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영동군 북쪽에 있던 절.
[카테고리:] 불교용어
횡념도용 (橫拈倒用)
염과 용은 다룬다는 뜻. 횡과 도는 종(縱)과 횡(橫), 또는 순(順)과 역(逆)이니, 자유 자재하다는 뜻. 납자들을 제접하는 종사(宗師)의 수단이 자유 자재한 것.
금강 (金剛)
ⓢ vajra 발절라(跋折羅) · 발사라(跋?羅) · 발왈라(跋曰羅) · 벌절라(伐折羅) · 박왈라(?曰?)라 음역. 금속 중에 가장 굳다는 뜻. (1) 무기. 제석(帝釋)과 밀적력사(密迹力士) 등이 가지는 금강저(杵). ⇒금강저 (2) 금강석을 말함. 투명하여 빛깔이 없고, 환한 빛이 휘황찬란하여 햇볕에는 여러 가지 빛깔을 나타내고, 밤에는 형광(螢光)을 발하는 보석으로, 청 · 황 · 적 · 백 · 벽(碧) 등의 빛깔도 있다.… 금강 (金剛)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