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타락 (補陀落)

ⓢpotalaka 보타락가(補陀落伽) · 보달락가(補?洛迦) · 포달락가(布?洛迦) · 포다라(逋多羅) · 포타(逋多)라고도 쓰며, 광명(光明) · 해도(海島) · 소화수(小花樹)라 번역. 관세음보살이 계신다는 산 이름. 그 위치는 인도의 남해 봄베이 근방, 혹 중국 절강성 영파부의 남방 바다 가운데 있는 주산열도 중에 한 섬. 또는 서장 중부 납살(拉薩)에 있다고도 하며, 우리나라에는 강원도 낙산(洛山), 경기도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라고도 함.

상승 (相承)

사장(師匠)으로부터 제자에게 교법을 전해 주면 제자가 그대로 이어 가는 것. 대대로 이어감.

오종결계상 (五種結界相)

율종에서 수도할 때 허물을 적게 하기 위하여 작법(作法)으로써 일정한 지역을 구획하여 제한(結界)하는데 지역의 대 · 소 · 광 · 협에 따라 제한 구역의 지형에 5종의 구별이 있는 것. 곧 방상(方相) · 원상(圓相) · 고형상(鼓形相) · 반월상(半月相) · 삼각상(三角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