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작업근 (五作業根)

ⓢ panca-karmendriya 또는 5작근(作根) · 5업근(業根) · 5업(業). 능히 업을 짓는 5종의 근(根). 곧 설근(舌根) · 수근(手根) · 족근(足根) · 남녀근(男女根) · 대유근(大遺根).

불필정입정입인경 (不必定入定入印經)

ⓢ Niyat?niyata(gati)mudr?vat?rastra. 1권. K-138, T-645. 원위(元魏)시대에 구담 반야유지(瞿曇般若流支, Gautama Prajn?ruci)가 542년에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불필정입정인경』이라고도 한다. 대승의 가르침을 굳게 믿어야만 영원히 퇴보하지 않는 확고한 보살이 될 수 있다고 설한 경전이다. 문수사리가 불필정입보살과 정입보살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질문하자, 부처님께서는 양이 끄는 수레를 타고 가는 보살 · 코끼리가 끄는 수레를 타고 가는 보살 · 해와 달의 신통으로 끄는 수레를… 불필정입정입인경 (不必定入定入印經) 계속 읽기

행상 (行相)

(1) 소승에서는 주관의 인식 대상, 곧 객관의 사물이 주관인 마음 위에 비친 영상(影像)을 말함. (2) 대승에서는 주관의 인지하는 작용을 말하니 곧 마음에 비친 객관의 영상을 인식하는 주관의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