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의(所依). 어떤 물건에 의하여 일어난 친한 원인을 소의라 함에 대하여, 의지하여 일어난 생소(生疎)한 원인. 예를 들면, 차가 굴러갈 적에 이끄는 손을 소의, 땅을 의라 함.
[월:] 2019년 09월
집취상 (執取相)
6추(?)의 제3. 앞의 상속상(相續相)으로 객관의 대상에 고락(苦樂)의 감정을 일으켜 상속하는데 다음 하여, 더욱 집착하는 생각을 깊게 하는 행상(行相).
상내원암 (上內院庵)
강원도 고성군 금강산에 있던 절.
불교자료창고
↔ 소의(所依). 어떤 물건에 의하여 일어난 친한 원인을 소의라 함에 대하여, 의지하여 일어난 생소(生疎)한 원인. 예를 들면, 차가 굴러갈 적에 이끄는 손을 소의, 땅을 의라 함.
6추(?)의 제3. 앞의 상속상(相續相)으로 객관의 대상에 고락(苦樂)의 감정을 일으켜 상속하는데 다음 하여, 더욱 집착하는 생각을 깊게 하는 행상(行相).
강원도 고성군 금강산에 있던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