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듣고 싶은 고승들의 주옥같은 법문 – 제01회 청화 스님
다시 듣고 싶은 고승들의 주옥같은 법문 – 제01회 청화 스님
불교자료창고
다시 듣고 싶은 고승들의 주옥같은 법문 – 제01회 청화 스님
우리는 왜 불교공부를 해야하는가?
“백일법문 재가논강”의 오대산 월정사 수련회에서 하신 법문
이번 “백일법문”공부를 하면서 여러 차례 말씀드렸습니다만,
우리가 “백일법문”을 공부하는 목적이 무엇입니까?
왜 우리는 불교를 공부해야 하는가?
이 공부하는 이유를 분명히 알아야 공부도 잘 되고
불교가 생활에 도움이 됩니다.
저는 선(禪)을 한 입장이니까,
선의 입장에서 “왜 불교 공부를 하느냐?”에 답을 드린다면,
“우리가 부처다, 내가 부처다”는 것을 알고 믿어
“부처가 되기 위해 공부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본래 부처입니다.
이 말을 듣고 바로 안 사람도 있을 겁니다만,
대부분 그렇지 못할 것입니다.
도대체 왜 우리가 부처입니까?
부처라는 것이 도대체 뭐냐? 왜 필요한가?
이 점을 먼저 알아봅시다.
이 지구상에는 수 많은 대립과 갈등,
전쟁이 있습니다. 개인, 이웃, 사회, 인종, 민족,
종교 갈등도 그 중에 하나입니다.
우리 나라에 갈등도 엄청나게 많지요.
진보와 보수, 성장과 분배, 노와 사, 남과 북 …
그런데 우리가 부처란 것을 이해하게 되면
이런 모든 갈등이 하루 아침에 해결된다는 것입니다.
옛날 중국에 운문스님이란 분이 계셨는데
그 분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우리가 부처라는 것을 이해하면
“매일 매일 좋은날이다”
우리가 부처인 것을 알아 부처되기 위해 공부한다.
그런데 우리가 부처란 것을 알아
이런 모든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불교 안에서도
갈등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가끔씩 일어나는 총무원의 각목 싸움뿐만 아니라
선과 교의 갈등, 선과 위빠사나, 염불, 주력 등등의
분열과 갈등은 참 희한한 일입니다.
왜 그럴까요? 불교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불교를 바르게 이해하여 자기가 부처라는 것을 안다면
부처와 부처가 어떻게 싸우겠습니까?
자기가 부처인줄 모르기 때문에 싸웁니다.
우리가 가정으로 돌아와 보면
부부 사이에도 싸웁니다. 부모와 자녀도 그렇습니다.
형제간에도 그렇지요.
또 자기 자신과도 분열하고 갈등하는 일도 많습니다.
서로 학대하고 상처를 주고받으며
반목하고 무시합니다.
상대와 대립 갈등이 끊이지 않습니다.
왜 우리는 부처라 하는데 이렇게 싸울까요?
우리의 의식구조가 그렇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우리 의식구조의 본질이
진짜 대립 갈등하는 구조이냐? 그건 아닙니다.
그것은 착각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우리의 존재 원리를 바로 이해하면
이 착각에서 깨어날 수 있습니다.
대립 갈등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존재 원리가 바로
“중도연기(中道緣起)”입니다.
중도연기를 이해하면 통일이 되어 반목과 질시,
무시, 억압, 차별하지 않게 됩니다.
우리가 바로 이 중도연기를 이해하면
우리의 존재원리가 이미 통일되어 있고
완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다만, 우리가 착각에 빠져
“나”에 집착하기 때문에 괴롭게 살고
대립과 갈등 그리고 전쟁까지 하게 된다는 겁니다.
우리의 존재 원리인 중도연기를 이해하면
우리가 본래 부처라는 것,
내가 부처라는 것도 알게 됩니다.
바로 우리가 부처라는 것을 알기 위해,
중도연기를 이해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백일법문』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백일법문』을 공부하는 이유는
내가 부처라는 것을 빨리 알기 위해 공부하는 것입니다.
『백일법문』을 통해 내가 부처라는 것을
이해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남는 시간은
실천해서 체험하는데 투자하자는 것입니다.
저는 출가한지 40년이 넘습니다만,
출가해서 이것을 이해하는데
너무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정열을 바쳤습니다.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았으니까요.
그런데 이것을 이해하고 보니까,
알고 보니까 굉장히 억울하데요.
이렇게 간단한 것을 알기 위해 내가
“그 수 많은 시간을 보냈구나!”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이것을 이해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백일법문』을 읽고 “중도연기”를 이해하면
그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시간을 절약해서 실천 수행 즉,
참선을 하면서 사회 봉사도 하고
남에게 도움을 줄 수가 있습니다.
불교를 이해하고 믿으면 매일매일 좋은날이 된다.
제가 불교를 이해하고 믿으면
매일매일 좋은 날이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왜 가능할까요? 간단합니다.
“중도연기”만 이해하면 매일매일 좋은 날이 됩니다.
그럼 “중도연기”가 무엇일까요?
먼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어떤 물체이든 단일로 존재하는 것은 없다는 것이
현대 물리학의 연구 성과라고 합니다.
이 세상에 최소 물질이란 것도 2~3가지
물체가 결합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것이 연기(緣起)라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우리가 사는 집이란 것도 아파트이든
단독 주택이든 실제로 집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
수백 가지 재료가 얽혀서 집이 된 것이죠.
집이 독립되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아침 저녁으로 독송하는
반야심경에 “오온개공(五蘊皆空)”이 나옵니다.
“다섯 가지 쌓임이 모두 공이다”하지요.
보고, 듣고, 느끼고, 행동하고,
생각하는 것이 모두 공이라는 겁니다.
그러니 집이란 것도 독립된 실체가 없는 겁니다.
이 세상에 모든 물질이 이와 같아서
서로서로 의지하여 존재합니다.
이것을 “우주 만물이 연기(緣起)로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우주 만물에 나도 포함되어 있으니
나도 연기로 존재할 뿐입니다.
인간의 몸은 수십조의 세포가 결합하여 생긴겁니다.
이 수십조 세포가 결합하여
정신 작용을 나타내니 이것이 마음입니다.
그래서 서로서로 의존하여 존재한다 하여
연기로 존재한다는 겁니다.
내가 연기로 존재한다는 존재 원리를 알게 되면,
나를 사랑하는 것이 남을 사랑하는 것이요.
남을 사랑하는 것이 나를 사랑하는 것임을 알게 됩니다.
중도연기를 이해하면 모두가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모두가 하나라는 것을 알지 못하니
나와 남을 차별하고 진보다 보수다,
옳다 그르다 시비분별이 끊이질 않습니다.
이 연기를 이해한 것을
“양변을 여읜 자성 자리”라 합니다.
양변을 여읜 자성 자리를 깨치면
우리 모두 부처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세상에 많은 종교가 있지만,
연기를 이야기한 종교는 불교 밖에 없습니다.
이 불교의 양변을 여읜 자리는
부처도 부정하고 중생도 부정합니다.
양변을 여읜 자리에는 부처도 중생도 차별하지 않습니다.
모두 하나입니다.
남녀간에 사랑도 마찬가지입니다.
요즘 사람들은 잘 쓰지 않습니다만,
“은애(恩愛)”라는 좋은 말이 있습니다.
서로 서로 위해주고 사랑한다는 말이죠.
서로 위해주고 고맙게 생각하며 사랑한다면
이혼할 일이 없겠지요.
우리 나라 이혼율이 세계 1위라는데
한 번 생각해 볼 일입니다.
이 지구상에 대립과 갈등,
전쟁이 지속되고 심화되는 것은
“내가 있다”고 생각하는 구조 때문인데요,
더 심화될 것입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선
“내가 없다”는 연기(緣起)사상을 널리 알려야 합니다.
그런데 이 연기를 이해하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립니다.
스님들은 평생을 보내고도 알지 못하고
가는 사람이 많을 정도입니다.
그래서 『백일법문』을 보라고 하는 겁니다.
200페이지 정도, 그것도 많습니다.
100페이지 정도만 이해할 때까지 반복해서 읽으면
어느 날 이해가 됩니다.
기독교인들은 성경을 평생 읽지 않습니까?
『백일법문』100페이지까지는 5~10번까지만 읽으면
아무리 둔한 사람도 이해할 수가 있습니다.
이 “연기”를 체험하는 가장 빠른 길이
참선(參禪)입니다. 그중에서도 화두 참선이
가장 빨리 가는 길입니다.
혹 참선이 어려워 공부가 잘 안되는 분은
염불, 위빠사나, 절, 봉사 등 다른 공부를 하시되
자기를 비우는 공부는 다 불교 수행입니다.
양변을 여의어 가고, 착각을 비워가는 겁니다.
그래서 해를 가리는 구름이
조금씩 조금씩 엷어 가는 겁니다.
불교 수행은 뭘 쌓는 공부가 아니라
비우는 공부입니다.
자기를 비우면,
남을 위해 주고 도와주고 자상하게 됩니다.
“연기”를 이해하기 위해
『백일법문』을 다시 보세요.
이 존재 원리를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해하게 되면 그 이전과 이후의 삶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러면 굉장히 회한을 느끼고 눈물이 나올겁니다.
회한의 눈물입니다. 내가 왜 그렇게
나에 집착하여 남을 미워하고 살았나!
선과 교는 하나다.
남과 대립하는 사람은 불교를 모르는 사람이다.
불교의 선(禪)과 교(敎)는 다른 게 아닙니다.
같습니다. 교는 양변을 여읜 자리를
논리로 이해하자는 것이고,
선은 여읜 자리를 논리를 초월하여
체험하자는 겁니다. 결국 같은 겁니다.
이것에 벽을 두는 사람은 불교를 모르는 사람입니다.
원리를 모르는 사람입니다.
불교를 이해하고 믿는 사람이라면 그러면 안됩니다.
선과 교의 차별도, 부처와 중생의 차별도,
간화선과 위빠사나의 차별도 해서는 안됩니다.
그런데 흔히 참선하는 사람들은
목에다 힘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이것을 목에 깁스를 하는 것이라 합니다.
이것은 참선 원리를 모르는 사람이나 하는 짓입니다.
양변을 떠나자는 사람이 거꾸로 양변으로 가는 겁니다.
잘못된 것이죠. 평등합니다.
차별하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불교를 공부하면
우주의 존재 원리가 연기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연기를 알면 이 세상에 독립된 내가 따로 없고
나와 남이 하나임을 알게 됩니다.
그러면 남과 대립 갈등하지 않게 됩니다.
우리가 이미 부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서로서로 돕고 협력하여
자기 하는 일의 가치와 의미를 알게 되어
무한 경쟁이 아니라 무한 향상으로 갈 수 있게 됩니다.
출처 : 달마넷
우리는 왜 불교 공부를 해야 하는가?
이번 “백일법문”공부를 하면서 여러 차례 말씀드렸습니다만, 우리가 “백일법문”을 공부하는 목적이 무엇입니까? 왜 우리는 불교를 공부해야 하는가? 이 공부하는 이유를 분명히 알아야 공부도 잘 되고 불교가 생활에 도움이 됩니다.
저는 선(禪)을 한 입장이니까, 선의 입장에서 “왜 불교 공부를 하느냐?”에 답을 드린다면, “우리가 부처다, 내가 부처다”는 것을 알고 믿어 “부처가 되기 위해 공부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본래 부처입니다. 이 말을 듣고 바로 안 사람도 있을 겁니다만, 대부분 그렇지 못할 것입니다. 도대체 왜 우리가 부처입니까? 부처라는 것이 도대체 뭐냐? 왜 필요한가? 이 점을 먼저 알아봅시다.
이 지구상에는 수 많은 대립과 갈등, 전쟁이 있습니다. 개인, 이웃, 사회, 인종, 민족, 종교 갈등도 그 중에 하나입니다. 우리 나라에 갈등도 엄청나게 많지요. 진보와 보수, 성장과 분배, 노와사, 남과 북 …
그런데 우리가 부처란 것을 이해하게 되면 이런 모든 갈등이 하루 아침에 해결된다는 것입니다. 옛날 중국에 운문스님이란 분이 계셨는데 그 분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우리가 부처라는 것을 이해하면 “매일 매일 좋은날이다”
우리가 부처인 것을 알아 부처되기 위해 공부한다.
그런데 우리가 부처란 것을 알아 이런 모든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불교 안에서도 갈등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가끔씩 일어나는 총무원의 각목 싸움뿐만 아니라 선과 교의 갈등, 선과 위빠사나, 염불, 주력 등등의 분열과 갈등은 참 희한한 일입니다.
왜 그럴까요? 불교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불교를 바르게 이해하여 자기가 부처라는 것을 안다면 부처와 부처가 어떻게 싸우겠습니까? 자기가 부처인줄 모르기 때문에 싸웁니다.
우리가 가정으로 돌아와 보면 부부 사이에도 싸웁니다. 부모와 자녀도 그렇습니다. 형제간에도 그렇지요. 또 자기 자신과도 분열하고 갈등하는 일도 많습니다. 서로 학대하고 상처를 주고받으며 반목하고 무시합니다. 상대와 대립 갈등이 끊이지 않습니다.
왜 우리는 부처라 하는데 이렇게 싸울까요? 우리의 의식구조가 그렇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우리 의식구조의 본질이 진짜 대립 갈등하는 구조이냐? 그건 아닙니다. 그것은 착각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우리의 존재 원리를 바로 이해하면 이 착각에서 깨어날 수 있습니다. 대립 갈등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존재 원리가 바로 “중도연기(中道緣起)”입니다. 중도연기를 이해하면 통일이 되어 반목과 질시, 무시, 억압, 차별하지 않게 됩니다. 우리가 바로 이 중도연기를 이해하면 우리의 존재원리가 이미 통일되어 있고 완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다만, 우리가 착각에 빠져 “나”에집착하기 때문에 괴롭게 살고 대립과 갈등 그리고 전쟁까지 하게 된다는 겁니다.
우리의 존재 원리인 중도연기를 이해하면 우리가 본래 부처라는 것, 내가 부처라는 것도 알게 됩니다. 바로 우리가 부처라는 것을 알기 위해, 중도연기를 이해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백일법문』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백일법문』을 공부하는 이유는 내가 부처라는 것을 빨리 알기 위해 공부하는 것입니다. 『백일법문』을 통해 내가 부처라는 것을 이해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남는 시간은 실천해서체험하는데 투자하자는 것입니다.
저는 출가한지 40년이 넘습니다만, 출가해서 이것을 이해하는데 너무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정열을 바쳤습니다.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았으니까요. 그런데 이것을 이해하고 보니까, 알고 보니까 굉장히 억울하데요. 이렇게 간단한 것을 알기 위해 내가 “그 수 많은 시간을 보냈구나!”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이것을 이해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백일법문』을 읽고 “중도연기”를 이해하면 그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시간을 절약해서 실천 수행 즉, 참선을 하면서 사회봉사도 하고 남에게 도움을 줄 수가 있습니다.
불교를 이해하고 믿으면 매일매일 좋은날이 된다
제가 불교를 이해하고 믿으면 매일매일 좋은 날이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왜 가능할까요? 간단합니다.“중도연기”만 이해하면 매일매일 좋은 날이 됩니다.
그럼 “중도연기”가 무엇일까요?
먼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어떤 물체이든 단일로 존재하는 것은 없다는 것이 현대 물리학의 연구성과라고 합니다. 이 세상에 최소 물질이란 것도 2~3가지 물체가 결합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것이 연기(緣起)라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우리가 사는 집이란 것도 아파트이든 단독 주택이든 실제로 집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 수백 가지 재료가 얽혀서 집이 된 것이죠. 집이 독립되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아침 저녁으로 독송하는 <반야심경>에 “오온개공(五蘊皆空)”이 나옵니다. “다섯 가지 쌓임이 모두 공이다”하지요. 보고, 듣고, 느끼고, 행동하고, 생각하는 것이 모두 공이라는 겁니다.그러니 집이란 것도 독립된 실체가 없는 겁니다. 이 세상에 모든 물질이 이와 같아서 서로서로의지하여 존재합니다. 이것을 “우주 만물이 연기(緣起)로 존재한다”고 말합니다. 우주 만물에 나도 포함되어 있으니 나도 연기로 존재할 뿐입니다. 인간의 몸은 수십조의 세포가 결합하여 생긴겁니다. 이 수십조 세포가 결합하여 정신 작용을 나타내니 이것이 마음입니다. 그래서 서로서로의존하여 존재한다 하여 연기로 존재한다는 겁니다.
내가 연기로 존재한다는 존재 원리를 알게 되면, 나를 사랑하는 것이 남을 사랑하는 것이요. 남을 사랑하는 것이 나를 사랑하는 것임을 알게 됩니다. 중도연기를 이해하면 모두가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모두가 하나라는 것을 알지 못하니 나와 남을 차별하고 진보다 보수다, 옳다 그르다 시비분별이 끊이질 않습니다. 이 연기를 이해한 것을 “양변을 여읜 자성 자리”라 합니다. 양변을 여읜 자성 자리를 깨치면 우리 모두 부처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세상에 많은 종교가 있지만, 연기를 이야기한 종교는 불교 밖에 없습니다. 이 불교의 양변을여읜 자리는 부처도 부정하고 중생도 부정합니다. 양변을 여읜 자리에는 부처도 중생도 차별하지 않습니다. 모두 하나입니다.
남녀간에 사랑도 마찬가지입니다. 요즘 사람들은 잘 쓰지 않습니다만, “은애(恩愛)”라는 좋은 말이 있습니다. 서로 서로 위해주고 사랑한다는 말이죠. 서로 위해주고 고맙게 생각하며 사랑한다면 이혼할 일이 없겠지요. 우리 나라 이혼율이 세계 1위라는데 한 번 생각해 볼 일입니다.
이 지구상에 대립과 갈등, 전쟁이 지속되고 심화되는 것은 “내가 있다”고 생각하는 구조 때문인데요, 더 심화될 것입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선 “내가 없다”는 연기(緣起)사상을 널리 알려야 합니다. 그런데 이 연기를 이해하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립니다. 스님들은 평생을 보내고도 알지 못하고 가는 사람이 많을 정도입니다. 그래서 『백일법문』을 보라고 하는 겁니다. 200페이지 정도, 그것도 많습니다. 100페이지 정도만 이해할 때까지 반복해서 읽으면 어느 날 이해가 됩니다. 기독교인들은 <성경>을 평생 읽지 않습니까? 『백일법문』100페이지까지는 5~10번까지만 읽으면 아무리 둔한 사람도 이해할 수가 있습니다.
이 “연기”를 체험하는 가장 빠른 길이 참선(參禪)입니다. 그중에서도 화두 참선이 가장 빨리 가는 길입니다. 혹 참선이 어려워 공부가 잘 안되는 분은 염불, 위빠사나, 절, 봉사 등 다른 공부를 하시되 자기를 비우는 공부는 다 불교 수행입니다. 양변을 여의어 가고, 착각을 비워가는 겁니다. 그래서 해를 가리는 구름이 조금씩 조금씩 엷어 가는 겁니다. 불교 수행은 뭘 쌓는 공부가 아니라 비우는 공부입니다. 자기를 비우면, 남을 위해 주고 도와주고 자상하게 됩니다.
“연기”를 이해하기 위해 『백일법문』을 다시 보세요. 이 존재 원리를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해하게 되면 그 이전과 이후의 삶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러면 굉장히 회한을 느끼고 눈물이 나올겁니다. 회한의 눈물입니다. 내가 왜 그렇게 나에 집착하여 남을 미워하고 살았나!
선과 교는 하나다. 남과 대립하는 사람은 불교를 모르는 사람이다.
불교의 선(禪)과 교(敎)는 다른 게 아닙니다. 같습니다. 교는 양변을 여읜 자리를 논리로 이해하자는 것이고, 선은 여읜 자리를 논리를 초월하여 체험하자는 겁니다. 결국 같은 겁니다. 이것에벽을 두는 사람은 불교를 모르는 사람입니다. 원리를 모르는 사람입니다. 불교를 이해하고 믿는사람이라면 그러면 안됩니다. 선과 교의 차별도, 부처와 중생의 차별도, 간화선과 위빠사나의 차별도 해서는 안됩니다.
그런데 흔히 참선하는 사람들은 목에다 힘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이것을 목에 깁스를 하는 것이라 합니다. 이것은 참선 원리를 모르는 사람이나 하는 짓입니다. 양변을 떠나자는 사람이 거꾸로 양변으로 가는 겁니다. 잘못된 것이죠. 평등합니다. 차별하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불교를 공부하면 우주의 존재 원리가 연기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연기를 알면이 세상에 독립된 내가 따로 없고 나와 남이 하나임을 알게 됩니다. 그러면 남과 대립 갈등하지않게 됩니다. 우리가 이미 부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서로서로 돕고 협력하여 자기하는 일의 가치와 의미를 알게 되어 무한 경쟁이 아니라 무한 향상으로 갈 수 있게 됩니다.
[태백산 선지식께서 중앙신도회 주최 “백일법문 재가논강”의 오대산 월정사 수련회에서 하신 법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