止動無動(지동무동)이요 動止無止(동지무지)니라
그침이 움직임은 움직임이 없고 움직임이 그침은 그침이 없느니라
움직임과 그침은 상대적인 개념, 즉 동죙靜의 개념이다. 그침이 움직인다는 것은 그침이 움직임을 덮어서 움직임이 그침 속으로 들어갔으므로 움직임이 없는 것이다. 반대로 움직임이 그침을 덮어 그침이 움직임 속으로 들어갔으므로 그침이 없다. 이것은 결국 움직임은 그침에 즉卽한 움직임이므로 움직임이 없는 것이며, 그침은 움직임에 즉卽한 그침이므로 그침이 없어서 움직임과 그침이 융통자재하고, 동시에 두 가지의 상대법이 없는 것을 말하고 있다.
즉 중도의 이치를 밝히면서 동중죙中靜과 정중동靜中動이 함께 통하여 자취가 없는 묘妙를 나타내었다. 다시 말하면 동죙靜은 근원이 한 가지이며 근본에서 보면 모두 공空했다는 말이다.
兩旣不成(양기불성)이라 一何有爾(일하유이)아
둘이 이미 성립되지 않으니 하나인들 어찌 있겠는가
움직임과 그침은 상대적인 것이므로 움직임이 없으면 그침도 없고, 그침이 없으면 움직임도 없게 된다. 즉 둘이 성립되지 않는다면 하나는 어떻게 있을 수 있느냐는 것이다.
양견兩肩의 상대적 입장이란 대개 긍정하는 논리와 부정하는 논리로서 서술되는데 이를 표전表詮과 차전遮詮이라고 한다. 소금이 짜다는 말은 표전이지만 소금은 싱겁지 않다고 부정하여 말하는 것은 차전이다.
한 가지로 같은 것을 두고 긍정으로 말하고 부정으로 말하는 논리의 차이는 있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같은 것을 말한다는 것이다. 즉 모든 대립적 개념인 유有 ․ 무無와 선善 ․ 악惡과 시是 ․ 비非 등은 근원적인 본체에서 보면 모두 하나이며, 이러한 하나 또한 실체는 없다고 한다. ‘하나이다’ 그리고 ‘둘이다’고 하는 것은 모두 객관을 설명하는 말이며, 객관을 설명한다는 것은 곧 분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