대명경(大明經)』 · 『명도경(明度經)』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대명도무극경(大明度無極經)』이라고도 한다. 반야부 계통에 속하며, 반야사상의 핵심이 담겨져 있는 중요한 경전이다. 전체 30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일체 모든 것은 무상하므로 집착하지 말아야 함을 강조하고 또 보살이 잊지 않아야 할 대승 수행의 도리에 대해 반복하여 설명하고… 대명도경 (大明度經) 계속 읽기
루이환라 (樓夷羅)
ⓢ Loke?varar?ja 세자재왕(世自在王) · 세요왕(世饒王)이라 번역.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