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결(修心訣) – 15.

수심결(修心訣) – 15.

-말을 따라 알려하면 의혹 생기고-
-뜻 얻고 말 잊으면 힐문 필요없다-

則頓門箇者 依自性門 任運亡功
즉돈문개자 의자성문 임운망공
漸門劣機 趣隨相門 對治勞功
점문열기 취수상문 대치노공
二門之機 頓漸不同 優劣皎然
이문지기 돈점부동 우열교연
云何先悟後修門中 竝釋二種耶
운하선오후수문중 병석이종야
請爲通會 令絶疑情
청위통회 영절의정

즉 돈문의 사람은 자기 성품에 따라 걸림이 없으니 노력할 것이 없고, 점문의 열등한 근기는 상을 따라서 대상에 따라 다스려야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돈문과 점문의 두 문은 서로 근기가 다르고 우열이 분명한데, 먼저 깨닫고 뒤에 닦는 방법 가운데서 어떻게 두 가지를 아울러 말씀하십니까. 다시 잘 설명하여 의심을 풀어주십시오.”

答所釋皎然 汝自生疑 隨言生解
답소석교연 여자성의 수언생해
轉生疑惑 得意忘言 不勞致詰
전생의혹 득의망언 불로치힐
若就兩門 各判所行 則修自性定
약취양문 각판소행 즉수자성정
慧者 此是頓門 用無功之 功竝運雙寂
혜자 차시돈문 용무공지 공병운쌍적
自修自性 自成佛道者也
자수자성 자성불도자야
修隨相門定慧者 此是未悟前漸門
수수상문정혜자 차시미오전점문
劣機 用對治之功 心心斷惑
열기 용대치지공 심심단혹
取靜爲行者 而此二門所行 頓漸各異
취정위행자 이차이문소행 돈점각이
不可參亂也
불가참란야

답하다.”해석은 분명한데 그대가 스스로 의심을 내는구나. 말을 따라 알려고 하면 다시 의혹이 생기고 뜻을 얻고 말을 잊으면 힐문할 필요가 없다. 만약 그 두 문에서 각기 수행할 바를 판단한다면, 자기 성품의 선정과 지혜를 닦는 자는 이 돈문의 노력없는 노력으로 두 가지 고요함, 즉 돈문의 고요함과 수상문의 고요함을 아울러 운용(運用)하여 자기 성품을 스스로 닦아서 불도를 이루는 사람이다. 그리고 상을 따르는 방법으로 선정과 지혜를 닦는 자는 깨치기 전의 점문의 열등한 근기로서 대상을 따라 다스리는 공력으로 인해 마음마다 의혹을 끊고 고요함을 취해서 수행하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이 두 문의 수행은 돈(頓)과 점(漸)이 다르니 혼동해서는 안된다.

然悟後修門中 兼論隨相門中對治者
연오후수문중 겸론수상문중대치자
非全取漸機所行也 取其方便
비전취점기소행야 취기방편
假道托宿而已 何故於此頓門
가도탁숙이이 하고어차돈문
亦有機勝者 亦有機劣者 不可一例
역유기승자 역유기열자 불가일예
判其行李也 若煩惱淡薄 身心輕安
판기행리야 약번뇌담박 신심경안
於善離善 於惡離惡 不動
어선이선 어악이악 부동
八風 寂然三受者 依自性定慧 任運雙修
팔풍 적연삼수자 의자성정혜 임운쌍수
天眞無作 動靜常禪 成就自然之理
천진무작 동정상선 성취자연지리
何假隨相門對治之義也
하가수상문대치지의야
無病不求藥
무병불구약

그러나 깨달은 뒤에 닦는 문에서 겸해서 상(相)을 따라 다스리는 법을 말한 것은 점문(漸門)의 근기가 닦는 것을 전적으로 취한 것이 아니라 그 방편을 취해서 길을 빌리고 숙소를 의탁한 것뿐이다. 왜냐하면 이 돈문에도 역시 근기가 뛰어난 사람과 열등한 사람이 있으므로 한 가지 예로, 가는 길을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번뇌가 엷고 몸과 마음이 편안하여 선악에 대해서도 무심하고, 여덟 가지 번뇌에도 동요하지 않고, 세 가지 느낌에도 고요한 이는 자기 성품의 선정과 지혜에 의지하여 자유롭게 겸해서 닦아나가되 천진하여 조작됨이 없다. 움직이거나 고요하거나 항상 선정에 있으므로 자연의 이치를 성취한 것인데 왜 상을 따라 다스리는 방법을 빌리겠는가. 병이 없으면 약을 구하지 않는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항목은 *(으)로 표시합니다