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국사 (淨慧國師)

< 정혜국사 진영 > 고려 스님. 호는 복암(復庵). 고려 조계산 제14대 조사. 백암산 정토사 사적의 전장경방(轉藏經榜)에 “주법(主法) 조계 제14대 화상 복암 정혜”라는 글이 있고, 대지 국사(大智國師) 고저 찬영(古樗粲英)의 비에 정혜 국사에게 나아갔다는 글이 있다.

비정 (非情)

↔ 유정(有情). 정식(情識)이 없는 것. 풀ㆍ나무ㆍ흙ㆍ돌 따위.

칭찬대승공덕경 (稱讚大乘功德經)

1권. K-256, T-840. 당(唐)나라 때 현장(玄?)이 654년에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현설방법업장경(顯說謗法業障經)』이라고도 한다. 부처님께서 법계장(法界藏)의 대공덕전에 계실 때, 여인의 모습을 한 덕엄화(德嚴華) 보살이 새로 배우는 보살들을 위하여 어떤 것이 보살에게 해로운 것인지 설법해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새로 배우는 보살들이 깨달음을 얻는 데 있어 성문과 독각은 나쁜 선지식이라고 하시고, 그 이유에 대해 보살은 중생들을 이롭게… 칭찬대승공덕경 (稱讚大乘功德經)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