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신성인(殺身成仁)

중국의 천지창조에 나오는 ‘반고(盤古)’의 신화는 삼국시대(AD3세기 경)에 씌어진 서정(徐整)의 ‘삼오역기(三五曆記)’라는 책에 실려있다. 아직 천지개벽(天地開闢)이 되지 않아 하늘과 땅이 나뉘어지지 않은 때였다. 흔히 혼돈(混沌) 또는 혼돈(渾沌)의 불분명한 상태였다. 이때 ‘반고’는 1만 8천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달걀 같은 알속에서 잠만 자다가 깨어나 어느 날부터 하루에 한길씩 키가 자라 그 체력으로 하늘과 땅이 나누어지게 버티기를 다시 1만8천년, 그 성장은 극점에 도달했고 키는 9만리나 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기러기 울어 예는 하늘 9만리…’라든지, ‘9만리 장천 …’하는 말은 하늘과 땅 사이가 ‘반고’의 키와 같이 9만리라는 뜻이리라.

이렇게 하늘과 땅의 질서를 바로잡은 반고는 드디어 지쳐 죽음을 맞으니, 그는 자기의 두 눈으로 해와 달을 만들고, 한숨으로 풍운(風雲)을 만들었으며, 신체는 산악(山岳)으로, 피는 강과 바다로, 혈관과 근육은 길이 되고, 살은 논과 밭으로, 머리털과 수염은 별이 되고, 피부와 털은 초목으로, 치골정수(齒骨精水)는 금석주옥(金石珠玉)으로, 땀은 비와 이슬이 되어 이 세상을 기름지고 아름답게 만들어 놓았으니 이야말로 ‘살신성인(殺身成仁)’이 아닌가.

한 인간의 삶에 대해서는 그가 죽고 난 뒤 얼마간의 세월이 흐른 뒤에야 어느 정도 객관적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즈음 우리 사회에서는 지난 3월 입적하신 ‘법정’스님의 삶과 죽음에 대한 논의가 언론과 네티즌들 사이에 요란하다. 특히 ‘무소유(無所有)’가 화두의 중심에 있다. 이 세상에 올 때와 마찬가지로 빈손으로 떠난 것이다. 입적하기 전날 “내 것이라고 하는 것이 남아있다면 모두 맑고 향기로운 사회를 구현하는 활동에 사용해 달라.” 고 당부하셨고, “아무것도 갖지 않을 때 비로소 온 세상을 갖게된다.”는 지혜를 일깨워 주고 가셨단다. 평소 장례절차도 “관과 수의를 따로 마련하지 말고, 평소의 승복을 입은 상태로 다비해 달라.” 하였고, “사리를 찾으려고 하지도 말고 탑도 세우지 마라. 이 모든 것이 번거롭고 부질없으니 괜한 수고를 하지 마라.” 하셨단다.

언젠가 한번은 돌아갈 길, 모든 것을 훌훌 털고 육신마저 버리고 우리 곁을 떠나신 스님의 모습은 수행과 법문, 남기신 글 그대로 맑고 향기로웠다. 다시금 오래 전의 빛 바랜 「무소유」를 꺼내드는데 고 김수환 추기경의 말씀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이 책이 아무리 ‘무소유’를 말해도 이 책만큼은 소유하고 싶다”고.

그런데 왜일까. 자꾸만 아쉬운 생각이 드는 것은 역시 속물 근성 때문일까. 그냥 아무 말씀도 안 하시고 가셨다면 반듯한 영결식도 하고, 격식에 맞추어 다비식도 하였더라면 어떠했을까. “그동안 풀어놓은 말 빚을 다음 생으로 가져가지 않겠다. 내 이름으로 출판한 모든 출판물을 더 이상 출간하지 말아주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하셨단다. 우리 불교계를 위하여, 무지몽매한 중생들을 위하여 스님께서 생각을 바꿀 수는 없었을까.

일찍이 현대 한국불교의 중흥과 정화를 위해 혼신의 힘을 쓰셨고, 이 땅에 선불교와 조계종 종단에 확실한 힘을 실어주셨던 ‘성철’ 큰스님께서 1993년 11월 초순 입적하셨을 때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살아 계실 때에도 한국불교의 상징적 존재이셨지만 입적하신 뒤에도 세인들에게 더 많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주셨기에 ‘살신성인(殺身成仁)’의 참모습을 보여주셨다고 믿어왔다. 그런 훌륭하신 조사스님들이 이 땅에 많이 계시겠지만 요즈음처럼 우리 불교가 안팎으로 어려울 때면 아쉬운 생각이 든다.

법정스님의 수행과 일상을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법문과 문필활동을 통해서, 가까이서 모신 스님들의 전언을 통해서 본다면 우리 불교계를 위해서, 맑고 향기로운 사회를 위해서 하실 일이 많을 것 같은데 말이다. 스님의 극락왕생을 빌 뿐이다.

“우리는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마음이 쓰이게 된다. 따라서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으론 무엇인가에 얽매이는 것. 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이 얽혀 있다는 뜻이다”(법정 스님의 ‘무소유’ 중에서).

김형춘 교수님 글. 월간 반야 2010년 4월 113호

가유(假有)

가명(假名)으로만 존재하는 것. 인연 화합에 의해 존재하는 사물을 가리킴. 속유(俗有). 실유(實 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