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의 세계 (2)

대장경(大藏經)을 줄여서 ‘장경(藏經)’이라고도 하는데 이 장경(藏經)이 어떤 언어로써 성문화되었느냐에 따라서 그 종류가 나누어진다.

① 팔리어 장경(巴利語 藏經)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는 많은 민족이 공존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언어의 종류가 많은 곳이다. 그 중에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는 대표적인 것이 팔리어(Pali)와 범어(梵語, Sanskrit)이다. 부처님 자신이 사용하였던 언어는 마가다(Magadha)어 혹은 프라크리트(Prakrit)어였다고도 하는데 부처님의 입멸 후 경전이 결집될 때 처음 사용되었던 언어가 팔리어(巴利語, Pali)였다. 그리하여 팔리어 장경이 먼저 완성된다. 팔리어란 인도 고대 사회의 서민들이 쓰던 언어인데 이 언어로 편찬된 경을 팔리어 장경이라 부르며 현재 스리랑카(Sri Lanka), 타이(Thailand), 미얀마(Myanmar) 등 남방의 여러 나라에 전해지는 경전이다. 남방에 전해진 경이라 하여 남전장경(南傳藏經)이라고도 한다.

팔리어 경전은 보통 5부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 장부(長部)·중부(中部)·상응부(相應部)·증지부(增支部)·소부(小部)이다. 이 5부 중 장부(長部), 중부(中部), 상응부(相應部), 증지부(增支部)는 한역 경전 4아함(四阿含)의 과거의 것과 비슷한 내용이다.

② 범어 장경(梵語 藏經)

팔리어 경전에 이어 범어 경전이 이루어진 것은 인도 카니슈카왕 때 카슈밀 지방에서였다. 불교경전편찬회의에서 범어를 불교 성전어로 한다는 결의를 하고 이어 범본(梵本) 경전을 편찬한 것이다. 범어는 팔리어와는 달리 인도의 상류층이 사용하던 언어인데 이 범본 경전이 중국으로 전해져 나중에 한역 경전의 번역 시에 대본이 된다.

③ 서장어 장경(西藏語 藏經)

불교가 북쪽으로 전해져 중국에 오기까지 티베트를 경유하게 되었는데 티베트에서도 불경을 번역하여 장경을 완성하였다. 대략 7세기 전반에 송첸감포(srong-btsan sgam-po, 松贊干布, 617년∼650년)라는 티베트의 왕이 승려를 인도에 파견하여 인도 어문을 배워 오게 해서 역경사업(譯經事業)을 벌렸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범어를 번역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티베트어로 번역하였기 때문에 준범어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한다.

④ 한역 장경(漢譯 藏經)

중국은 한무제(漢武帝) 이래 여러 차례 인도와 문화교류를 하여 오다가 4세기경 동진 때부터 왕조의 뒷받침으로 여러 차례 대대적인 역경 사업이 추진되었다. 인도에서 건너 온 승려들이 중국에 남아 많은 역경 사업에 종사하였다. 대표적인 인물이 구마라집(鳩摩羅什, Kum?raj?va)이나 진제(眞諦, Param?rtha) 삼장(三藏) 같은 사람이며, 당나라 때의 현장(玄裝) 삼장은 불세출의 역경가였다. 이들의 공로로 한역 장경이 완비되었고, 송나라 때에 와서는 경판으로 새겨져 『관판대장경(官版大藏經)』 또는 『개보판대장경(開寶版大藏經)』이라는 훌륭한 문화유산이 남겨지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이 팔리어 장경, 범어 장경, 티베트어 장경, 한역 장경으로 경전이 나라에 따라 유통되다가 현대에 와서는 서양의 영어나 일본어, 또 우리나라의 경우 한역을 한글로 번역한 우리말 경전 등 여러 종류의 경전이 있게 되었다.

한역 대장경 중 우리나라의 『고려대장경』의 우수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같은 한문권인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장경 중 단연 백미라 할 수 있는 찬란한 문화유산이다. 중국에서는 역대 왕조 중 북송 때부터 목판대장경을 조성하여 북송판 금판을 위시해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때 만들어진 장경들이 산재하여 전해지고 있다. 이웃 나라 일본에서는 불교의 학문적 연구가 활발해 활자(活字)로 간행된 『신수대장경(新修大藏經)』이란 장경이 1900년대에 들어와 편찬되어 현재 가장 많은 양을 수록하고 있다.

불경의 양(量)은 얼마나 되는가?

삼장(三藏)을 합한 불전의 양은 실로 엄청나게 많다. 타종교의 전적(典籍)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양의 전적을 가지고 있는 종교가 불교이다. 흔히 우리는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라는 말을 자주 한다. 또 부처님 설법 전체를 ‘팔만 사천 법문’이라 하기도 한다. 여기서 ‘팔만 사천’은 인도 사람들이 곧잘 써서 나타내는 ‘대수’ 혹은 ‘만수’의 의미가 들어 있다. 다시 말해 많다는 수치를 8만 4천으로 표현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실제로 대장경에 수록된 경전의 양은 얼마나 될까? 장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 『고려대장경』의 경우 목판의 판수가 81,258장이다. 그리고 경전의 종류별인 부수가 1,514부이며 권수(卷數)로 되어 있는 수효는 모두 6,805권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1,514종류의 경전 6,805권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일본에서 근대에 와서 활자로 편찬한 『신수대장경』의 경우 2,236부의 경 종류에 9,006권이나 된다. 물론 이러한 숫자 안에는 불교에 관한 역사를 기술하고 있는 책과 각 나라의 고승전 같은 것도 포함되어 있다. 『신수대장경』의 경우 우리나라의 『삼국유사』나 『해동고승전』 등도 사전부(史傳部)에 수록되어 있다.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2년 8월 (제21호)

경전의 세계 (1)

1. 경전(經典)이란?

일반적으로 성인의 말씀을 기록한 책을 경(經)이라 한다. 경(經)이란 한자는 날줄(經絲)을 뜻하는 말인데 직물을 만들 때 날줄이 근본이 되고 여기에 씨줄을 넣어 짜서 되므로 근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은 근본진리를 가르치는 책이라는 뜻이다.

불교의 경은 팔리어(巴利語Pali)로는 ‘sutta’,범어(梵語Sanskrit)로는 ‘sutra’라 하는 것을 經이라는 한자로 번역되었다. ‘sutta’는 원래 힌두교의 성전으로 짤막하게 운문체 형식으로 쓰여진 글귀를 가리키는 말이었다고 한다.’ sutra’는 수다라(修多羅)라고 음사하는데 계경(契經)이라고 의역하다가 줄여 경이라 하였다.

2. 불경(佛經)의 성립(成立)

부처님이 성도한 후 곳곳을 다니면서 설법을 하여 교화활동을 시작하였다. 남전(南傳)에서는 35세에 성도하여 80세에 열반에 들어 45년간(현재 이 설이 채택 통일되었다) 설법을 하였다 하고 과거 북전(北傳)설에서는 30세에 성도하여 49년간 설법하고 열반에 들었다 하였다. 이렇게 부처님 생전에 설법해 놓은 것을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후 그 설법 내용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제자들에 의해 부처님 말씀을 정리하는 사업이 이루어졌는데 이것을 결집(結集:samgiti)라고 한다.

처음 제1결집은 부처님 열반 직후에 왕사성 밖의 칠엽굴(七葉窟)에서 행해졌다. 그때 가섭존자가 우두머리가 되어 500명 비구들이 모여 함께 결집을 했는데 아라이 경장(經藏)을, 우바리가 율장(律藏)을 송하여대중이 따라 합창하여 입으로 전하는 12부(部)를 결집한 것이다. 이것을 Samgiti라 하는데 뜻은 합송(合誦)이라는 뜻이다. 쉽게 말하면 노래 가사를 외워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되듯이 부처님의 설법 내용을 함께 합창하여 전하여 계승시킨다는 뜻이다.

제2결집은 불별 후 100년경에 행해졌다. 바이살리 성에서 700명의 비구들이 모여 계율을 바로잡기 위하여 행해졌는데 이 때를 기점으로 불교사에서 보면 교단이 상좌부, 대중부로 분열되어 나눠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 2회 결집까지는 부처님의 설법이 문자로 기록되지 않고 암송을 하였다가 다음 세대 제자들에게 전해져 구전(口傳)되는 형식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이 전해졌다.

제3회 결집은 2회결집 후 다시 100년쯤 뒤인 아소카 왕 때 이루어진다. 제수(帝須)를 중심으로 천명의 승려가 화씨성(華氏城)에 모여 한 결집으로 아소카 왕의 후원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비로소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하였는데 다라(多羅)나무의 잎인 패엽(貝葉)에 쓰여져 최초의 경전인 패엽경이 만들어졌다.

제4결집은 2세기 전반 대월지국의 카니쇼카 왕의 뒷받침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때는 부파불교가 형성된 때라 여러 부파들의 이설을 통일시키기 위하여 경장과 율장에 대한 많은 주석서가 만들어졌다. 다시 말해 삼장 가운데 논장(論藏)이 성립된 때다.

이 이후에도 불경성립은 계속되었다. 특히 기원전 2세기부터 시작되어 5세기에 이르기까지 대승경전이 성립되었다. 더욱이 불교가 각 나라로 전파됨에 따라 때와 장소에 따라 종파가 형성되고 그종파에 따른 소의경전(所衣經典)들이 성립 유통도기도 하였다.

3. 대장경에 대하여

불교관계의 모든 전적(典籍)을 총칭하여 대장경(大藏經)이라 한다. 또 모든 경전을 전부 포함하여 있다는 뜻에서 일체경(一切經)이라고도 한다. 여기에 주로 삼장(三藏)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상장(三藏)전체를 대장경이라 하기도 한다. 삼장(三藏)이란 경장(經藏), 율장(律藏), 논장(論藏)을 말하는데 장(藏)이란 저장하는 광주리라는 뜻으로 경(經)을 담은 것을 경장, 율(律)을 담은 것을 율장, 논(論)을 담은 것을 논장이라 하는 것이다.

경(經)이란 부처님이 가르친 교법상의 말씀이요 율(律)이란 부처님 제자 곧 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윤리 도덕적인 규범인 계율에 관한 말씀이다. 그리고 논(論)이란 경이나 율에 대하여 해석하여 보충 설명을 해 놓은 것이다.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2년 7월 (제20호)

2015년 11월 27일 불교뉴스

BBS뉴스

  1. 새정치, ‘신기남 아들 로스쿨 낙방 구제’ 논란 조사
  2. 경찰 "물대포에 플라스틱 조각" 허위사실 유포자 입건
  3. 경찰, 민주노총 경기본부 사무실 압수수색
  4. 김현웅 장관 "불법과 타협 없다..복면 폭력시위 처벌강화"
  5. 여야, 30일 한중FTA 비준 처리 시도 ‘입장차’
  6. 부산 동구에 ‘라이온스 사랑의 무료급식소’ 개소
  7. 따뜻한 솜이불로 전하는 자비나눔
  8. 부산 종교 지도자들이 내놓은 생명존중 대안은?
  9. 제석사 인근 아파트 건립 파장 확산..경산시 전통사찰 보존 의지 있나?
  10. 삼국유사 목판사업 본격화···군위에 ‘도감소’ 개소
  11. 의성 탑리오층석탑·안동 번남댁에서 문화재보수 공개 현장토론회
  12. 한중FTA, 30일 본회의 처리시도..與, ‘마지노선’ 野, ‘완전합의 아냐’
  13. 제47주년 군승의날 기념법회, 일산 여래사서 봉행(종합)
  14. 제7회 울산차문화한마당, 성황리 개최
  15. 군불교 47주년, 군포교 사명 재점검
  16. 인터넷은행 예비인가 결과 29일 전격 발표
  17. "北 반인권범죄 처벌 어려워…中 설득할 전략 필요"
  18. 월간 ‘대구문화’ 창간 30주년 특집호 발간···기념 ‘전시회·콘서트’ 열어
  19. 예천 신청사 실시설계 완료, 본격 시공 초읽기
  20. 영양 특산약초 ‘단삼’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
  21. 경북 ‘희망2016나눔캠페인’ 출범식···모금목표 124억9천만원
  22. 대구도시철도 건물 5곳 내진설계건축물 인증
  23. 영화 ‘암살’ 청룡영화제 최우수작품상
  24. 새누리당 조현룡 의원, 징역 5년 확정 의원직 상실
  25. 서울시, 28일 시민청 시민플라자서 ‘추억의 롤러장’ 운영
  26. 국토부, 서울 등 4개시 지속가능교통도시 대상 선정
  27. 정부 당국자 "차관급 당국회담 난항시 ‘2+2회담’ 격상 가능"
  28. 오늘 추위 절정, 전국 영하권 ‘전북, 폭설로 7개 학교 휴업’
  29. ‘장롱시신’ 살인범에게 징역 22년…"교활하다"
  30. 멧돼지 11마리, 먹이 찾으러 매립지 들어갔다 사살당해
  31. 임각수 괴산군수, ‘무소속 3선 신화’ → ‘3가지 재판 동시에 불명예 신화‘
  32. 속리산 법주사 동안거 입재 법회
  33. 외국인 매도에 코스피 소폭 하락 마감
  34. KTX 여승무원 34명 ‘해고무효’ 7년 소송… 결국 패소
  35.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시작, 쇼핑 열기 속 국내증시 영향 촉각
  36. 방통위, EBS 사장에 우종범 88관광개발 상임감사 선임
  37. 주한미군에 과다 보조금 준 LG유플러스, 과징금 1억9천
  38. 청와대 "한중 FTA 처리 본회의 취소 매우 유감"
  39. 조현아 ‘구치소 편의제공’ 브로커 징역 1년 2개월
  40. 한상균 "2차 총궐기 평화적 진행·이후 거취 결정"
  41. 고양 화정동 상가 밀집지역서 불…건물 전소
  42. 김영삼 전 대통령 영결식, 불교계 극락왕생 발원
  43. 화엄군포교후원회, 신임회장 일초 스님 추대
  44. 남북 ’12·11 차관급 당국회담’ 수석대표는 누구?
  45. 불교방송-대한불교 법화종 업무협약 체결
  46. 법화종 19대 총무원장 도성 스님 취임
  47. 부산시, 올해 노인장기요양기관 3개소 선정
  48. 김해림 프로-팬클럽, 30일 부산 박애원에 성금전달·자원봉사
  49. 공중전화 부스로 만든 ‘꼬맹이 도서관’, 부산 사하구에 문 열어
  50. 최경환,한중FTA 더이상 미뤄선 안돼.국회에 호소

불교닷컴

  1. 김건중 45일 단식…불자인 게 부끄러워
  2. “김건중 의지 강해…구조적 문제 개혁해야”
  3. “종교시설 공권력 투입은 정권 몰락의 길”
  4. 동국대, 사법시험 합격자 국내대학 7위
  5. “화쟁위 중재 받아들이면 자진출두…”
  6. 깡패와 검사의 말, 당신은 누구 말을 믿나
  7. “결단할 사람은 수불 아닌 일면 스님”
  8. “부처님 명호, 치부 막아주는 부적 아니다”
  9. 동국대 불교대학 졸업생 33명 “김건중 살려야”
  10. 한상균 위원장, 11시 거취표명
  11. “타자의 아픔에 공감, 생명살리기 동조단식”
  12. 수불스님 동국대 이사 사퇴 “생명이 존귀”
  13. 승려에게 맞아 이 4개 나가고 피오줌까지
  14. 상 받기 좋아하는 하도겸 박사

불교신문

  1. “군승들이 병사들 병영생활에 비타민 돼주길”
  2. 주지도 ‘수좌’…365일 정진하는 ‘전통’ 복원
  3. 법원, 총무원장 상대 장주스님이 제기한 소송 ‘기각’
  4. 긴장 속의 총본산…범법 옹호 아닌 약자 보호
  5. “2차 총궐기, 평화적으로 진행…화쟁위 중재 수용시 자진출두”
  6. 해인동문회 신임회장 동명스님 선출
  7. 조계총림 송광사 방장 보성스님 을미년 동안거 결제법어
  8. 지역주민 초청해 영산재 공연
  9. 천태종 삼광사 봉사 기부 등 자비 나눔 활동 강화

불교저널

  1. “조계종은 선학원에 관여말라”
  2. 수불 스님 동국대 이사 전격 사퇴
  3. 동서식품, 정릉3동 저소득가정에 연탄 배달
  4. “흥국사 사자탱화 왜 공개하지 않는가?”
  5. “평화와 상생 바라는 국민 염원 우선시해야”
  6. 상 받기를 좋아하는 하도겸 박사!

불교포커스

  1. 비판 막아놓고 평등하게 이야기하자, 기만입니다
  2. “조계종, 법적 분쟁 중지·선학원에 관여 말라”
  3. 빨리어는 빨리빨리?
  4. ‘약속 드립니다’ 장주스님 청구 손배소 기각
  5. 동국대비대위 “수불스님 아닌 일면스님 결단할 때”
  6. “노동법 개악시도 중단되면 기꺼이 자진 출두 할 것”
  7. 불교대졸업생 44명 “일면ㆍ보광스님 사퇴”
  8. 범계비구 힐난했던 부처님도 이교도인이 되는 것입니까?
  9. 동안거 결제 법어, 안방에서 시청한다
  10. 김건중을 벼랑 끝으로 내몬 이는 보광과 일면
  11. 흥국사탱화대책위 “불교중앙박물관, 탱화 공개하라”
  12. 수불스님 동국대이사 사퇴…지홍스님 행보에도 관심

불교플러스

  1. 수불스님, “김건중 군 단식 중단 요청” 동국대 이사직 사퇴의사

한국불교

  1. 한일불교계 “양국 청소년 문화교류 통해 유대 강화” 약속
  2. ‘2015 한국불교기자상’대상에 현대불교 신성민ㆍ노덕현 기자의 ‘광복 70년 불교 70년’
  3. ‘대한불교 사이버 전법단’ 12월 18일 출범식
  4. 진안 마이산탑사 · 쌍봉사, 어려운 이웃 위해 김장김치 담가 전달

현대불교

  1. ‘희귀’양식 조선불화 일본서 발견
  2. “〈조선불교총서〉 간행은 한·중·일 프로젝트”
  3. 〈한국불교전서〉 50권 출간 눈앞
  4. “탑돌이는 불교의식이자 민속문화”
  5. 성주 법수사지서 고려시대 건물 배치 확인
  6. “구인사 생전예수재, 보존 가치 충분”
  7. 올해의 불서 대상에 〈만해, 그날들〉 선정
  8. 태고종 새 종회의원 “종단 정상화” 결의
  9. “소통으로 종단발전 구심점 역할”
  10. “화엄경 80만자 새긴 화엄각 건립할 터”
  11. 위덕대, 日후쿠오카대와 교류협정
  12. 이스탄불 문화국장 초청 특강
  13. 원각사, 소외계층에게 장학금 전달
  14. 해인동문회, 동명 스님 제18대 회장 추대
  15. 절대 악과 선은 없으니, 중도 가르침 실천해야
  16. 장애인 복지의 선구자, 부처님
  17. “잊혀진 匠人 스님 찾아 알리는 데 평생을 바치렵니다”
  18. 전통 사찰 건축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지혜를
  19. ‘부처님꽃’ 생전예수재 장엄지화 한눈에
  20. BBS불교방송 신규프로그램 4편 선보여
  21. “대지가 깨달음의 증인… 모든 중생 구제하리라”
  22. “無求 씹으며 욕망의 끈 놓자 삶의 시야 확 트여”
  23. 여행기 안에 녹여낸 뉴요커와 승려 스토리
  24. 어떤 숨을 쉬며 살아갈 것인가?
  25. 붓다와 소크라테스 대화를 현재적 시점서 상상
  26. 쉽게 풀어쓴 일본 불교학자의〈화엄경〉 34품 이야기
  27. 생각 고문서 벗어나 일상서 마음 해탈하기
  28. 지혜를 얻으려면 나부터 먼저 알아야 지혜가 늘어가요!
  29. 조계종, 한상균 피신 ‘평화적 중재’ 나선다
  30.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영논리 안돼”
  31. 한상균 “화쟁위 중재 받아들이면 자진출두”
  32. 도봉서원 복원 불교 배제 논란
  33. 2017년부터 교과서 불교서술 대폭 확대
  34. “지역과 이웃, 종교간 화합과 소통에 동참할 것”

최종업데이트 : 2015-11-27, 11:18: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