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 (1)대승불교가 일어난 배경

석가모니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후 100년쯤 지나 불교 교단이 분열되기 시작하였다. 기원전 4세기 무렵이었다. 계율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보수파와 진보파의 두 파가 나누어지기 시작한 것이 교단분열의 시초였다. 부처님이 열반에 드시기 전 아란존자가 부처님께 질문을 하였다. 부처님의 열반에 드신 후에 누구를 의지하여 수행을 해야 하는가 하는 질문이었다. 부처님은 이때 자신을 등불로 삼고 법을 등불로 삼아 수행하라고 하였다. 이른바 자등명(自燈明) 법등명(法燈明)의 가르침이었다. 아울러 계율을 지켜 이 계율을 스승으로 삼아 수행하라 하였다. 이는 부처님이 제자들에게 남긴 최후의 유언이라 할 수 있는 말씀이었다.

부처님이 열반에 든 후 제자들은 부처님이 가르친 교법의 말씀과 계율에 관한 것을 정리하여 이것으로 수행의 지침을 삼고자 하였다. 그러다 시간이 점점 지남에 따라 부처님의 교법과 계율을 해석하고 실천하는데 입장을 달리하는 견해가 나오게 되었다. 그것은 불교가 여러 지방으로 퍼져 전파 범위가 넓어지고 시대 사정이 조금씩 변함에 따라 기후나 풍습 그리고 생활습관의 차이가 생기고 이러한 영향이 출가 수행자들에게도 미치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부처님의 교법과 율에 대한 이설(異說)이 생겨나 교단이 하나로 통일되지 못하고 분파가 생기게 된 것이다. 이를테면 출가 수행자인 비구들은 신도들로부터 금이나 은 따위의 보시를 받아서는 안 되는 것이었지만 일부 비구들은 물질적 가치가 커져 가는 시대변화에 부응하여 그것을 받아도 무방한 것으로 하자고 주장하면서 이 계율의 완화를 주장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전통적인 계율을 고수하려는 보수적인 경향을 띤 상좌부(上座部:Theravada)와 율 조항을 융통시켜 새로이 해석하려는 진보적 경향을 띤 대중부(大衆部:Mahasamghika)로 나누어지게 된 것이다. 이를 근본 분열이라 하였다.

그후 다시 교법상의 해석을 둘러싸고 또는 유력한 스승의 지도에 따른 수행가풍의 차이와 지리적 거점에 따라 근본 분열한 두 파가 다시 12파와 8파로 나누어져 도합 20부파가 생기게 되었다. 이 시기의 불교를 부파불교라 부르게 되었고 분열 이전의 불교를 근본불교, 원시불교 또는 초기불교라 부르게 되었다.

부파불교 시대에 접어들면서 불교의 교리전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여러 가지 이론들이 성립하였다. 이때 부처님 가르침 전반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고 논의하여 아비다르마(Abhidharma:阿毘達磨)라는 논서(論書)가 나와 불교의 교법을 방대하게 종합 정리하게 되었는데 이 시기의 불교를 논서의 이름을 따서 아비달마불교라 하기고 한다. 아비달마란 ‘교법에 대하여’ 라는 뜻으로 대법(對法)이라 번역된다. 부파불교라는 말이 교단의 분열된 형태를 나타내는 말인 반면 아비달마는 그들이 주장하는 교법상의 이론을 사상적으로 종합해 놓은 형태라 할 수 있다.

초기불교의 부처님 교설이 주로 무상(無常)하다, 괴로움(苦)이다, 무아(無我)이다 라는 말로 요약되고 인연으로 이루어진 모든 존재를 5온(五蘊), 12처(十二處), 18계(十八界)로 설명하였지만 아비달마불교에서는 이를 더욱 세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 설명하여 다분히 사변적인데 치우친 이론이 많이 등장하였다. 물론 이 아비달마는 교법을 학문적으로 철학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는 되었지만 번쇄한 이론이 오히려 수행의 어려움을 낳고 또 부파간의 불필요한 논쟁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특히 난해한 교리와 엄격한 계율을 요구하는 출가 중심의 수행자들 외에 부처님에 대한 소박한 믿음을 갖고 있던 재가자들은 부처님에 대한 정의적(情意的)인 마음의 교류를 얻고 싶어 일부 출가자들과 함께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한 스뚜파(stupa)를 찾아 예배 공경하는 풍습이 생겼다. 다시 말하면 사변적인 교리에 입각하여 불교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불탑에 대한 신앙심을 일으켜 부처님 행적이 남아 있는 곳에 탑을 세우고 또 그러한 곳을 순례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례들은 불교의 신행을 일반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실천하는 불교의 종교적 관습을 새로 형성하게 된 것이다. 이 무렵 많은 불탑이 건립되고 또 여기에 꽃이나 향 등이 바쳐지고 때로는 귀중한 보물이나 귀금속 등도 바쳐졌다.

이렇게 불탑이 숭배되면서 부처님을 더욱 신성시하여 마침내 중생을 구제하는 이로 받들어 부처님의 격을 한층 더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최고의 수행자로서 이상적인 수행의 모범을 보여준 부처님이 탁월한 능력의 소유자로 모든 사람들에게 이익을 제공해 주는 구세불(救世佛)로 그 이미지 변화를 가져오게 된 것이다. 이러한 배경을 통해 새로운 불교운동이 서서히 일어나게 되었다.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2년 4월 (제5호)

경전의 세계 (2)

대장경(大藏經)을 줄여서 ‘장경(藏經)’이라고도 하는데 이 장경(藏經)이 어떤 언어로써 성문화되었느냐에 따라서 그 종류가 나누어진다.

① 팔리어 장경(巴利語 藏經)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는 많은 민족이 공존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언어의 종류가 많은 곳이다. 그 중에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는 대표적인 것이 팔리어(Pali)와 범어(梵語, Sanskrit)이다. 부처님 자신이 사용하였던 언어는 마가다(Magadha)어 혹은 프라크리트(Prakrit)어였다고도 하는데 부처님의 입멸 후 경전이 결집될 때 처음 사용되었던 언어가 팔리어(巴利語, Pali)였다. 그리하여 팔리어 장경이 먼저 완성된다. 팔리어란 인도 고대 사회의 서민들이 쓰던 언어인데 이 언어로 편찬된 경을 팔리어 장경이라 부르며 현재 스리랑카(Sri Lanka), 타이(Thailand), 미얀마(Myanmar) 등 남방의 여러 나라에 전해지는 경전이다. 남방에 전해진 경이라 하여 남전장경(南傳藏經)이라고도 한다.

팔리어 경전은 보통 5부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 장부(長部)·중부(中部)·상응부(相應部)·증지부(增支部)·소부(小部)이다. 이 5부 중 장부(長部), 중부(中部), 상응부(相應部), 증지부(增支部)는 한역 경전 4아함(四阿含)의 과거의 것과 비슷한 내용이다.

② 범어 장경(梵語 藏經)

팔리어 경전에 이어 범어 경전이 이루어진 것은 인도 카니슈카왕 때 카슈밀 지방에서였다. 불교경전편찬회의에서 범어를 불교 성전어로 한다는 결의를 하고 이어 범본(梵本) 경전을 편찬한 것이다. 범어는 팔리어와는 달리 인도의 상류층이 사용하던 언어인데 이 범본 경전이 중국으로 전해져 나중에 한역 경전의 번역 시에 대본이 된다.

③ 서장어 장경(西藏語 藏經)

불교가 북쪽으로 전해져 중국에 오기까지 티베트를 경유하게 되었는데 티베트에서도 불경을 번역하여 장경을 완성하였다. 대략 7세기 전반에 송첸감포(srong-btsan sgam-po, 松贊干布, 617년∼650년)라는 티베트의 왕이 승려를 인도에 파견하여 인도 어문을 배워 오게 해서 역경사업(譯經事業)을 벌렸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범어를 번역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티베트어로 번역하였기 때문에 준범어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한다.

④ 한역 장경(漢譯 藏經)

중국은 한무제(漢武帝) 이래 여러 차례 인도와 문화교류를 하여 오다가 4세기경 동진 때부터 왕조의 뒷받침으로 여러 차례 대대적인 역경 사업이 추진되었다. 인도에서 건너 온 승려들이 중국에 남아 많은 역경 사업에 종사하였다. 대표적인 인물이 구마라집(鳩摩羅什, Kum?raj?va)이나 진제(眞諦, Param?rtha) 삼장(三藏) 같은 사람이며, 당나라 때의 현장(玄裝) 삼장은 불세출의 역경가였다. 이들의 공로로 한역 장경이 완비되었고, 송나라 때에 와서는 경판으로 새겨져 『관판대장경(官版大藏經)』 또는 『개보판대장경(開寶版大藏經)』이라는 훌륭한 문화유산이 남겨지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이 팔리어 장경, 범어 장경, 티베트어 장경, 한역 장경으로 경전이 나라에 따라 유통되다가 현대에 와서는 서양의 영어나 일본어, 또 우리나라의 경우 한역을 한글로 번역한 우리말 경전 등 여러 종류의 경전이 있게 되었다.

한역 대장경 중 우리나라의 『고려대장경』의 우수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같은 한문권인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장경 중 단연 백미라 할 수 있는 찬란한 문화유산이다. 중국에서는 역대 왕조 중 북송 때부터 목판대장경을 조성하여 북송판 금판을 위시해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때 만들어진 장경들이 산재하여 전해지고 있다. 이웃 나라 일본에서는 불교의 학문적 연구가 활발해 활자(活字)로 간행된 『신수대장경(新修大藏經)』이란 장경이 1900년대에 들어와 편찬되어 현재 가장 많은 양을 수록하고 있다.

불경의 양(量)은 얼마나 되는가?

삼장(三藏)을 합한 불전의 양은 실로 엄청나게 많다. 타종교의 전적(典籍)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양의 전적을 가지고 있는 종교가 불교이다. 흔히 우리는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라는 말을 자주 한다. 또 부처님 설법 전체를 ‘팔만 사천 법문’이라 하기도 한다. 여기서 ‘팔만 사천’은 인도 사람들이 곧잘 써서 나타내는 ‘대수’ 혹은 ‘만수’의 의미가 들어 있다. 다시 말해 많다는 수치를 8만 4천으로 표현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실제로 대장경에 수록된 경전의 양은 얼마나 될까? 장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 『고려대장경』의 경우 목판의 판수가 81,258장이다. 그리고 경전의 종류별인 부수가 1,514부이며 권수(卷數)로 되어 있는 수효는 모두 6,805권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1,514종류의 경전 6,805권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일본에서 근대에 와서 활자로 편찬한 『신수대장경』의 경우 2,236부의 경 종류에 9,006권이나 된다. 물론 이러한 숫자 안에는 불교에 관한 역사를 기술하고 있는 책과 각 나라의 고승전 같은 것도 포함되어 있다. 『신수대장경』의 경우 우리나라의 『삼국유사』나 『해동고승전』 등도 사전부(史傳部)에 수록되어 있다.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2년 8월 (제21호)

경전의 세계 (1)

1. 경전(經典)이란?

일반적으로 성인의 말씀을 기록한 책을 경(經)이라 한다. 경(經)이란 한자는 날줄(經絲)을 뜻하는 말인데 직물을 만들 때 날줄이 근본이 되고 여기에 씨줄을 넣어 짜서 되므로 근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은 근본진리를 가르치는 책이라는 뜻이다.

불교의 경은 팔리어(巴利語Pali)로는 ‘sutta’,범어(梵語Sanskrit)로는 ‘sutra’라 하는 것을 經이라는 한자로 번역되었다. ‘sutta’는 원래 힌두교의 성전으로 짤막하게 운문체 형식으로 쓰여진 글귀를 가리키는 말이었다고 한다.’ sutra’는 수다라(修多羅)라고 음사하는데 계경(契經)이라고 의역하다가 줄여 경이라 하였다.

2. 불경(佛經)의 성립(成立)

부처님이 성도한 후 곳곳을 다니면서 설법을 하여 교화활동을 시작하였다. 남전(南傳)에서는 35세에 성도하여 80세에 열반에 들어 45년간(현재 이 설이 채택 통일되었다) 설법을 하였다 하고 과거 북전(北傳)설에서는 30세에 성도하여 49년간 설법하고 열반에 들었다 하였다. 이렇게 부처님 생전에 설법해 놓은 것을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후 그 설법 내용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제자들에 의해 부처님 말씀을 정리하는 사업이 이루어졌는데 이것을 결집(結集:samgiti)라고 한다.

처음 제1결집은 부처님 열반 직후에 왕사성 밖의 칠엽굴(七葉窟)에서 행해졌다. 그때 가섭존자가 우두머리가 되어 500명 비구들이 모여 함께 결집을 했는데 아라이 경장(經藏)을, 우바리가 율장(律藏)을 송하여대중이 따라 합창하여 입으로 전하는 12부(部)를 결집한 것이다. 이것을 Samgiti라 하는데 뜻은 합송(合誦)이라는 뜻이다. 쉽게 말하면 노래 가사를 외워 노래를 부를 수 있게 되듯이 부처님의 설법 내용을 함께 합창하여 전하여 계승시킨다는 뜻이다.

제2결집은 불별 후 100년경에 행해졌다. 바이살리 성에서 700명의 비구들이 모여 계율을 바로잡기 위하여 행해졌는데 이 때를 기점으로 불교사에서 보면 교단이 상좌부, 대중부로 분열되어 나눠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 2회 결집까지는 부처님의 설법이 문자로 기록되지 않고 암송을 하였다가 다음 세대 제자들에게 전해져 구전(口傳)되는 형식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이 전해졌다.

제3회 결집은 2회결집 후 다시 100년쯤 뒤인 아소카 왕 때 이루어진다. 제수(帝須)를 중심으로 천명의 승려가 화씨성(華氏城)에 모여 한 결집으로 아소카 왕의 후원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비로소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하였는데 다라(多羅)나무의 잎인 패엽(貝葉)에 쓰여져 최초의 경전인 패엽경이 만들어졌다.

제4결집은 2세기 전반 대월지국의 카니쇼카 왕의 뒷받침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때는 부파불교가 형성된 때라 여러 부파들의 이설을 통일시키기 위하여 경장과 율장에 대한 많은 주석서가 만들어졌다. 다시 말해 삼장 가운데 논장(論藏)이 성립된 때다.

이 이후에도 불경성립은 계속되었다. 특히 기원전 2세기부터 시작되어 5세기에 이르기까지 대승경전이 성립되었다. 더욱이 불교가 각 나라로 전파됨에 따라 때와 장소에 따라 종파가 형성되고 그종파에 따른 소의경전(所衣經典)들이 성립 유통도기도 하였다.

3. 대장경에 대하여

불교관계의 모든 전적(典籍)을 총칭하여 대장경(大藏經)이라 한다. 또 모든 경전을 전부 포함하여 있다는 뜻에서 일체경(一切經)이라고도 한다. 여기에 주로 삼장(三藏)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상장(三藏)전체를 대장경이라 하기도 한다. 삼장(三藏)이란 경장(經藏), 율장(律藏), 논장(論藏)을 말하는데 장(藏)이란 저장하는 광주리라는 뜻으로 경(經)을 담은 것을 경장, 율(律)을 담은 것을 율장, 논(論)을 담은 것을 논장이라 하는 것이다.

경(經)이란 부처님이 가르친 교법상의 말씀이요 율(律)이란 부처님 제자 곧 수행자들이 지켜야 할 윤리 도덕적인 규범인 계율에 관한 말씀이다. 그리고 논(論)이란 경이나 율에 대하여 해석하여 보충 설명을 해 놓은 것이다.

지안스님강의. 월간반야 2002년 7월 (제2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