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는 변화토(變化土) · 응토(應土) · 응화토(應化土). 3토의 하나. 부처님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그들 근기에 맞추어 변화하여 나타내는 국토.
[월:] 2020년 02월
이숙생 (異熟生)
(1) 이숙인(異熟因)으로 생긴 것, 〓이숙과. (2) 이숙으로부터 생긴 것. 이는 『유식론』에서 제8식을 이숙, 또는 진이숙(眞異熟)이라 함에 대하여, 제8식으로부터 생긴 제6식의 이숙과(果)인 부귀(富貴) · 현우(賢愚) · 미추(美醜) 등을 이숙생이라 함.
영제암 (永濟庵)
경기도 가평군 화악산에 있던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