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K-835, T-796. 동진(東晋)시대에 축담무란(竺曇無蘭)이 381년에서 395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생사변식경』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이 경정이라는 비구에게 후행의 유무에 대해 설하신 경전이다.
[월:] 2016년 12월
한국불교의 역사와 고승들
한국불교의 역사와 고승들 1.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우리나라에 최초로 불교가 전래된 공식 기록은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입니다. 이후 불교는 백제, 신라로 차례차례 전래되면서 한국인의 마음에 인간이 갖추어야 할 소중한 이상을 심어왔으며 그 이상에 버금가는 찬란한 정신과 문화를 꽃피워 왔습니다. 신라는 삼국 중에 가장 늦은 법흥왕 14년(537)에 이차돈 성사의 순교로 불교를 받아들였습니다. 그러나 원광, 자장, 원효, 의상,… 한국불교의 역사와 고승들 계속 읽기
한국불교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한국불교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1. 불교정책과 대중의 불교 왕실의 불교관 신라에 의해 삼국의 통일이 이뤄지면서 사회는 크게 변하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불교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불교계에 나타난 가장 중요한 변화는 불교의 정치이념으로서의 역할이 축소되었고, 그 대신에 개인의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측면이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삼국시대의 불교는 왕실과 귀족을 중심으로 수용되면서 국가체제의 정비와 왕실의… 한국불교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