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경전 (2)백유경

불경 가운데서 『이솝우화』만큼이나 재미나는 설화가 많이 수록되어 있는 경이 있다. 여러 가지 비유로써 중생들의 어리석음을 깨우쳐 일상의 지혜를 닦게 하는 내용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바로 『백유경(百喩經, Satavadana-s?tra)』으로 백 가지 비유를 들어 말씀하였다 하여 ‘백 가지 비유경’ 『백유경』이라 한다. 경의 전문을 모두 읽어 보면 98가지의 짧은 이야기가 모아져 있는데 한결같이 어리석음을 풍자해 놓은 이야기이다.

불경 가운데서, 비유문학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부처님의 교훈을 순전히 비유로써 설해 놓은 것을 아파타나(阿波陀那, Avad?na)라 한다. 『12부경』 혹은 『12분경』이라 하여 불교 경전을 문체 및 기술의 형식과 내용에 따라서 12가지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비유경』은 그 중의 하나로 이 경은 세상의 비유와 우화로써 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하는데, 한 경에서 군데군데 비유를 말한 것과 한 경 전체가 비유와 우화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백유경』은 『법구 비유경』과 더불어 제목에 비유란 말이 들어 있어 경 전체가 비유설화임을 밝히고 있다.

전부 4권으로 되어 있는데 5세기에 인도의 승려 상가세나(僧伽斯那, Sanghasena) 가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제자 구나브리디(求那毘地, Gunavrddhi) 에 의하여 서기 492년에 한문으로 번역이 되었다고 한다. 설법의 대상이 평범한 일반 보통 사람으로 전문적인 수도인만이 아닌 것이 특징이며, 따라서 사변적인 논리나 교리적인 난해성이 전혀 없는 경전이다.

여러 가지 비유의 우화 중에는 11세기 소마데바라(Somadeva)는 사람이 지은 유명한 설화집인 『카다아 사릿 사가린(katha- sarit-sagara』(‘전설이 흐르는 바다’라는 의미)에 나오는 이야기와 같은 것이 있는데, 이는 인도 고전의 백미로 알려져 있다. 또 그리스의 우화 작가 이솝이 지은 『이솝우화』와도 비슷한 내용이 들어 있다.

옛날 어떤 미련한 부부가 있었다. 그는 어리석어 무식하기 짝이 없었다. 그가 다른 부잣집에 가서 삼층으로 지어진 누각을 보았다. 높고 넓으며 웅장하고 화려하여 보기에 퍽 시원해 보였다. 그는 무척 부러워하여 이렇게 생각을 했다.

“나는 저 사람보다 많은 재물을 가지고 있다. 나만 못한 저 사람이 이렇게 좋은 누각을 지어 가지고 있는데 나는 왜 이런 누각을 짓지 않았는가?”

그래서 그는 곧 목수를 불러 물었다.

“저 집처럼 좋은 누각을 지을 수 있겠는가?”

목수는 답하기를

“그것은 바로 내가 지은 집입니다.”

“그럼 내게도 저와 똑같은 누각을 지어 다오.”

이에 목수는 곧 땅을 고르고 벽돌을 쌓아 누각을 짓기 시작했다.

그는 벽돌을 쌓아 집을 짓는 것을 보고 갑자기 의혹이 생겨 목수에게 물었다.

“어떻게 집을 지을 것인가?”

“1·2층을 먼저 짓고 나중에 삼층을 지을 것입니다.”

“나는 아래 두 층은 가지고 쉽지 않다. 먼저 제일 위층인 삼층만 지어다오.”

목수는 대답하기를

“어찌 그럴 수 있겠습니까? 아래층의 집을 짓지 않고 어떻게 2층집을 지을 수 있으며, 2층집을 짓지 않고 어찌 3층집을 지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그는 고집을 부리며

“내게는 아래 2층은 필요없다. 반드시 3층인 맨 위층 집만 지어다오”라고 하였다. 이때에 사람들이 모두 이 말을 듣고 비웃으면서 말하기를

“어떻게 아래층을 짓지 않고 위층만 지을 수 있겠는가? 참으로 어리석기 짝이 없다”라고 하였다.

비유하면 이렇다. 부처님의 제자들이 부지런히 삼보(三寶)를 공경하여 정진을 하지 않고 게으름을 피우면서 도를 얻겠다는 말을 하지만 노력 없이 결과만 바라는 것을 풍자한 것이다. 흔히 사람들은 목적 달성을 위한 과정의 준비 없이 그저 공만 바란다. 노력 없이 어떻게 공이 이루어지느냐 하는 것이다. 이상 소개한 것은 98가지 이야기 중 열 번째에 해당하는 이야기이다.

『백유경』의 우화는 모두 어리석음을 깨우치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이야기들이다. 여기서 어리석다는 것은 세상의 인과법(因果法)을 모르거나 무시한다는 이야기이다. 인과법문을 설해 놓은 이 경의 참뜻은 지혜롭고 바르게 이 세상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원인에 의하여 결과가 이루어진다는 보편적인 윤리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원인이 좋으면 결과도 좋고 원인이 나쁘면 결과도 나쁘다는 선인선과(善因善果) 악인악과(惡因惡果)는 불교의 기본 도덕·윤리정신이다. 어리석음은 지혜의 반대인데 지혜롭게 사는 것이 인생의 참 가치이다. 더구나 불교 신행에 있어서 인과의 도리를 부정할 때에는 바른 신행 생활이 이루어질 수 없다. 발무인과(撥無因果) 곧 인과를 무시하는 것은 불법에 대한 역적죄라고 하기도 한다. 어리석은 한 생각이 인생을 그르치고 망하게 하는 수가 허다하다.

백유경에는 또 현대의 유모어 같은 이야기도 설해져 있다. 우리 국문학사에 나오는〈노부처 쟁병 설화〉와 똑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노부부가 함께 살고 있었는데 이웃에서 떡을 가져와 이 부부가 접시에 담은 떡을 방안에 놓아두고 내기를 하여 이기는 사람이 먹자고 하였다. 그 내기는 서로 말을 하지 않은 묵언을 누가 더 오래하는가였다. 곧 두 사람이 말을 하지 않고 묵언시합을 하였다. 먼저 말을 하는 사람은 지게 되어 떡을 먹을 수 없는 것이다. 두 사람이 떡을 사이에 놓고 말없이 견디기를 하고 있는데 마침 부엌에 도둑이 들어와 물건을 훔쳐 갔다. 도둑이 물건을 꺼내 가는 것을 샛문으로 보고도 떡을 차지하려고 말없이 앉아 있는 할아버지를 본 할머니가 “영감! 도둑이 물건을 가져 가는데도 떡 욕심 때문에 말도 하지 않고 앉았소?”라고 화가 나서 핀잔을 주니, 영감님은 할머니에게 “이건 내 떡이니 내가 먹게 되었소”라고 했다는 매우 우스운 이야기이다.

이것은 쓸데없는 짓을 하다가 큰 손해를 본다는 것을 풍자적으로 일깨워 놓은 교훈이다.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2년 10월 (제23호)

경봉스님─믿음 거기서 모두가 이루어 진다

믿음, 거기서 모두가 이루어 진다

-경봉스님-

항상 말하지만 법문은 종사가 법상에 오르기 전에 다 됐고, 법문을 들으려는 대중이 자리에 앉기 전에 다 마친 것이다.

부처님이 49년간 설법을 했는데 나중에 영산회상에서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꽃 한 송이를 인천대중(人天大衆)에게 들어보였다.

거기에 무슨 말과 글이 필요하겠는가.

우리가 이렇게 살아가고 있지만 이 몸을 얼마나 유지하고 세상을 살아갈 수 있겠나 하고 한 번쯤 생각해봐야 한다.

이 법회에 승속(僧俗)이 많이 모였는데 많은 대중이 100년만 지나면 서로가 다 어디에 가 있는지 행방조차도 알 수 없고 얼굴 또한 볼 수 없게 된다.

이렇듯 우리의 일상은 늘 덧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이 몸을 꿈과 같고 허깨비 같고 물거품 같고 풀끝의 이슬과도 같고 번갯불과 같은, 참으로 허망한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그런데 이 허망한 가운데 허망하지 않은 것이 하나 있다.

무엇이 허망하지 않은 물건인가.

옛 조사가 말했다.

“한 물건이 사람 사람에게 있는데 머리도 없고 꼬리도 없으며 명자(名字)도 없고 위로는 하늘을 버티고 아래로는 땅을 버티며 천지보다 더 크고 해와 달보다 더 밝으며 검기로는 칠통보다 더 검은데 이러한 물건이 우리의 행주좌와(行住坐臥)와 어묵동정(語默動靜)의 일상생활하는데 있으니 이것이 무엇인지 모른다.” 그러니 하루 24시간 가운데 9시간 일하고 6시간 잠자고 5시간 놀면 4시간이 남는데, 이 4시간 남는 시간을 정신을 통일하고 집중해서 이 알 수 없는 것을 참구해야 한다.

이것이 처음에는 잘되지 않는 어렵고 힘든 일이지만 물 흘러가듯 자꾸만 생각이 끊임없이 이어지면 정신을 통일하는 묘를 자연히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사바세계를 무대로 삼고 한바탕 멋들어지게 연극을 하다 가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멋들어지게 하는 것인가.

가령 연극배우가 비극의 배역을 맡았다고 하자.

그 배우가 마음 가운데 딴 생각을 비우고 자신이 그 극중배역과 혼연일치가 되는 연기라야 사람들이 감동한다.

사바세계에 와서 우리가 맡은 배역대로 연극을 잘 하려면 우선 물질에 대한 지나친 애착과 삶에 대한 애착을 비워야 한다.

물질 아니면 사람 때문에 가슴이 아프고 머리가 아프다.

우리가 사바세계에 나온 이유는 머리 아프고 가슴 아프려고 나온 것이 아니다.

빈 몸 빈손으로 옷까지 훨훨 벗고 나왔는데, 공연한 탐욕과 쓸데없는 망상으로 모두 근심걱정이 시작되는 것이다.

어릴 때는 누구를 해칠 생각도 근심걱정도 없었다.

그런 천진난만한 동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진실대로 자기 정성대로 노력하기만 하면 세상은 될 만큼 되는데, 망상이란 도둑놈 때문에 근심걱정을 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일본에 대산청만(大山靑巒)이라는 문학박사가 있다.

그 사람에게는 늙은 하녀가 있었는데 병자를 앉혀놓고 뭐라고 중얼거리기만 하면 병이 금방 낫곤 했다.

박사가 생각하니 신기하기도 하고 가관이었다.

그것이 미신인 것만은 분명한 듯한데 병이 완쾌되니 말이다.

그래서 하루는 하녀를 보고 무엇을 이르냐고 물었다.

하녀는 “오무기 고무기 오소고고 오무기 고무기 이소고고”라 한다고 대답했다.

이 말을 듣고 박사가 생각해보니 ‘오무기’는 보리요 ‘고무기’는 밀, ‘이소고고’는 두 되 다섯 홉이란 말이다.

‘보리 밀 두되 다섯 홉’이란 말에 병이 나을 까닭이 없는데 병이 잘 낫는 것이 신기할 따름이었다.

일본에서 문학박사가 되자면 불교를 모르고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불교경전에는 문학과 관련 깊은 철학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어느 날 그가 〈금강경〉을 보다가 경 가운데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 즉 ‘응당 머무름 없이 그 마음을 낸다’고 하는 구절을 보게 됐다.

육조 혜능대사도 다른 사람이 〈금강경〉을 읽을 때 이 구절을 듣고 도를 깨달았다고 하는 이 구절의 일본 발음이 ‘오무소주 이소고싱’.

아마도 하녀는 누가 이 말을 하는 것을 듣고 잘못 외어 ‘오무기 고무기 이소고고’라는 말을 늘 외운 것이다.

박사가 하녀에게 외우는 것이 잘못됐으니 다시 외우라고 고쳐주었다.

하녀는 그런가보다 하고 다음부터 환자들에게 제대로 된 금강경 구절을 외워줬는데, 진짜지만 병이 낫지 않았다.

그래서 ‘오무기 고무기 이소고고’라고 또 다시 바꿔서 읽으니까 그제야 병이 나았다.

이유가 어디에 있느냐 하면 박사가 말해준 것은 진짜이지만, 많이 외우지도 않았고 또 이렇게 하면 정말 병이 나을까, 이것이 옳은가 그른가 하는 의심이 나서다.

〈화엄경〉에 믿음은 도의 근원이요 공덕의 어머니라 모든 성현의 법을 길러낸다고 하였다.

믿음, 거기서 모두가 이루어진다.” 한 물건이 있는데 천지보다 먼저요 형상이 없어 본래 고요하도다.

능히 만상에 주인이 되고 사시절을 따라 마르지 않는데 장부에겐 누구나 하늘을 찌를 듯한 기개가 있거니 북두(北斗)와 남성(南星)을 등을 지고 보아라

2015년 12월 20일 불교뉴스

BBS뉴스

  1. 미국의 금리인상과 두산의 희망퇴직
  2. CT 검진받고 숨진 40대 사인…조영제 부작용 추정
  3. 롯데家 ‘고소전’ 검찰 수사 착수…모두 형사1부 배당
  4. 에어프랑스 여객기서 ‘폭탄 의심물체’ 발견…케냐에 비상착륙
  5. 김동철, 새정치연합 탈당 선언…광주 의원으로선 1호
  6. 학생 1명당 투자액 세종교육청 최고…서울이 ‘꼴찌’
  7.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 ‘혼용무도'(昏庸無道)
  8. 인니 여객선 사고해역서 23명만 구조…100여 명 실종 우려
  9. 강태용 “횡령한 165억원 중 조희팔이 160억원 사용”
  10. 여야 지도부, 선거구획정·쟁점법안 협상 또 결렬
  11. 불자(佛子) 조윤선 “서초의 딸, 출마합니다”
  12. 한국전통예술 국제교류의 편린
  13. 중국 선전공단서 산사태로 17개 건물 붕괴
  14. 인도네시아서 한국산 T-50 훈련기 추락…조종사 2명 사망
  15. 최경환 “무디스 신용등급 상향, 美금리 불안에 방어벽 될 것
  16. 고위 당국자 “금강산 관광 문제에 유엔 제재 무시할 수 없다”
  17. 평택 서정리역 인근서 새마을호 고장
  18. 세모 스케치 – 정동진 해맞이 인파
  19. [속보]여야 ‘2+2회동’ 시작…선거구획정·쟁점법안 담판
  20. 공공기관 2천238곳 개인정보보호 부실
  21. 금강산 대량현금(벌크캐시) 재논란
  22. 청와대, “노동개혁법안도 경제활성화법과 함께 처리돼야”
  23. 주차단속前 문자서비스 전국서 받는다
  24. 靑 “노동개혁법안도 경제활성화법과 함께 처리돼야”
  25. ‘히말라야’ 개봉 4일만에 관객 100만명 돌파
  26. 방짜유기물박물관 ‘한국의 산사 옛 모습전’
  27. 大관음사, ‘불기 2559년 한국불교대학인들의 송년회 밤’ 개최
  28. “조희팔 차명계좌 30여개”…은닉자금·비호세력 수사 본격화
  29. 페이스북으로 불법체류자 모집해 105억 해외 불법송금
  30. 김한길 “문재인 살신성인 결단 마지막 간청…제 고민 깊어져”
  31. 강진만의 겨울손님 큰고니떼
  32. ‘생활소음 기준 안넘어도 가축피해 배상’ 첫 결정
  33. 중국 베이징 스모그 적색경보 이틀째…월요일부터는 유초중고 휴교
  34. 기준치 이하 소음발생 가축피해 첫 인정
  35. 기준치 이하 소음 발생 가축피해 첫 인정
  36. 휴일인 오늘 대체로 맑은 날씨…24일 전국 대부분 지방 겨울비
  37. 중소기업 31% “올해 자금사정, 지난해보다 악화”
  38. 한·중·일 문화장관, ‘칭다오 합의’
  39. 북한접경 중국 단둥~다롄 간 고속철도 개통
  40. 安 내일 정치세력화 기조 발표
  41. 필리핀 바이어 가장 무역사기 빈발…코트라, 한국업체에 ‘경보’
  42. 로스쿨 야간과정 허용…방송통신대에도 설치 추진
  43. 남한 사람들, 북한 주민들보다 12년가량 더 산다
  44. 인도네시아 해안서 100여 명 탑승 여객선 침몰
  45. 2015년 미스월드 선발대회 우승자는 스페인 대표
  46. 여야, 오늘 2+2 담판…선거구획정·노동법 분수령
  47. 동상환자 5명 중 2명은 야외활동 활발한 10∼20대
  48. 美 금리인상후 불확실성 증폭…주가 급등락
  49. 일본 40대 로맨티스트, 한국청년 응원가 만들어
  50. 중국 외교부 “미 전략폭격기 남중국해 근접 비행은 ‘도발행위’ 비판

불교닷컴

  1. 범동국비대위 “지체 없이 이사회 소집해야”
  2. [AD]탈핵을 염원하는 영남권 사찰 3차 도보순례
  3. [부고] 장덕수 청와대불자회 총무 모친상

불교신문

  1. 초등학교 2학년 은서가 20분 일찍 일어나는 이유는?
  2. 진주 시장의 복수인가 종교편향인가
  3. 자비의 전화 불교상담개발원 송년의 밤
  4. 수영구노인복지관 ‘어르신 평생교육프로그램 발표회’
  5. 강북장애인종합복지관 ‘감사와 사랑의 자리’
  6. 광주광역시 월곡초 행복장터 수익금 기부

불교포커스

  1. 조계종단은 비대위 ‘논의 제안’에 화답하라
  2. 견見과 문聞에 대한 생각
  3. 선미모 “전국 분원장회의 열어 대종단 관계 결정하자”

현대불교

  1. 부산 연제구 불교사암聯, 이웃 사랑 실천
  2. 고창군종합사회복지관 농어촌복지세미나 개최

최종업데이트 : 2015-12-20, 11:1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